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6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사관찰용 미술영재행동척도 개발 연구
강병직 ( Kang Byoung-jik ) , 맹희주 ( Maeng Hee-ju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4권 221~253페이지(총33페이지)
미술영재를 선발 할 때 잠재성을 중심으로 미술영재성을 판단 할 수 있는 관찰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선 교사들이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미술 영재성을 평가 할 수 있도록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미술영재행동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첫 단계에서 미술영재 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미술영재성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미술영재성 요인을 추출하여 ‘인지적 특성’, ‘표현적 특성’, ‘창의적 특성’, ‘정의적 특성’의 4개의 요인과 13개 하위요소로 구인화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 선정된 구인을 토대로 예비 문항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안면타당도 검토를 바탕으로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 문항에 대해 현장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요인 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TAG 미술영재, 영재판별, 행동척도, 교사관찰평가, 표준점수, gifted student, behavioral scale, teacher observative evaluation, standardized score
한국, 일본, 중국 근대미술교육의 변화양상 연구
이성도 ( Yi Sung-do ) , 김혜숙 ( Kim Hye-so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3권 1~26페이지(총26페이지)
한국, 중국, 일본의 근대미술교육은 당시 서구 교육사상의 흐름인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치젝 등의 미술교육의 이론과 아더 웨슬리 도우, 존 듀이 등의 미국미술교육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개되었다. 1900년 전후 유럽과 미국에서 미술을 전공한 일본 유학생들이 당시 서구미술교육의 흐름과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귀국 후 이를 이식하고 정착시켰다. 그 후 일본에 유학한 한국의 유학생은 우리나라 근대미술교육의 형성에 기여를 하였다. 중국 또한 유럽과 일본에 유학한 미술가나 교육자들은 서구 근대미술교육의 정착과 발전을 이끌었다. 서구근대미술교육의 이식과 정착 그리고 일본과 중국에서 근대 미술교육의 유입과 전개 등은 한국근대미술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습방법 등의 체계를 구조화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서구미술교육이 한국, 중국, 일본 등 ...
TAG 근대미술교육, 수용, 전개, 변화 양상, modern art education, reception, development, transition
미술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박명옥 ( Park Myeong-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3권 27~50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의 미술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미술교육 관련 융합인재교육연구의 방향을 제고해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STEAM교육연구 논문 가운데 ‘STEAM&융합인재교육&미술&예술’의 키워드로 검색된 총 110편을 대상으로 발행연도,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내용, 관련교과, 미술영역의 분석틀을 가지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중심 STEAM교육연구는 2014년을 기점으로 크게 증가하다가 2017년까지 소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감소율이 커지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에 따른 결과 개발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문헌, 실험, 사례, 혼합, 조사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에 따른...
TAG 미술교육, 융합인재교육, 연구동향, STEAM Education, art education, research trend
미술 비평문 쓰기 활동을 활용한 VTS 교육방법의 효과 연구
조민주 ( Cho Mean-joo ) , 손지현 ( Sohn Ji-hyu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3권 51~90페이지(총40페이지)
본고는 미술 비평문 쓰기 활동을 활용한 VTS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연구이다. VTS란 Visual Thinking Strategies의 약자로 감상자 간의 작품에 대한 대화 중심으로 작품의 의미를 탐구하여 시각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교육 방법이다. 본 연구는 VTS를 활용한 대화 내용과 학생들이 작성한 비평문을 평가하여 VTS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VTS 교육 방법을 활용한 감상 프로그램과 소그룹 미술관 감상을 실시하고, 수업과 미술관에서 나눈 대화 내용과 작품 감상 후 학생들이 작성한 비평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VTS의 교육 효과는 관찰력과 추론능력 발달, 해석의 다양성 이해를 통한 의견수정 증가, 미술 작가, 작품에 대한 관심 확대, 다양한 ...
TAG VTS, 미술 비평문,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미술관 교육, art critical writing, Visual Literacy, museum education
TV 광고를 활용한 비평적 읽기 미술학습 방안 연구 - 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
정민경 ( Jeong Min-kyo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3권 91~122페이지(총32페이지)
요즘 현대사회는 디지털 매체로 지식과 정보가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인간의 삶은 더욱 매체에 의존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은 대다수 초등학생들이 흔히 접하는 매체 중 지나치기 쉬운 TV 광고에 대해 심미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함양할 수 있도록 미술수업에서 어떤 방안으로 가르칠 것인가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TV 광고를 활용한 비평적 읽기에 대한 방향 설정과 실제 TV 광고를 활용한 비평적 읽기 미술학습에 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실행하는 것이다. 광고는 자본주의의 꽃으로 불리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일종의 거짓이며 궁극의 목적은 상품와 서비스의 구매 촉진에 있다. 흔하게 접하는 디지털 영상매체를 통한 광고는 동영상 광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아동기, 청소년기에게 더욱 영향을...
TAG TV 광고, 미술비평학습, 비평적 읽기, 기호학적 분석 방법, 시각문화 미술교육, TV advertisement, Educational art criticism, Critical reading, Semiological analysis, Visual art education
이미지 기반 소셜미디어의 미술교육적 접근 가능성 -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를 중심으로 -
김시내 ( Kim Si-na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3권 123~157페이지(총35페이지)
최근 소셜 네트워크의 핵심 화두는 플리커나 텀블러,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등 이미지 중심 소셜 네트워크의 급부상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소셜미디어는 현대의 가장 대중적인 시각이미지 생산의 장이며,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가 되어가고 있다. 집단지성의 교환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시각문화교육, 스마트 미디어와 연계, 태깅과 매쉬업 등의 공유적 도구와 방법을 활용한 미술교육으로의 접근을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이미지 기반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미술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실행 연구를 통해 자율적 탐색을 통한 반성적·성찰적 학습, 경험의 공유를 통한 상호 주관적 이해와 앎의 확장, 체험·표현·감상의 연계 학습, 발상과 표현의...
TAG 소셜미디어, 공유, 집단지성, 소통, 시각문화교육, Social Media, Sharing, Collective Intelligence, Communicati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유희적 미술체험을 통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기 사례를 중심으로-
장윤희 ( Jang Yoon-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3권 159~190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학교급 전환기 학습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와 스트레스에 유희적 미술체험이 어떠한 의미와 효과를 지니는지 탐색하고 실제 교육현장과 연계하여 미래의 학교교육의 관점에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학교급 전환기는 시험, 평가 및 경쟁에 지친 심리적 스트레스와 더불어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른 걱정과 불안 등의 감정이 복합적으로 표출될 수 있기 때문에 학사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 교육부는 그 대안으로 학교급 전환기를 진로·인문학·문화예술·체육 등의 체험활동이 가능한 자기개발의 시기로 지정하여 중앙부처간의 협업시스템구축, 우수운영사례 배포, 진로관련 프로그램 및 스마트교과서 개발 등으로 지원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사회적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창의성, 인성, 공감, 소통, 이해 등의 역량과 관...
TAG 학교급 전환기, 유희적 미술체험, 학교문화예술교육, School transition, playful art experienc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 연구
김선아 ( Kim Sun-ah ) , 강주희 ( Kang Joo-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3권 191~229페이지(총39페이지)
본 연구는 영재교육원, 영재학급 등에서 운영되는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책무성 본 연구는 영재교육원, 영재학급 등에서 운영되는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책무성을 높이고 준거에 기반한 미술영재교육 질 관리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술영재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에 기초하여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기준을 상세화하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타당성을 검토하여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을 최종 개발하였다. 그 결과,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을 ‘창작과 감상’, ‘통합적 탐구’, ‘실제적 경험’, ‘정체성과 전문성’의 4영역으로 구분하고 17개의 하위 내용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내용 요소를 진입 단계의 수준 1, 심화 단계의 수준 2, 확장 단계의 수준 3으로 연계, 심화할 수 있도록 수준별로 구체화하였다. 또한 레이어드(laye...
TAG 미술영재,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병행교육과정, the gifted in art, gifted education in art, program standards, parallel curriculum
초저출산시대 미술영재 육성방안 제언
백중열 ( Baik Jung-youl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3권 231~252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초저출산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미래세대를 선도할 미술영재 육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문에서 미술영재교육기관의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미술영재 발굴과 지도를 위해 미술영재의 개인성향과 특징에 대해 3명의 미술영재를 상담하고 관찰하여 종단 연구를 하였다. 그 내용을 토대로 미술영재 교육기관에서 참고해야 될 미술영재 특징과 육성방안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미술영재의 개인적 특징은 첫째, 오랜 시간 그림에 집중한다. 둘째, 관심이 있는 주제나 분야에 집착하거나 몰입한다. 셋째, 친구들과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넷째, 연령이나 성비는 소통하는데 장애가 될 수 없다. 다섯째, 자존감이 강하다. 그림 특징은 첫째, 그림이 섬세하다. 둘째, 또래에 비해 드로잉 능력이 뛰어나다. 셋째, 한 주제를 집요하게 분석하여 표현하다. 넷째,...
TAG 초저출산시대, 미술영재, 육성방안, super-low birth rate, the art-talented, training plan
미술과 인성 중심 성취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강도현 ( Kang Do-hyu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2권 29~66페이지(총38페이지)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등에 대한 심각성이 사회 문제로 크게 부각되면서 2009 개정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인성교육 강화 정책이 최근까지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교육부(2015)는 핵심역량 기반의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15년 인성교육 강화 정책을 기반으로 미술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미술교과의 핵심역량 및 인성계획 5개년 종합계획의 인성 역량, 핵심 가치와 덕목을 통한 각 교과에 적용된 연구들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인성 중심교육의 실천력 강화를 위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미술과 인성 중심 성취기준을 개발·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첫째, 전문가 조사(델파이 설문, FGI, 심층면담)를 통하여 2015 개정 미술...
TAG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술과 인성중심 성취기준, 미술과 성취 기준,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 인성역량, 2015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character-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 achievement standards of art subject, reorganization of art curriculum, character competencie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