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115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대규모 공연장의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연구 -휠체어 이용자를 중심으로-
우채영 ( Woo Chaeyoung ) , 유준아 ( Yu Jun-ah ) , 황연숙 ( Hwang Yeo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7호, 497~506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본연구는 장애인의 공연 관람 및 문화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대규모 공연장 내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조사를 통해 서울시 대규모 공연장의 BF인증 현황을 파악하고 인터뷰조사를 통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의 공연장 내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사항과 불편 사항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지체장애인 중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으로 제한하며, 대상의 범위로는 대규모 공연장의 조건인 관람석 1,000석 이상 3,000석 미만의 관람장 중에서 2000년대 이후에 설립된 공연장으로 제한하였다. (결과) 첫째, 대규모 공연장의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BF인증기준을 관람석, 접수대, 주출입문, 주차장으로 구분하여 평가한...
TAG Concert Hall, BF Certification, Wheelchair Users, The Disabled, Satisfaction Survey, 공연장, BF인증기준, 휠체어 이용자, 장애인 편의시설, 만족도조사
스튜디오 뭄바이 주택에 나타난 지역적 재료와 빛의 공간적 특성
김자영 ( Kim¸ Jayoung Eunic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11~20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 배경 및 목적) 1995년 Bijoy Jain이 설립한 Studio Mumbai는 2006 년부터 디자인의 독창성과 디자인 접근법을 인정받아 다수의 국제적 건축상을 수상한 후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Bijoy의 건축 철학을 바탕으로 독특한 디자인 특징을 담고 있는 2003년~2011년에 완공된 Studio Mumbai의 주거 프로젝트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 지역 재료의 사용과 대지의 환경적 특성의 이해가 설계과정에 밀접히 적용되었을 때 어떠한 가능성을 제시하는지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제2장에서는 사례 분석에 앞서 Bijoy Jain의 건축 철학과 설계에 접근하는 배경을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제3장은 2003년부터 2011년까지의 다양한 주거 프로젝트의 디자...
TAG Studio Mumbai, Local Material, Light, Relationship with Site, Spatial Effect, 스튜디오 뭄바이, 지역 재료, , 대지와의 관계, 공간적 영향
구성주의적 학습 원리가 적용된 미술관의 어린이 온라인 플랫폼
윤주현 ( Yoon¸ Joo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21~33페이지(총13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 미술관과 같은 문화예술기관은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에 예술적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람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박물관에 방문하는 사람들은 일반 성인, 청소년, 노인에서 어린이까지 전 세대에 걸친 사람들이다. 방문자의 이해도와 관심의 수준이 매우 폭넓기 때문에,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은 어떻게 모두에게 적합한 소통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특히 디지털 접근이 활발해진 동시대적 필요를 고려하고, 구성주의적 학습이 중요한 어린이를 고려하여, 미술관의 어린이 온라인 플랫폼이 교육적 목적을 위해 어떻게 디자인 되어야 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도출된 원칙들을 박물관 전시에 적용할 것을 주장하면서, 이를 어린이 온라인 플랫폼 디자인에 구현하는 방법을 찾...
TAG Museum for Children, Constructivist Learning, Online Platform, Exhibition Design, Museum Education, 어린이 박물관, 구성주의적 학습, 온라인 플랫폼, 전시디자인, 박물관 교육
건축의 정의 -현재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한 역사적 연구-
파비오다카로 ( Fabio Dacarr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35~46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각 시대마다 건축에 대한 그 시대만의 정의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근대 운동(Modern Movement)’의 비판적 개정 이후, 우리 시대에는 더 이상 공유된 건축에 대한 개념을 만들 수 없었거나, 만드는 데에 관심이 없었다는 의견을 흔히 접할 수 있다. 오늘날 이론의 세계는 무수히 많은 개별적 입장으로 분열되었다. 이러한 명백한 문화적 이탈은 현대 정보 출처 중 가장 세계적인 현대의 정보 출처인 위키피디아에서도 눈에 띄는데, 위키피디아가 내린 건축에 대한 정의는 비(非)정의라고 보일 정도로 광범위하다. 본 연구는 위키피디아의 정의가 학문적 맥락에서 정교하게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우리시대의 지배적인 건축적 사고를 나타낸다는 입장을 피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광범위하고, 따라서 명백히 일반적인 정...
TAG Architecture definition, Contemporary, Historical definitions, Mannerism, Wikipedia, 건축의 정의, 현대의, 역사적 정의, 매너리즘, 위키피디아
1970년대 단편소설 속 일상 경험 분석을 통한 ‘집’으로서의 아파트 의미
이근혜 ( Lee¸ Keunhye ) , 안은희 ( An¸ Eunh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47~59페이지(총13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아파트는 다양한 주거 공간의 형태 중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1970년대의 아파트는 서양문화의 경험, 중산층으로의 진입 등 다양한 이슈들을 야기하며 핵심적인 사회적 이슈로 다루어졌다. 이처럼 아파트가 한국을 대표하는 주거 공간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던 1970년에 대한 논의는 주거 공간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물리적인 요소 즉, 형태나 재료 또는 당시 아파트에 대한 인식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사회적, 미시적 (일상적) 관점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 문화의 주거 공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상 경험에 대한 분석은 중요하다. 이처럼 아파트에서의 일상 경험에 대한 분석은 한국 아파트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좋은 연구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197...
TAG Apartment, Everyday Life, Home, 1970s, Short Story, 아파트, 일상, , 1970년대, 단편소설
다중목적 최적화 알고리즘 기반 복합커뮤니티공간 디자인 연구
주형일 ( Ju¸ Hyungil ) , 이우형 ( Lee¸ W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61~74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내 유휴부지를 활용하여 녹지공간 및 생활 SOC를 확충하는 복합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의 본질은 도심에 위치한 복합커뮤니티공간으로서 가장 필수적인 환경적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지의 인접 컨텍스트의 영향이 반영된 외부공간과 건축물과의 환경적 최적관계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그 대안으로 최적화 알고리즘을 활용한 복합커뮤니티공간설계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특정 조건을 가진 예제를 설정하고, 환경 데이터와 연동된 다수의 조건을 동시에 연산하는 다중목적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 배치 및 건축물 설계안을 도출한다. (연구방법) 예제로 기존 시설의 철거로 지역의 물리적, 사회-경제적 경계로 남아있는 유휴부지를 선정하고, 일사조건과 연동된 최적 건물배치 및 형태를 중심으로 전체 복합커뮤니티공간에 대한 ...
TAG Parametric, Multi Objective Optimization, Genetic Algorithm,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Performance Based Design, 파라메트릭, 다중목적최적화, 유전알고리즘, 친환경 건축, 성능기반설계
역사계 박물관의 기획전시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곽정은 ( Kwack¸ Jeongeun ) ,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75~89페이지(총15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수많은 역사계 박물관은 미래세대를 위한 기록의 보존과 지식의 확장, 문화의 향유라는 목적 아래 존재해오고 있다. 세계의 역사적 기록물인 박물관 소장품은 전문적인 보존 및 복원 과정을 통해 미래세대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은 역사계 박물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볼 수 있으며, 이렇게 보존된 소장품들은 박물관 전시의 중심 콘텐츠가 된다. 최근 역사계 박물관에서는 가변성이 뛰어나 다양한 전시 연출이 시도되는 기획전시에서 다방면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활용된 콘텐츠를 통해 관람객들의 방문을 유도하며 흥미와 체험을 더한다. 그러나 시도에 따라 소장품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소장품 보존에 대한 사전연구가 필수적이며,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이 전시에 부합하도록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
TAG Historical museum, Special exhibition, Interaction media production, Interactive, Museum collection, 역사계 박물관, 기획전시, 인터랙션 미디어 연출, 인터랙티브, 박물관 소장품
광역버스 환승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영채 ( Park¸ Youngchai ) , 김주연 ( Kim¸ Jooyun ) , 장영호 ( Jang¸ Youngho ) , 백승경 ( Back¸ Sungke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91~101페이지(총11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수도권의 생활범위가 서울에서 경기지역으로 분산되어 공동생활권이 되면서 교통, 환경 등 각종 갈등이 늘어나고 있다. 대중교통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광역버스의 환승공간이 배치된 지역의 가로변 정류장은 포화상태를 보이고 있다. 일정시간대에 몰리는 버스대기 승객으로 인해 보행가로의 혼잡 유발 등의 문제와 대중교통 정류장 관련 디자인가이드 라인이 광역버스 환승공간에는 적용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길찾기 및 정보 습득에 불편 및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버스 환승공간을 대상으로 사용자 관점에서의 이용상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광역버스 환승공간의 질적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의 개선 방향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서울과 경기권이 접한 지역의 광역버스 환승공간 중 2개소를 대상으로 이용현황...
TAG Public Design, Universal Design, Bus Shelter, Rapid Bus, Transfer, 공공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버스 환승공간, 광역버스, 환승
플래그십 스토어의 인터랙티브 환경적 경험 디자인 연구
이정민 ( Lee¸ Jeongmin ) ,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103~116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배경으로 급속히 변화하는 유통산업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 기준도 개성화되고 있다. 그래서 오늘날 소비자들은 온라인 중심으로 소비 형태가 변하면서 상품 판매보다 브랜드 경험에 무게를 둔 체험형 오프라인 공간에 접근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판매형 오프라인 공간을 줄이고 오랜 시간 머물게 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체험’을 유도하는 흐름이 더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체험형 공간이 대두되고 있음에 따라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체험형 오프라인 공간에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연구를 통해 소비자에게 다양한 방식의 소통과 경험 창출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한다. 이를 위하여 소비자의 경험으로 상호작용 하는 브랜드 체험공간을 디자인을 향상시키고자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기반으로 플래그십 스토어에 내재된 환경적 경험디자인 특성과 중요...
TAG Flagship store, Brand experience space, Interactive, Environmental experience, Theory of experience,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 체험공간, 인터랙티브, 환경적 경험, AUX, 경험이론
심리적 안정감을 위한 복합상업시설 오픈스페이스 계획에 관한 연구
최민석 ( Choi¸ Minse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6호, 117~131페이지(총15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복합상업시설 오픈스페이스가 가진 열린 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이용자가 낯선 타인과의 접촉과 시선에 노출되어 체류하는 동안 심리적 불안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복합상업시설을 위한 디자인 계획은 공간의 시각적 개선방안과 더불어 타인과의 관계 속에 편안하고 안정적인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구성과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용자들이 자신의 목적에 맞게 여유로운 공간 영위가 가능할 수 있는 계획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진화론적 인간반응 이론을 기반으로 복합상업시설 오픈스페이스의 물리적 환경에 투영하여 안정적 공간감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구성과 배치에 대한 계획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연구는 진화론적 인간 반응에 대한 이론에서 나타내는 안정감을 형성하는 공간구조를 투영하여 복합상업시설 오픈스페이스에서 안정감을 형...
TAG Commercial multi-complex, Open space, Evolution theory, Spatial psychology, Sense of stability, 복합상업시설, 오픈스페이스, 진화론, 공간심리, 안정감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