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
 2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2
 3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3
 4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4
 5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5
 6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6
 7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7
 8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8
 9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9
 10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0
 11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1
 12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2
 13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3
 14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4
 15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5
 16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6
 17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어 교육의 역사

2. 국내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2.1.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2.2. 교과과정

2.3. 문제점

3. 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3.1. 중국의 한국어 교육 현황(대학교 한국어과를 중심으로)

3.2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

4. 한국어 능력 시험과 한국어 교재

4.1. 한국어 능력 시험 현황

4.2. 한국어 교재의 현황과 문제점


본문내용
2.1.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2.1.1. 학위 과정
한국어 교육에 대한 대학의 학부과정은 1974년 한국외국어대학 한국어교육과가 생기면서 시작되었다. 현재 한국외대, 경희대, 숙명여대의 3개 학교에서 학부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어교육에 대한 대학원과정은 오히려 학부과정보다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한국어교육에 대한 외국의 관심과 수요의 증가로 인해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독립과, 전문성의 확보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2002년에 서울대에 박사과정까지 생겨났다. 이는 한국어교육의 질적 발전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2.1.2. 비학위 과정
이 보고서에서는 실제적으로 학위를 수여하지 않으나 한국어 교육학을 다루고, 기관장 명의의 수료장을 받게 되는 과정을 편의상 비학위 과정이라 부르기로 한다. 90년대 후반에 한국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서강대를 시작으로 각 대학에 한국어교사 양성 과정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국제 교류의 확대와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한국어교육이 강화되어서 부산대, 안동대, 전남대 등 지방 대학에서도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2001년 경희대 국제교육원은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 최초로 인터넷을 통한 교원 양성 프로그램을 개설했다.

2.2. 교과과정
학위 과정의 한국어 교사 양성 교과과정은 비교적 통일되어 있다. 일반적인 국어국문과나, 국어교육과와 비슷한 교과과정을 보이고 있다. 특징이라고 한다면 일반언어학보다 응용언어학 쪽을 중시하고 있으며, 한국학 영역은 한국 현대․고전문학, 한국문화, 한국사회 등 한국 문화에 대한 것을 중심으로 교과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비학위 과정의 요구사항은 대부분 학사 이상의 학력이다. 전공 학과에 대한 구분은 대부분 없으며. 학위 과정의 교과과정이 일반적인 국어과목의 학과와 비슷한 것인데 반해 비학위 과정의 교과과정은 대부분 한국어교육학 영역에 집중적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는 비학위과정이 한국어교육을 학문적으로 다루려고 하는 학위 과정에 비해 실제로 한국어 교육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2.3. 문제점

2.3.1. 공식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과 인증 문제
현재 초․중등학교 교원은 법령이 정해져서 교육공무원 임용 시험에 의해 공립학교 교사로 채용된다. 하지만 한국어 교사의 양성과 인증은 다루는 기관만도 12곳에 이르고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업무가 중복되기도 한다. 이는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문화관광부 소속의 한국어 세계화 재단에서 ‘한국어 교육능력 인증 시험’이라는 명칭의 자격증을 시험을 통해 부여해주기는 하지만, 현재 한국어 교사의 자격 인증은 확실하게 제도화되어있지는 않다. 자격 검정이 법적으로 규정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능력 인증 자격증은 워드 프로세서 자격증 등 공인되지 않은 다른 민간 자격증과 같은 입장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IV」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2003),, 태학사
「한국어 초급(쓰기․읽기) 교사용 지침서 및 학습자용 워크북 개발」 - 문화관광부 2000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 민현식 2000
「外國人을 對象으로 한 韓國語 敎育의 諸問題」 - 윤여탁 2001
「한국어 교사 교육․연수 프로그램 교수 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문화관광부 2000. 12.
「한국어 교원 자격 인증 제도 시행 방안 개발 최종 보고서」- 문화관광부 2001.12.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 유상희 2003.1

참고사이트 :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e.go.kr

국립국어연구원 http://www.korean.go.kr

한국세계말인증시험 http://www.klpt.org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www.kice.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