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

 1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1
 2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2
 3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3
 4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4
 5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5
 6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6
 7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7
 8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8
 9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9
 10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10
 11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11
 12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법교육론]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내용 분석 및 평가-단어(I) 영역-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분석 기준
III. 교육과정 문법 교육 내용 분석 및 비판
1. 7차 교육과정 교육 내용 체계와 단어 관련 교육 내용
2 ‘단어’ 관련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 내용 분석 및 비판
2.1 교육 내용 체계의 하위 영역 고찰
2.2 교육 내용 체계의 일관성 고찰
2.3 교육 과정에서 문법 교육 내용 선정
3. 문법 교육 내용 체계 재구조화
IV. 교과서 문법 교육 내용 분석 및 비판
1. 교과서 문법 교육 내용
2. 교과서 문법 교육 내용 구조화
3. 교과서 문법 교육 내용 분석 및 비판
V. 문법 교육 내용의 재구조화
V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문법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한다. 여기서는 [문법 교육론]에서 제시한 교육 내용 선정과 교육 내용 구조를 기준으로, 7차 교육과정 문법 교육 내용 중 '단어 영역'에 관한 것을 분석·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교육과정에 나타난 단어 영역 내용을 추출한 뒤, 이를 분석·평가하고, 다음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단어 영역 내용을 추출하여 현행 문법 교육 내용의 체계를 구조화한 뒤, 이를 분석·평가해 보겠다. 그 구조 속에서 문법 교육 내용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단어에 관한 어떤 내용을 가르쳐야 할 것인지, 현행 문법 교육 내용에서 첨가되고 삭제되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제시해 보도록 하겠다. 최종적으로, 이렇게 분석·비판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문법 교육 내용 중 단어 영역의 내용을 재구성해 볼 것이다.
2.1 교육 내용 체계의 하위 영역 고찰
2.1.1 단어 영역과 어휘 영역 분리
7차 교육과정은 단어와 숙어에 관한 교육 내용을 단어 영역, 어휘 영역, 의미 영역으로 분리하여 제시하고 있다. 7차교육과정해설서에서는 어휘를 ‘일정한 낱말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서 부를 때 사용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문법 교과서에서도 ‘어휘는 일정한 범위 속에 들어 있는 단어의 집합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한다. a. 어휘는 낱말들이 모여 있는 집합으로, 일정한 낱말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서 부를 때 사용한다. - 7차교육과정해설서(p.151)
b. 어휘는 일정한 범위 속에 들어있는 단어의 집합을 가리킨다. - 문법교과서(p.116)
c. 어휘는 단어, 숙어, 토를 포함하여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 이춘근, 문법교육론, 이회, 2002(p.188)
결국 7차 교육과정에서의 ‘어휘’는 여러 갈래로 분류된 단어의 집합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어휘 영역에 속하는 교육 내용은 모두 어휘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어휘의 갈래 '어휘의 갈래'는 숙어와 토 등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의 갈래다. 여러 가지 어휘적 특성에 따라 어휘의 다양한 갈래에 대한 지식을 학습함으로써 어휘 사용에 대한 바른 능력을 가질 수 있다. - 이춘근, 문법교육론, 이회, 2002(p.138)
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어의 통사적 기능에 따른 갈래인 ‘품사’와 함께 단어의 갈래로 묶을 수 있고, 단어와 어휘 영역을 분리시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근거도 없으므로, 굳이 ‘어휘’라는 하위 영역을 하나 더 두어 내용 체계를 복잡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7차 교육과정의 ‘어휘’ 영역에 속하는 교육 내용은 ‘단어’ 영역에 포함시켜 제시한다. 국어지식의 경우, 어휘 영역과 낱말 영역을 단어 영역으로 통합하여, 어휘 영역에 있는 ‘은어, 전문어, 속어, 비어, 유행어’에 관한 교육 내용을 ‘어휘적 특성에 따른 단어의 갈래’로, ‘관용어’에 관한 교육 내용을 ‘관용적 의미’로 처리하여 단어 영역 하위 범주인 의미 영역에 포함시키면 될 것이다.
참고문헌
이춘근, 문법교육론, 이회, 2002
중학교 7차 교육과정해설서, 교육인적자원부, 2001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해설서, 교육인적자원부, 2001
이관규, 학교 문법론, 월인, 1999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1992


※ 공동: 분석 및 비판, 대안제시
정수진: 교육과정 정리, 문서편집
최명미: 단어의 의미 정리
천명숙: 단어의 개념, 단어의 짜임 정리, 문서편집
남민경: 단어의 의미 정리,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