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예비 초등 교사의 글쓰기 요구 인식 -정체성 인식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혜연 ( Hyeyoun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425~462페이지(총38페이지)
이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의 글쓰기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정체성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들의 필자 정체성 인식의 양상 및 그에 따른 글쓰기 요구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18명의 예비 초등 교사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자가 보고 및 인터뷰를 통해 어떠한 글쓰기 기능 및 글쓰기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자료의 수집은 분석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되는 방식으로 3단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선구조화된 사례 분석 방법에 의거하여 질적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예비 초등 교사의 정체성 인식은 예비교사, 대학생, 개인의 세 차원으로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차원의 정체성에 의거한 요구들이 모두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이들이 ‘예비 교사’...
TAG 예비 교사, 대학생, 글쓰기, 요구 분석, 초등 교사, Pre-service teachers, College students, Elementary teachers, Writing, Needs analysis
문식성 발달 이론과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문식성에 대한 검토
김혜정 ( Hye Jeong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463~493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문식성 발달 이론이 국어과교육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국어과교육의 내용으로 적절한 문식성들을 선정하여 교육 내용으로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문식성라는 말은 ‘언어 능력’을 떠나 ‘소양, 능력’을 의미하게 되었다. 국어과교육에서는 전통적으로 이러한 문식성 발달 이론을 적용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자 했으나, 정작 문식성 발달 이론을 살펴보니, 국어과 교육에 적용된 사례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에 국어과교육에서 요구되는 이상적인 교육의 목표이자 내용으로서의 문식성은 무엇인지 구안해 볼 수 있다. 그 결과, 국어과는 그 교과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적 문식성, 미디어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가 교육 내용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들 중 ‘기능적/미디어 문식성’는 도구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기초적 문식성에...
TAG 국어과교육, 기능적, 미디어, 비판적, 문화적 문식성, 문식성 발달, Korean-language education, functional literacy, media literacy, critic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literacy development
문식성 이론에서의 사회적, 언어학적 전환에 대한 회고와 전망
데이비드블룸 ( David Bloome ) , 김민영 ( Min Young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495~533페이지(총39페이지)
문식성 및 언어 교육 연구는 그 학문의 발달에 있어 사회과학에서의 언어적 전환과 문식성 연구에서의 사회적 전환이라는 두 차례의 철학적 전환을 경험했다. 이 두 전환점은 문식성의 정의를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탈맥락화된 인지적 언어적 기능’으로서의 문식성에서 ‘문자 언어가 중요하게 사용되는 사회적 실행’으로서의 문식성으로-, 언어와 문식성, 심지어는 인간성의 본질에 대한 이해까지도 변화시켰다. 사회적 전환과 언어적 전환은 문식성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문화적·정치적으로 중립적이지 않으며, 국지적 혹은 포괄적 사회·경제·정치적인 맥락에서 분리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고는 먼저 사회과학에서의 언어적 전환과 문식성 연구에서의 사회적 전환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실제 교실에서 일어나는 문식성 사건의 분석이 이 두 전환을 어떻게 ...
TAG 문식성, 읽기, 쓰기, 사회적 실행, 담화분석, 내러티브, 교실, 언어 변이, 언어 이데올로기, literacy, reading, writing, social practice, discourse analysis, narrative, classrooms, language variation, language ideology
한국에서의 문식성 교육의 반성과 전망
윤여탁 ( Yeotak Yo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535~561페이지(총27페이지)
이 글은 먼저 한국에서의 문식성 교육의 반성과 전망을 논의하기 위해서, 국외에서의 문식성 교육 논의 과정과 국내에서 있었던 문식성 논의 과정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의 국어교육계에서 있었던 문식성 교육의 논의 경과를, 반성으로서 기능적 문식성의 지양, 대안으로서 문화적 문식성, 확장으로서 매체 문식성, 전망으로서 비판적 문식성이라는 내용으로 항목화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식성 교육에 대한 정리된 논의를 통해서 한국 국어교육에서의 문식성 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즉 문식성 교육에 대한 문제제기를 넘어 기능적, 문화적, 매체, 비판적 문식성을 통합하는 문식성 교육을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문식성의 생태학적 접근이나 성인 문식성에 대한 관심이 그 대표적인 예다.
TAG 문식성, 기능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매체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반성, 대안, 확장, 전망, 통합, 문식성의 생태학, 성인 문식성,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Media Literacy, Critical Literacy, Reflection, Alterative, Extension, Perspective, Integration, Ecology of Literacy, Adult’s Li
다국어, 다문화 사회에서 리터러시 교육 -홍콩의 사례를 중심으로-
체섹캄 ( Shek Kam Ts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563~593페이지(총31페이지)
1997년 중국과 통일한 이후 영국의 식민지였던 홍콩은 이중 언어(광둥어와 영어) 사용 국가에서 삼중 언어(광둥어, 영어, 만다린어/보통화(普通話)로 중국 본토의 표준음) 사용 국가로 변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독립 이후, 홍콩은 중국어를 구사하지 않는 이민자들의 꾸준한 유입을 목격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어를 구사하는 교사들은 중국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이민자의 자녀들이 학교에서 중국어로 대화하고 글을 쓸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러한 홍콩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이 글에서는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교육하는 틀(framework)을 다루었다. 이 교육적 틀은 비중국어 화자인 학습자를 가르쳐 본 교사들의 경험과, 관련 분야의 전문 학술 서적, 그리고 홍콩 교육부에 의해 규정된 교육과정의 권...
TAG 다국어, 다문화, 중국어, 차별화된 교육과정, 비중국어 화자로서의 학습자, multi-lingualism, multi-culture, Chinese Languages, differentiated curricula, non-Chinese speaking students
문화적 문식성의 교육적 실현에 대한 방법적 회의
최홍원 ( Hongwon Choi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595~633페이지(총39페이지)
이 연구는 문화적 문식성이 이론적 차원에서 설명의 개념으로 머물러 있다는 비판적 인식에 따라 교육적 수행과 실천력의 개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적 문식성의 개념, 내용 요소, 목표와 도달점, 그리고 교육 내용 등을 점검하고 살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은 문화적 문식성의 교육적 구현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문화적 문식성의 의미와 관련하여 지식의 차원에 머물러 있는 기존의 인식을 비판하고, 기능과 태도를 포괄하는 새로운 재개념화를 시도하였다. 기능적, 문화적, 비판적 층위와 같은 중층적 구조로 설계하여 문화적 문식성을 새롭게 재구조화하기도 하였다. 문화적 문식성이 실제 교육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피기 위해 교육과정을 탐색하였고, 문화적 문식성이 교육 내용과 방법으로 구현되지 못하는 실태를 진단...
TAG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기능, 문화, 비판, 비문식성, 무문식성, < 한림별곡 >, literacy, cultural literacy, function, culture, criticism, illiteracy, aliteracy, < Hallimbyolgok >, 翰林別曲
대학생 필자의 글쓰기 전략 유형과 인식 조사
김혜연 ( Hyeyoun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5권 1~29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대학생 필자의 글쓰기 전략 유형 및 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전략 중심 작문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소재의 대학교의 학생 151명의 설문 조사 및 층화표집 대상 9명의 인터뷰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질적 양적 혼합 분석 방법에 의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대학생 필자들의 글쓰기 전략 유형 선택과 그에 대한 인식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째, 계획하기와 관련된 대학생 필자들의 전략은 대체로 개요 유형과 메모 유형, 바로 시작의 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쓰기 전략의 운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유형별 하위 유형들을 세분화하였다. 둘째, 글쓰기 전략 유형은 능숙함과 미숙함, 바람직함과 그렇지 ...
TAG College writing, Writing types, Writing strategy, Writing processes, Writing performance, Planning, 대학 글쓰기, 대학생 필자, 쓰기 전략, 쓰기 과정, 계획하기, 고쳐쓰기, 개요
대학생 글쓰기 기초를 위한 문법 진단 평가 분석 연구
송현정 ( Hyun Jung So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5권 31~5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글쓰기를 위한 기초 문법 수준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대학에서의 문법 지도의 방향성을 고려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국어 글쓰기를 위한 기초 문법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는 진단 평가를 시행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 쓰기 수준의 특성을 고려하여 쓰기 수준을 설정하고 대학생의 글쓰기와 문법 기초 진단을 위한 진단 평가 도구를 구성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쓰기와 문법 기초의 내용 영역 특성별·성별·계열별 등으로 글쓰기를 위한 문법 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고, 정답률에 따른 주요 문항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진단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쓰기 수준을 판정하고 각 수준에 따른 문법 지도의 주안점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진단 평가의 결과적 특성을 고...
TAG grammar education, diagnosis evaluation, writ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문법 지도, 진단 평가, 글쓰기,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귀국 고등학생의 국어 학습 관련 인식 및 어휘 능력 실태와 그 교육 방안
신명선 ( Myung Sun Shin ) , 김원영 ( Won Young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5권 59~117페이지(총59페이지)
본고는 귀국 학생의 개념을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귀국 고등학생의 국어 학습 관련 인식과 어휘 능력 실태를 조사하고,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한 논문이다. 귀국 학생들은 귀국 이후 공교육 내에서 체계적인 교육적 처치를 받지 못해 귀국 이후 이들의 국어 능력은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언어 습득기 이전에 출국하는 경우 한국어 능력에 심한 결손이 생기기 쉬우며 어릴 때 출국할수록 그 결손은 크다. 귀국 고등학생 및 지도 교사와의 면담 및 설문 조사 결과 귀국 고등학생들은 국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지도 교사는 귀국 학생들을 지도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귀국 고등학생들의 어휘 능력은 저조한 편으로서, 사고도구어, 학습 어휘, 한자어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했다. 본고에서는 ‘교육 목표의 이원화’, ‘교육 내용의 구체화’, ‘지원 방안의 다...
TAG Returnee, High school returnee, Bilingual education, Global sensitive`s development, vocabulary skill, Korean study perception, Korean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귀국 학생, 귀국 고등학생, 이중언어교육, 국제화 교육, 어휘 능력, 국어 학습 인식, 국어 교육, 어휘 교육
우리나라와 미국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 세포 단원의 글의 구조, 어휘, 비유, 탐구형 질문을 중심으로 -
이병민 ( Byungmin L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5권 119~159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는 네 종의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와 한 종의 미국 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세포 단원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로 살펴본 내용은 교과서 내의 내용 및 텍스트와 관련된 부분으로 (1) 텍스트의 내용과 구성, (2)과학 교과서에서 사용된 전문어휘와 일상어휘의 비율, (3) 과학 교과서에서 사용된 비유의 사용 양상, (4)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질문의 양태와 탐구활동의 개방성 등이다. 이 네 가지 기준을 통해서 전반적으로 과학 교과서의 내용이나 활동의 유용성이나 이해의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다. 비교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들은 내용 구성에서 논리적 연관성이 부족하고, 전문 어휘를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비유를 사용한 경우가 적거나 비유를 사용한 경우 설명이 미흡한 경향을...
TAG language, science, analogy, inquiry questions, science education, textbook, 언어, 과학, 어휘, 비유, 탐구 질문, 과학교육, 교과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