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

 1  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1
 2  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2
 3  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3
 4  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4
 5  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5
 6  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6
 7  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7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숙향전 숙향전 작품소개 숙향전 작자 숙향전 서지 숙향전 줄거리 요약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숙 향 전 (淑香傳)
Ⅰ. 작품 소개
〈숙향전(淑香傳)〉은 조선 후기에 쓰여진, 지은이와 집필 연대가 알려지지 않은 한글 소설이다. 다만 영조 30년인 1754년에 만든 만화본 에 이 작품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 미루어 그 이전에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총 80여 면으로 되어 있으며, 도선 사상에 입각해서 쓰여진 소설로서, 전체 줄거리가 도선적인 전기성(傳奇性)을 띄고 있으며, 비현실적인 결말로 구성되어 있다. 「고전소설의 기초 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태학사, 2002.
〈숙향전〉은 조선왕조에서 춘향전만큼이나 인기를 얻은 남녀간의 애정을 주제로 한 소설로, 특색 있는 여인의 파란만장한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매우 다양한 이본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 소설은 비교적 넓은 범위의 독자층을 확보하고, 인구(人口)에 회자(膾炙)했던 작품으로 보인다. 특히 영웅의 일생의 구조에 따라 여자 주인공의 수난을 그리면서, 애정 성취의 욕구와 같은 여성의 관심사를 다루어 여성 독자층의 요구나 의식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여성 독자층을 끌어들였다. 실제로 조선시대 많은 여인들이 이 작품을 필사하여 돌려보았다. 「조선후기의 대중소설」, 한국고소설학회, 아세아문화사, 2003.
은 복잡하면서도 이채로운 요소 때문에, 애정소설, 염정소설, 영웅소설, 적강소설 등 복합적인 성격으로 해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숙향전》속에 반영된 세계관과 사상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이본과 연구사를 검토하며 또한 당대인의 삶의 자취가 담겨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 많이 읽히고 있는 고소설 중 秀作이자 인기 소설이었던 《숙향전》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Ⅱ. 작자
은 작자 미상의 조선후기 고전소설이다. 작자가 전해지지 않은 이유 「古小說의 著作과 傳播」, 한국고소설연구회 , 아세아문화사, 1995.
를 숙향전을 비롯한 여러 고소설을 통해서 추측컨대, 그 하나는, 조선시대는 유학을 숭상하는 학문적 전통이 지배하는 시대였다. 이때 소위 패관 잡기(稗官雜記)를 쓰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읽는 것조차 비난받는 행위였던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고소설의 작자들은 본인의 사회적 신분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자신의 이름을 누락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그 시대의 정신적 주지였던 성리학의 반작용으로 인하여 오늘날의 고소설이 그 주인을 잃어버리게 된 것이라 하겠다. 더욱이 숙향전은 이선과 숙향이 장애적 요소를 극복하고 자유로운 남녀 애정을 성취시키는데 커다란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통적 유교적 도덕관에서 벗어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숙향이 어려운 상황에 처할 때마다 거북이나 용, 사슴, 화덕진군, 마고할미 등 초월적 구원자들이 등장하여 위기를 극복하게 해주는데, 이는 유교적 정통 의식이 아닌 도교적 경향을 농후하게 지니고 있음을 보여 준다.
또 다른 이유는 당시의 인쇄술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의 고소설은 바로 창작되면서 문자로 정착할 수 없었고, 전사(轉寫)되면서 오늘에 이르렀기 때문에 원전이 가장 먼저 훼손될 가능성이 컸다. 따라서 원전에는 작가가 명시되었다고 할지라도, 전사(轉寫)되는 과정에서 그 이름이 누락되었을 것이고, 오랜 세월이 지난 오늘날에는 가장 최근의 전사본만이 남기 때문에 거기에는 작가가 명시되어 있지 않는 이유에서이다. 《숙향전》처럼 많은 독자층을 향유하고, 이본과 필사본이 다양한 작품은 더욱이 필사되는 과정에서 작자의 이름이 누락되기가 쉬웠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 과정에서 한 가지 덧붙일 것은, 고소설이 비슷한 내용을 가진 아류작이 많은데, 바로 이처럼 전사(轉寫)하면서 조금씩 개작하였기 때문이다. 《숙향전》은 《춘향전》, 《숙영낭자전》, 《옥단춘전》.《창선감의록》, 《사씨남정기》등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었다. 차중환, 「숙향전 연구」,월인출판사, 1999.
Ⅲ. 서지(書誌)
(1) 異本 및 板本 「숙향전/숙영낭자전/옥단춘전」, 황패강 역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은 ,,,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전하며, 표기상으로는 국문본과 한문본이 있고, 목판본, 필사본, 활자본으로 등으로 간행되었다. 이본의 종류는 60여종에 육박하며, 판각본은 경판이 상하 2책본과 상중하 3책본의 두 가지가 전하고 있다. 필사본은 여럿이 전한다. 활자본은 1914년 덕흥서림(德興書林) 간본 이래 네 차례의 간본을 볼 수 있다. 1754년(영조 30년)에 이루어진 에 그 이름(숙향)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지어진 것이 확실하고, 에서 거명한 ‘전기수(傳奇)의 구송언과패설류(口誦諺課稗說類)’가운데 이 맨 앞에 나온다. ,, 등은 필사본이다. 이 외에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으로 회동서관(匯東西館) 발행(1916년)의 한문 현토본 (이규용 저작)이 있고, 국문본으로 (경판본, 상중하 3권, 무오 10월 야동 신간, 빠리 동양어학교 장본)과 신연활자본으로 세창서관과 기타에서 발간한 이본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