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

 1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1
 2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2
 3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3
 4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4
 5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5
 6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6
 7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7
 8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8
 9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9
 10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10
 11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11
 12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12
 13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13
 14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14
 15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어휘교육론] 간판 매체언어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 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1. 조사 목적 (간판 매체 언어의 설정 이유)

1.2. 조사 범위의 설정과 자료수집

1.3. 간판언어의 분류

Ⅱ. 본론

1. 교과서에 나타난 활동들

● 중학교 1-1 생활국어
● 고등학교 국어생활 (주) 지학사
● 고등학교 국어생활 (주) 천재교육
● 고등학교 국어생활 (주)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 새로운 활동 제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교과서에 있는 활동
- 자기 점검 -
하나. 우리가 외국어나 외래어를 지나치게 많이 쓸 때에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자.
둘. 자신의 국어 생활에서 고쳐야 할 점을 찾아서 적어 보자.

☞ ‘외국어나 외래어를 지나치게 많이 쓸 때의 문제점’에는 이미 외국어나 외래어에 대한 부정적인 가치관이 개입되어 있다. 외래어를 무조건 비판하는 것은 우리 한국어만 옳다고 생각하는 국수주의에 빠질 위험이 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자신의 국어 생활 또는 습관을 되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주지 않고 곧바로 고쳐야 할 점을 찾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바꾼 활동 예시
- 자기 점검 -
하나. 우리가 외국어나 외래어를 많이 사용할 때의 장점과 단점이 무엇이 있는지 각각 생각해보자.
둘. 자신의 국어 생활을 되돌아보며 자주 사용하는 언어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 위의 단원의 길잡이에서 언급한 것처럼 외국어나 외래어를 사용하면 단어의 수가 늘어나 그만큼 표현의 자유가 방대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위 활동에서는 그 장점을 무시하고 학생들에게 문제점만 생각하게 하는데 이는 옳지 않다. 외래어 사용의 장점과 단점 모두 생각해 본 뒤에야, 우리 한국어가 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의 언어생활을 되돌아보며 자주 사용하는 언어가 한국어인지, 외래어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 고등학교 국어생활 (주) 지학사
대단원 5. 국어 생활과 국어 정신
1. 국어 생활에 대한 성찰
(2) 주변을 둘러보며


교과서 본문
(전략) 거리를 걷다가 고등학교 국어생활, (주)지학사, p238.

거리를 걷다 보면 수많은 간판들이 눈에 들어온다. 간판은 대중의 언어 생활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우리의 언어에 대한 인식 수준을 짚어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점은 ‘서양식 이름’의 간판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한눈에도 서양식 간판이 열에 일곱 내지 여덟을 차지한다. 국제화 시대인 오늘날 서양 문화와 접촉하지 않을 수 없겠지만, 외국말로 된 이름이면 어쩐지 멋있게 들리고 좋아 보이는 그릇된 인식은 버리도록 해야 한다.
다행히 최근에 토박이말 간판이 늘어 가는 것은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아쉬운 것은 ‘똥 싼 바지’, ‘형 어디가’처럼 토박이말의 멋을 그저 재미삼아 나타내려는 경향도 있어 오히려 생활 속으로 깊숙이 파고 들어오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중략) 누구나 쉽게 그 뜻을 알 수 있는 쉬운 말을 두고 왜 그리 어려운 한자말을 쓰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처럼 쓸데없이 어려운 한자말을 쓰는 경우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이 또한 빨리 다듬어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