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14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가지정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가심의 실태조사연구 - 최근 5년간(2010~2014)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
조홍석 ( Cho Hong-seok ) , 박현준 ( Park Hyun-j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110~125페이지(총16페이지)
1962년 문화재를 보존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수준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은 2000년 지정문화재를 대상으로 하는 대상적 범위의 극복을 위해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제도를 도입, 이후 허가 절차 및 대상 등의 보완을 위해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 작성 지침 제정(2006),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경미한 현상변경 행위 고시(2008) 등 지속적인 개선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개별 현상변경 허가처리 건수는 2010년부터 다시 증가, 2014년에는 총 1554건이 접수되었고, 그 중 약 29%가 불허 또는 심의 중에 있는 것으로 확인, 문화재 주변 지역주민들의 주민 불편사항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0~2014) 문화재위원회 가운...
TAG 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가제도, 통계분석, Cultural properties, Permission System for Construction Activities in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y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 Statistics Analysis
세계문화유산 종묘의 식생 경관 보존을 위한 연구
( HanGab-Soo ) , ( LeeChangHwan ) , ( HongMoonpyo ) , ( KimEujinJulia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7] 제15권 23~35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문화유산 종묘의 식생공간을 대상으로 역사와 현재를 분석하여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문헌자료를 검토한 결과, 종묘의 주요 식생은 소나무였으며, 수목관리도 함께 시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전란을 겪으며 종묘의 공간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 오지 못하였으며, 자연 천이와 복구위주의 식생관리로 지금의 식생경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종묘의 식물은 총 62과 136속 186종이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 2종, 귀화식물 22종이 서식하였다. 기존의 소나무군락은 축소되고 있으며, 참나무 위주의 식생경관이 형성되었고, 종묘의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수목이 다수 분포하여, 전통적인 식생경관 형성을 저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종묘 창건 이후 전통적인 식생경관의 복원을 위해서는 제례공간으로서의 공간특성과 문헌을 토대로 종묘의 ...
TAG World Heritage, Historic Landscape, Plant Field Survey, Landscape Restoration, Ritual Ceremonial Space, 세계문화유산, 전통식생경관, 식생조사, 식생경관복원, 제례공간
<하환정도(何換亭圖)>를 통해 본 칠원 무기련당(舞沂蓮塘)과 유회정(有懷亭) 일곽의 원형경관
노재현 ( Rho Jae-hyun ) , 손희경 ( Son Hee-kyung ) , 박태희 ( Park Tae-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1~13페이지(총13페이지)
<하환정도>의 제작 시점인 1860년경을 기점으로, 그림에 표현된 무기연당과 일곽의 정원시설 그리고 경관 등을 현재와 비교하여 고찰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하환정도>에는 내원(內園)인 국담(菊潭)을 중심으로 하환정(何換亭)과 풍욕루(風浴樓)가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1971년 이후 기양서원의 후신(後身)인 충효사(忠孝祠)와 영정각(影幀閣) 등이 보태졌다. 하환정 반대편 국담 지안(池岸)에는 3기의 괴석과 함께 다채로운 초화류와 화관목이 식재되었으며, 중도(中島)에는 봉황석(鳳凰石)과 납두석(衲頭石)의 배치와 함께 2종의 수목이 그려져 있는데 이 중 하나는 단풍나무로 확인된다. 그림의 외경(外境)에는 무기연당을 중심으로 상부로는 작대산과 천주산이, 하부로는 정충비각과 현재는 멸실된 비보숲이 묘사되어 있다. 주목할 만한 성과로 외경의 작대...
TAG 경(敬), 국담(菊潭), 별업(別業), 방지(方池), 석가산(石假山), Gyeong, Gukdam, Square Pond, Byeoreop, Seokgasan(Artificial Hill)
제주도 UNESCO 및 UNFAO 세계유산에 대한 인식 비교 -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중심으로 -
유원희 ( You Won-hee ) , 서세진 ( Seo Se-jin ) , 최병길 ( Choi Byung-k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134~143페이지(총10페이지)
제주는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 지정을 시점으로 15년간 총 5개의 유네스코 등재와 하나의 UNFAO 세계농업유산(GIAHS)에 등재되었다. 제주가 보유한 5가지 유네스코 타이틀은 생물권보존지역(2002), 세계자연유산(2007년), 칠머리당굿 무형문화유산(2009년), 세계지질공원(2010년), 해녀무형문화유산(2016년) 이며, UNFAO의 등재는 세계농업유산 제주밭담(2014년)이다. 이런 세계적 수준의 등재는 고도의 인식과 환경 보호의 가치를 상징하며 더불어 제주방문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세계적 유산의 중요성에 비해 제주도민과 방문객 대상의 인식 측정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의 세계적인 유산에 대한 인식과 인식 경로,...
TAG 제주유네스코유산, UNFAO 제주밭담농업유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인식, Jeju UNESCO Heritages, UNFAO GIAHS Jeju Batdam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Perception
3D맵핑 기법을 이용한 문화재지정구역 변화 모니터링
( Kim Jae-Ung ) , ( Lee Won-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7] 제15권 43~5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한 기술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드론의 경로비행 기법을 활용하여 문화재구역의 경관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경로비행의 3월에서 8월까지 경로비행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0.413㎢에 달하는 면적에 대해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한 결과 실측시간이 총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이중 문화재지정구역에 해당하는 0.221㎢에 대한 디지털데이터의 정합 및 Polygon Data작업을 통해 5㎝급의 3D맵핑 데이터가 구축되었다. 또한 하천내부의 변화공간에 대한 시계열 정보의 구축으로 문화재구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예천 선몽대 일원에 대한 3D 맵핑데이터의 분석결과 모래사장의 면적은 66,238㎡로 전체면적의 29.8%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TAG Drone, Historical Landscape, Route Flight, Natural Heritage, Landscape Monitoring, 드론, 역사경관, 경로비행, 자연유산, 경관모니터링
문화유산 관광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와 문화재활용 만족도 비교연구 - 중국 대명궁과 병마용을 중심으로 -
팽수 ( Peng Shuai ) , 교만 ( Qiao Man ) , 곽홍하 ( Guo Hhongxia ) , 정강환 ( Jeong Gang-hoan ) , 김주호 ( Kim Ju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144~164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 문화유산관광지 대명궁과 병마용을 방문한 중국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동기를 분석하였고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대명궁과 병마용의 문화재활용 만족도 차이를 조사하였다. 관광동기 요인분석에 대한 측정변수로 사용된 14개의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 검증과 ‘체험성, 문화매료성, 여가신기성, 사교성' 등 총 4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도출된 4개의 방문동기요인은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결국 2개의 군집(문화체험동기집단, 여가사교동기집단)을 지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문화유산관광객은 관광지에 대한 문화체험성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유산관광지 문화체험성에 대해 투입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명궁과 병마용의 문화재활용 만족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22개의 측정항목에 대해 T-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문화...
TAG 문화유산관광, 관광동기, 시장세분화, 문화재활용 만족도, Cultural Heritage Tourism, Tourist Motivation, Market Segmentation, Satisfaction Toward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현대 라이프스타일(Lifestyle) 관점에서 본 허균(許筠)의 『한정록(閒情錄)』
홍형순 ( Hong Hyoung-s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56~74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한정록』이 현대 라이프 스타일에 제시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정록』에서 추구한 삶의 행동방식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정신적 수행방법’과 ‘실천적 수행방법’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의 주류 라이프스타일을 검토한 결과, 웰빙 열풍에서는 즉물적이고 이기적인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소비문화가 왜곡되는 부작용도 있었다. 로하스는 마케팅(marketing)이 주도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느리게 살기운동은 삶의 가치 등 비물질적 측면까지 고려하는 차별성이 있으나, 커뮤니티(community)가 주도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힐링 열풍에 있어서 현대인은 자신을 치유해 줄 무엇인가를 갈구한다. 이들은 모두 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외부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며 상업성과 결부되기 쉽다는 취약점도 있다...
TAG 웰빙, 힐링, 은둔(隱遁), 고일(高逸), 한적(閒適), Well-being, Healing, Eun-doon(隱遁), Go-il(高逸), Han-jeok(閒適)
조경기술기반 LID 시스템 적용을 통한 선릉 · 정릉 권역의 첨두유출량 분석
김태한 ( Kim Tae-han ) , 최종희 ( Choi Jong-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126~133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조경기술기반 LID 시스템 적용에 따른 선릉·정릉 권역의 우수유출변화를 수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광화문 침수가 발생한 2011년 7월 27일 기준 최대순간강우량은 27일 10시에 기록된 183mm/hr로 시간당 최대강우량 57.5mm/hr에 비해 3배 이상의 강우강도가 10분간 집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토심기준 시나리오에서 담심 1,500mm의 경우 첨두유출량 제어가 가능하여 해당 조경기술기반 LID 시스템 적용 시 선릉·정릉 권역의 수해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담심 기준 시나리오에서 모든 토심 모형에서 첨두유출량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최초 우수유출을 토심 기준 시나리오에 비해 4시간 10분의 추가적인 지연효과를 기록하였...
TAG 우수 유출, 첨유유출저감, 토심, 담심, Stormwater Runoff, Peak Runoff Reduction, Soil Thickness, Berm Height
편액을 통해 본 중국 졸정원의 의미와 공간 특성
함광민 ( Ham Kwang-min ) , 손용훈 ( Son Yong-hoon ) , 이수화 ( Li Shu-hua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98~109페이지(총12페이지)
졸정원의 편액에 함의된 사유의 특성을 인지하고 유형화(類型化)하여, 공간과의 접목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졸정원의 편액은 세 그룹으로 유형화되었다. A그룹은 탑, 배, 삿갓 등을 포함하는 인공요소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선비가 갖추어야 할 기품과 청렴한 정신을 강조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누와 정자 등 조망성이 좋은 건축물이 이에 속하고, 수변에 근접하여 건축물의 한 면이 수면과 일체화된 것이 특징이다. B그룹은 비, 바람, 눈 등을 포함하는 기후요소를 통해 일시적 경관을 묘사하거나 정경적 분위기를 운운한 것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풍경을 조망하기에 좋은 가산의 정상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C그룹은 연꽃, 목련, 매화, 대나무 등 식물요소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정자, 관, 각, 당 등 다양한 건축물이 이에 속하며, 건축물은 수면...
TAG 공간 특성, 의미, 졸정원, 편액, Spatial Characteristics, Meaning, Zhuozhengyuan, Tablets
전통사찰 보존지의 가치 및 평가지표 도출 - 심층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쌍체비교를 중심으로 -
이영경 ( Yi Young K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14~28페이지(총15페이지)
유산보존에 대한 세계적 추세를 보면 유산의 궁극적인 보존대상을 “가치”로 정의하고 가치 중심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사찰 보존지는 대부분 1000년이 넘게 지속되어온 지역으로, 문화, 종교, 자연이 어우러진 복합유산이다. 따라서 전통사찰 보존지의 관리는 이러한 다양한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가치 중심 관리계획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사찰 보존지의 가치와 지표를 도출하고 중요도를 평가하여 전통사찰 보존지의 가치보존에 기여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문헌조사, 현장답사,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전통사찰 보존지의 가치와 지표를 도출하고 중요도 평가가 수행되었다. 전통사찰 보존지의 가치와 지표는 상위, 중위, 하위 계층으로 구분된다. 상위계층...
TAG 전통사찰, 문화유산, 유산평가, 유산관리, 유산보존, Traditional Temple, Cultural Heritage, Heritage Assessment, Heritage Management, Heritage Conserva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