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

 1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1
 2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2
 3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3
 4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4
 5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5
 6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6
 7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7
 8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8
 9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9
 10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나말여초(羅末麗初) 설화(說話)와 전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나말 여초의 설화의 성격
(1)나말여초 설화의 전개
(2) 나말여초 전기의 발생 배경

3. 전기를 보는 시각
(1)나말여초 전기를 보는 시각1-‘전기소설’
(3)나말여초 전기를 보는 시각2-‘전기설화’
(2)전기의 실제-

4. 맺음말
본문내용
1.머리말
우리 민족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더불어 설화는 그 흐름을 같이한 문학이다. 처음에는 구비(口碑)로 전승되어 오던 것이 점차 문자에 의한 기록으로 그 존재를 나타낸다. 전기(傳奇)는 이러한 설화(說話)에 기이한 이야기나 시를 삽입 하는 등 문학적 요소를 가미하여 기록한 것이다. 나말여초(羅末麗初)에는 이러한 모습들이 활발했음을 여러 문헌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적으로 나말여초의 설화와 전기의 양상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그런데 나말여초의 설화와 전기가 논란이 되는 것은 전기의 성격규정에 따라 우리 소설사의 시작이 신라 말이 될 수도 있고,-금오신화(金鰲新話)가 등장하는-조선 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 소설사의 흐름을 동아시아 한문 문화권의 공통 서사장르인 전기가 지니고 있는 여러 특질들과 관련지으면서 그 한국적 초기 형태를 나말 여초 시대에서 찾고, 우리 전기문학의 장르적 특징을 중요하게 여긴다면, 나말여초의 전기에서 우리 소설사의 근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소설에서의 대립 갈등적 요소를 중시하고 이를 사회∙사상사적 흐름과 관련짓는 태도를 중요하게 여긴다면, 나말여초의 전기에 소설적 특징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여기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으며, 아직 연구자들도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논란은 결국 나말여초의 전기에 나타나는 특성을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달렸으며, 이 판단기준은 연구자 자신이 생각하는 소설에 대한 개념에 따른 것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나말여초의 설화와 전기의 성립배경과 양상을 살펴보고, 앞서 말한 설화와 전기에 대한 시각들을 알아본 후, 마지막으로 발표조의 관점을 정리해 보겠다.


2. 나말 여초의 설화의 성격
설화는 신화․전설․민담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동일에 의하면 설화는 의식구조의 집약으로 신화․전설․민담이 각기 상이한 의식구조를 가지고 있다. 신화는 자아와 세계가 동질적이거나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전설은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세계의 우위에 입각해서 다루어 자아의 패배를 귀결로 삼는다. 민담에서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통해 자아의 가능성을 크게 내세우게 된다. 조동일,『한국문학통사1, 제4판』, 지식산업사, 2005, 100면.

설화는 집단 공동체 생활 속에서 민족적 창의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그 속에는 민족의 역사, 사상, 관습, 세계관 등이 담겨져 있다. 따라서 설화를 문학사 안으로 끌어들여야 당시 사람들이 자기 삶을 되돌아보면서 무엇을 생각하고 바랐던지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설화의 특징에 대해 조윤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대체로 설화라는 것은 한 사람이 지어내는 것이 아니다. 처음에는 누가 지어낸 것인지도 모르게 그저 민족간(民族間)에 재미스럽게 구구전승(口口傳承)되는 것인데, 그러는 동안 민족의 마음이 그 가운데에 속속들이 스며들어가 완전히 민족의 설화가 되어 우리는 여기서 민족의 성격․사상․감정 내지는 이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조윤제,『한국문학사』, 연구당, 1997, 30면 .
설화가 다른 장르들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그것이 자연발생적이고 구비문학장르라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설화는 강한 생명력과 전파력을 지닌다.

(1) 나말여초 설화의 전개
삼국이나 통일신라시대의 설화는 그 당시 문학의 다른 어느 영역보다도 큰 구실을 했다. 한문학은 필요한 수련을 하고 상당한 학식을 가져야 창작할 수 있고, 상층의 관심사라도 자유롭게 표현하기는 어려웠다. 향가는 생활의 모습을 나타낼 수 있는 폭이 좁고 전하는 것이 얼마 되지 않는다. 한문이나 향찰을 읽어 이해할 수 있는 독자는 그리 많지 않았다. 조동일,『한국문학통사1, 제4판』, 지식산업사, 2005, 205면.
당대인(當代人)들은 설화를 글로 기록하는 데도 관심이 많았는데 설화는 구비전승(口碑傳承) 되는 장르이지만 삼국시대에 한자가 수용된 이후에는 문헌에 기록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 남아있는 설화 기록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수이전(殊異傳)』이다. 비록 전문은
참고문헌
박희병,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관악어문연구17』,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박희병, 「나려시대 전기소설 연구」, 『대동문화연구 30』,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5.
임형택, 「나말려초의 전기문학」,『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장효현, 「전기소설 연구의 성과와 과제-장르 개념과 장르사의 문제」, 『민족문화 연구』28, 1995.
정학성, 「전기소설의 문제, 한국문학 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조동일, 『제4판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