[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1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1
 2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2
 3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3
 4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4
 5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5
 6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6
 7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7
 8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8
 9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수설계]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문제 해결 학습 방법의 이론적 배경
1. 실용주의
2. Dewey의 경험주의 교육이론

II. 문제 해결 학습의 이해 - 이형모
1. 정의
2. 특성
3. 문제 해결 학습에 필요한 인지과정
4.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의 예

III. 문제 해결 학습의 활용
1. 교수 설계 실제
2. 문제 해결 학습의 활용방안

IV. 다른 학습유형과의 비교
1. 선언적 지식 학습
2. 개념학습
3. 원리학습
4. 문제 해결 학습

V. 결론
본문내용
I. 문제 해결 학습 방법의 이론적 배경

문제 해결 학습 유형은 새로운 유형의 학습은 아니다. 선사시대에 “사냥을 어떻게 해야 안전하고 효율적인가?”, “적과 싸우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무기는?” 등과 같은 본능인 의문이나 문제가 있을 때 인류는 문제 해결 학습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왔다. 이 한 학습을 컬럼비아 대학의 John Dewey박사가 실용주의와 경험주의 교육 이론을 통해 문제 해결 학습의 이론적 토대를 확립하였다.

1. 실용주의 (Pragmatism) 존듀이(1916),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 교육과학사


사물의 의미는 그 쓰임이나 용도에 따라 규정될 수 있으며 지식의 의미나 진위 여부는 실험이나 실천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사고는 문제 상황에서 가장 활발히 촉진되며, 지식은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갖는다.

2. Dewey의 경험주의 교육 이론 권오정(1991), 한국 사회과 수업의 구성논리와 개혁운동의 한계. 강우철. 달라져야할 사회과교육. 교학사

학습자에게 주변의 환경이나 지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가는 지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둔다.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과 흥미를 중시하며 학생 상호간 학생과 교사 간의 의사소통을 중시하여 의사소통을 통해 타자의 성숙한 경험을 전해 받아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II. 문제 해결 학습의 이해

1. 문제 해결 학자별 문제해결의 정의
❍ Gagné(1977): 문제해결은 이미 배운 원리를 응용하며 여러 가지 새로운 상황에서 당면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력을 발견하는 것.
❍ Ausubel(1976): 문제해결이란 이전에 배운 규칙을 조합하는 방식을 발견하고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
❍ Hayes (1989) : 문제해결이란 알고 있는 것과 알기를 원하는 것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가장 적절한 방법을 찾는 것.
학습의 정의

문제해결 학습은 진보주의 교육철학의 교수방법으로서 학습자의 흥미, 욕구를 중심으로 지식, 가치, 태도의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하며 듀이(Dewey)에 의해 생활경험 중심의 수업과정으로 체계화되었다. 인간의 요구나 만족 또는 목표와의 사이에 던져져 반드시 해결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매개로 하여 바르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학습형태로, 반성적 사고에 의하여 문제의 의혹이나 곤란을 제거하고 조화로운 해결방법을 얻는 것을 말한다. 즉, 학습자가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능력이 길러짐으로써 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함양할 수 있게 된다는 듀이의 반성적 사고과정(Reflective thinking)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2. 문제해결 학습의 특성

문제 해결 학습은 지식 그 자체의 사실을 기억하는 기능적인 학습과는 달리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중시하고 발견활동을 유의미하게 경험하기 위해서 학생들 스스로가 해결할 방법을 발견할 수 있도록 문제를 보다 폭넓게 파헤치는 활동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 학습은 어떠한 문제이든 학습자 스스로 곤란을 느껴 문제의식이 있어야 하고, 그 문제의 해결책을 원하되 직접적인 해결 수단을 모르고 있어야 성립될 수 있다.
참고문헌
󰋮John Dewey, 이홍우 역,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Smith, P. L. & Ragan, T. J, 김동식외 2명 역, 『교수설계이론의 탐구』 (원미사 2002)
󰋮강우철, 『달라져야할 사회과교육.』 (교학사)
󰋮권성호, 『교육공학의 탐구』
󰋮권오정, 『한국 사회과 수업의 구성논리와 개혁운동의 한계.』 (1991)
󰋮김신자, 문제해결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교과교육학연구 제3권 1호 2002년 pp.5~22)
󰋮장명희, 문제해결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 ․ 학습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