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115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노인요양병원 병실 치유환경 향상을 위한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WELL Building Standard를 적용한 체크리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고가로 ( Gao Jialu ) , 김인성 ( Kim In-s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263~276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생활수준의 향상 및 의학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노령화에 진입하고 노인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요양병원에서 중요한 치유환경요소의 연구와 반영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병실환경 속에서 가정과 같은 친근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은 노인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병실공간의 건강과 웰빙(well-being)을 고려한 정신적 치유환경 디자인을 목표로 기존의 국내 요양병원의 사례를 분석하고 가능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기존에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한 ‘치유환경 디자인 체크리스트’를 적용하여 국내 8곳의 노인요양병원 병실 사례분석을 진행한 뒤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각각의 평가항목 기준의 반영...
TAG Geriatric Hospital, Multi-person bedroom, Healing Environment, Checklist, WELL Buildign Standard, 노인요양병원, 다인실, 치유환경, 체크리스트, 웰빌딩스탠다드
권역응급 의료환경개선을 위한 의료 서비스 디자인 -영남대학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이애리 ( Lee Aerhee ) , 노권찬 ( Roh Kwonchan ) , 이돈일 ( Lee Don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277~289페이지(총13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응급의료 환경은 1960년대 이후 본격적인 근대병원이 지어지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 공공의 개념인 국가적 지원으로 응급환자 후송을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는 다양한 인재를 겪으면서 1994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었고 이는 현대 응급의료체계구축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면서 응급의료체계는 선진국과 비견할 수준에 도래했지만, 응급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응급실에서는 서비스 불만족과 시스템적 소통 갈등으로 또 다른 서비스 사각지대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의료 서비스 디자인을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의 종합병원에서도 서서히 외국 사례를 바탕으로 의료 서비스 디자인을 접목하여 응급의료센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
TAG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Medical Service Design, Medical Service, Emergency Medical Center, Emergency Room, 권역응급의료센터, 의료서비스디자인, 의료서비스, 응급의료센터, 응급실
부석사에 나타난 공간의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배치특성 연구
박현아 ( Park Hyuna ) ,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291~299페이지(총9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찰인 부석사의 비위계적 배치특성을 리좀적 경향으로 그 상관성을 밝혀 그 특성을 도출한다. 부석사의 대표적인 공간인 일주문, 천왕문, 범종각, 안양루, 무량수전의 배치특성을 분석하고, 부석사의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배치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분석의 기본안을 마련한다. 이는 부석사 공간 배치와 리좀화의 비위계적 관계성을 파악 할 수 있다. 부석사의 역사적 공간특성과 구성요소를 고찰하며, 리좀 이론을 바탕으로 부석사 공간의 특성 및 배치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부석사의 대표적인 공간들을 비위계적 배치특성으로 구분하여 연구하려 한다. 부석사 공간의 배치를 형태적, 구조적, 의미적 관점의 분석으로 연구된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토대로 부석사 공간에서 나타나는 리좀화 경향과 비위...
TAG Pusoksa, Non-hierachical, Rhyzome, Space arrangement, Traditional temple, 부석사, 리좀, 비위계적, 공간배치, 사찰건축
경기문화재단 소속 뮤지엄 수장고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독립형 공유수장고 도입을 중심으로-
박진호 ( Park Jinho ) ,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301~310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경기도는 전국에서 보유 박물관과 미술관의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또한 유일하게 지역의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을 경기문화재단에서 통합 관리·운영하고 있어 지역 중심의 공공수장고를 건립하여 운영하기에 효율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운영을 살펴보면 보유자원 측면에서 서울의 박물관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수장공간과 인력 부족의 문제는 심각하기에 개방형 수장고와 독립 수장고로 박물관의 수장기능을 분화하고 전문성을 갖춘 사례를 적용하여 개선 방안을 구상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기존 유사 주제의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새롭게 구축되고 있는 신개념 수장고의 개념변화를 정리하여 특징을 유형화 한다. 둘째, 경기문화재단 소속 6개 기관의 수장고 현황과 유물의 특징을 관계자의 심층면담과 실태파악을 ...
TAG Open storage, Independent storage, Public storage, Cultural resource center,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개방형 수장고, 독립 수장고, 공공수장고, 문화자원센터, 경기문화재단
지역 정체성 기반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아트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국내 지역 연계 프로젝트 사례 중심으로
이효연 ( Lee Hyoyeon ) ,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311~318페이지(총8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적으로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와 발전을 겪고 있다. 그러나 초기 산업들이 쇠퇴하고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개발함으로 인해 지역들이 가지는 고유의 환경과 의미를 상실하는 초래를 가져오면서 지역 정체성은 점차 상실되었다. 도시를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문화 산업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었고 사회적 관계와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커뮤니티적 측면에 집중되었다. 또한, 현재 창작스튜디오, 대안공간 등 여러 시설에서 지역 연계 프로젝트와 콘텐츠를 만들어 오래된 지역 환경을 개선하고, 공동체 의식 형성과 지역 발전과 정체성 형성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커뮤니티 아트를 활용한 국내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가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추구하는지를 분석하고, 커뮤니티 아트의 중요성과 ...
TAG Regional identity, Resident Participation, Community art, regional activation, Urban Regeneration, 지역 정체성,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아트, 지역 활성화, 도시재생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현창용 ( Hyun Changyong ) , 이재영 ( Lee Jae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319~328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건축물은 조성에 소비된 공적자본의 제공자이자 권리자인 시민들의 자유로운 이용 가능성을 담보하지만, 한편으로 대부분의 공공건축물들은 정치적, 행정적 업무의 수행 근거점으로서 보안을 위한 행위의 제한이 요구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공청사시설이 제공하는 대민 서비스공간의 구성 방식에 따라 시민들이 경험하게 되는 공간적 양상이 달라짐을 밝히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논거를 통해 바람직한 공공청사시설 공간이 가져야 하는 구조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를 정량적 결과를 함축하는 공간구조 분석 방식을 통해 밝힘으로서 국내 공공청사시설이 가지는 대민공간을 건축적으로 진단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건립된 대표적인 국내 지자체 공공청사시설 중 도면분석이 가능한 사례를 추출해 연구의 대상...
TAG Public Buildings, Government Buildings, Spatial Structure, Public Space, Typology, 공공건축, 공공청사, 공간구조, 대민공간, 유형학
인천 버스차고지 특성분석에 따른 유형화 및 복합화 개발방향 제안
김서경 ( Kim Seokyoung ) , 이태영 ( Lee Tae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329~341페이지(총13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버스차고지는 도시계획시설 중에서도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교통시설로써 도시민의 주요 교통수단인 버스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를 돕는 필수 시설이지만, 시가지 확장에 따라 도심 내에 편입되었음에도 인접지역과 연계되어 진화하지 못하고 본래의 기능만을 유지하면서 소음, 매연, 빛공해 등을 유발하는 지역 내 기피시설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배경으로 지역의 필요시설을 복합화 할 경우 주민 생활의 편의성 증대, 지역 정주환경 개선, 주민복지 향상, 토지의 효율적 활용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어 관련 선행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서울시 주거지 내에 위치한 버스차고지로 대상이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지역의 버스차고지를 대상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여 보다 다양한 입지적 여건의 버스차고지에 대...
TAG Bus Garage, Multi-dimensional Planning, Mixed-use Development, Incheon, Urban planning facilities, 버스차고지, 입체도시계획, 복합화, 인천광역시, 도시계획시설
국내 월드컵경기장 부지 내 외부공간 현황조사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유다솔 ( Yu Dasol ) , 유영수 ( You Youngs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343~354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인 월드컵은 개최국 및 개최도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월드컵 이후 시설 유지 및 관리는 주최 측에 큰 부담이 되기 때문에 월드컵경기장에 대한 활용방안이 중요하다. 국내 월드컵경기장은 월드컵 이후 시설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월드컵경기장 외부공간에 주목하여 전략적인 활용방안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FIFA의 월드컵경기장 시설기준 검토와 선행연구를 통해 월드컵경기장 외부 공간 활용을 위해 분석에 필요한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법/제도 검토를 통해 경기장 활용에 대한 제한사항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월드컵경기장의 공간적 특성, 활용현황, 도시적 맥락을 통한 활용방안의 유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공간적 특성에서 경기장의 시설현황 및 단지의...
TAG World cup Stadium, Stadium stand under space, External space, FIFA, 월드컵경기장, 스탠드 하부공간, 외부공간, 활용방안
AIP를 위한 노인공동체 주거 유형에 관한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 , 황용섭 ( Hwang Yongseup ) ,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355~366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노인 1인 가구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가구 구성대비 경제·건강·소외·무위 문제에 취약하여 사회·경제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노인공동체 주거는 노인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거주하고자 하는 욕구(AIP)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서, 노인에게 안정적인 주거의 제공과 함께 지역 사회 참여를 높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 노인의 AIP 실현할 수 있는 주거 대안으로서 노인공동체 주거의 공간적·사회적 환경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노인의 특성과 국내 노인주거 실태를 알아본다. 둘째, 노인과 공간공유 및 생활교류를 하는 개별 단위주택과 집합주택, 단지 또는 마을을 대상으로 한다. 셋째, AIP...
TAG Aging Society, Senior Single-person Households, AIP, Senior Community Housing, Types of Housing, 고령 사회, 노인 1인 가구, AIP, 노인공동체 주거, 주거 유형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공간 특성에 관한 분석
유단경 ( Liu Danqiong ) , 이자영 ( Lee Jayoung ) , 전현상 ( Jeon Hyeonsang ) , 황연숙 ( Hwang Yeon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367~375페이지(총9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한국의 저출산은 맞벌이 가정증가, 여성의 사회적 진출, 양육비용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보육공간 구성 및 특성을 파악하고 직장어린이집 사례조사를 통해 보육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직장어린이집의 질적인 보육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서울을 중심으로 2010년 이후 개원한 400㎡ 이상의 직장 내 보육시설 4개소를 조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보육공간의 공간특성에 대해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사례조사를 통해 직장보육시설의 공간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어린이집 주요 보육공간은 보육실, 유희실, 화장실로 구분하였다. 특히 직장어린이집은 대부분 사업장 내 한층 규모...
TAG Workplace Nursery Facilities, Nursery Space, Space Characteristics, Nursery Room, Play Room, 직장보육시설, 보육공간, 공간특성, 보육실, 유희실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