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7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4차 산업혁명과 불교윤리
장성우  한국종교교육학회, 한국종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7] 제2017권 제1호, 39~53페이지(총15페이지)
「4차 산업혁명과 불교윤리」를 읽고
김동한  한국종교교육학회, 한국종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7] 제2017권 제1호, 55~56페이지(총2페이지)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물인터넷의 `관계`와 인공지능 -원불교 종교교육의 도전과제
염승준  한국종교교육학회, 한국종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7] 제2017권 제1호, 91~97페이지(총7페이지)
「4차 산업혁명과 가정연합의 교육」을 읽고
이재일  한국종교교육학회, 한국종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7] 제2017권 제1호, 121~122페이지(총2페이지)
양극화 현상 극복을 위한 가톨릭교육의 역할-가톨릭교육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경이 ( Kim Kyungyee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7] 제53권 1~27페이지(총27페이지)
양극화 이슈가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문제가 되고 있다. 양극화는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내포하고 있으며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원인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양극화 현상에 대한 가톨릭 사회교리의 가르침을 탐구하고, 양극화라는 상황에서 가톨릭 교육자의 역할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극화 현상이란 무엇이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둘째, 양극화라는 사회 문제에 대한 가톨릭 사회교리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셋째, 가톨릭 사회교리에 바탕을 둔 가톨릭 교육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연구 방법론은 문헌연구로서 관련되는 선행연구와 가톨릭 사회교리 문헌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가톨릭 사회교리 문헌 분석을 통해 제시하는 양극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배척의 경제. 돈의 우상화, 지배적인 금융시스템, 불평등을 심화하는 폭력성과 문화적 도전들이었...
TAG 양극화, 가톨릭 사회교리, 정의, 공동선, 연대성, 가톨릭교육, 가톨릭교육자, social polarization, solidarity, justice, Catholic social teaching, common good, Catholic Education. Catholic Educator
양극화 시대 불교종립대학 신입생 불교교육의 역할과 방향
정귀연 ( Jeong Kwiyeon ) , 김세곤 ( Kim Sego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7] 제53권 29~54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시대에 불교종립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불교교육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양극화가 심화되는 사회에서 나고 자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의 틀과 삶의 양태를 살펴보고 그들의 가치체계와 인생의 목적, 정서적 특징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교교육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이 시대 대학생들은 부모와의 분리개별화 문제, 내재적 가치의 소외와 외재적 가치의 집중에 따른 문제, 사회 불안정성에 따른 심리적 불안 등의 양태를 보였고 자신들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과도한 취업준비, 학벌에의 집착, 역할혼미 등의 양태를 보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불교 종립대학에서 시행되는 불교교육은 불교에 관한 교육과 불교적 교육의 이원적인 역할을 잘 구현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TAG 불교종립대학, 대학신입생, 양극화, 불교교육, 역할과 방향, polarization, freshman, lived experience, Buddhist education, role and direction
한국 SGI의 공공윤리 교육연구
김용환 ( Kim Yong Hwa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7] 제53권 55~76페이지(총22페이지)
`불온한 왜색종교`로 이 땅에 들어온 창가학회는 오늘날의 한국 SGI로 성장하였다. 독자적인 재가신도중심 종교단체로서 성장하면서 전통적인 불교승려 집단과 결별하였다. 한국 SGI의 종교교육은 종교윤리의 실천교육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일념삼천의 우주론과 입정안국의 공공실천에서 사심(私心)을 공심(公心)으로 전환하는 십계호구의 법리를 제시한다. 또한 삼대비법의 존재론과 자행화타의 공공실천에서 공사공매(公私共媒)가 가능한 제목창제 법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일생성불의 인간론과 광선유포의 공공행복의 실천에서 이체동심(異體同心)의 법리를 나타냈다. 언급한 세 가지의 법리는 『법화경』에 그 연원을 둔다. 따라서 한국 SGI 교학은 일본의 `니치렌 불법(日蓮 佛法)`에 근거하되, 『법화경』의 대승불교의 천태정신을 계승하고 있으며 공공윤리 실천을 지향한다. 이는 붓다...
TAG 한국 SGI, 십계호구, 제목창제, 이체동심, 공공윤리, 우주신인론 영성, Korean SGI, activating the private to opening the public, mediation the private with the public, fulfilling the public-common ethics
무의식의 담론과 마음교육-대행선사(大行禪師)와 프로이트(S. Freud)를 중심으로-
김영래 ( Kim Young Rae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7] 제53권 77~100페이지(총24페이지)
본 논문은 무의식의 담론에 근거한 마음교육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대행선사(大行禪師)와 프로이트의 마음관과 마음교육관을 비교분석하였다. 대행선사는 인간 본성(本性)의 회복 과정을 `현재의식`과 `잠재의식`의 관계를 가지고 설명하고 있으며, 본성의 깨달음이란 현재의식과 잠재의식이 합일되는 경험이라고 설파한다. 프로이트도 이와 유사하게 마음을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으며, 무의식(또는 이드)의 영토를 현재의식(또는 자아)의 영토로 편입시켜가는 것이 정신분석의 목표임을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두 담론의 용어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종교담론과 학술담론으로서의 내용적인 차이가 적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담론은 마음의 심층구조에 대한 통찰에 있어서 구조적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현재의식과 잠재의식, 의식과 무의식의 ...
TAG 대행선사, 프로이트, 주인공관법, 정신분석, 현재의식, 잠재의식, 무의식, Daehaeng Seon Master, Sigmund Freud, Ju-in-gong meditation, Psychoanalysis, Consciousness, Sub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이향만 ( Lee Hyang Ma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151~169페이지(총19페이지)
현대교육에서 새롭게 부각된 과제 가운데 하나가 인성교육이다. 현대의 교육이 취업을 위한 도구적인 교육에 치중하면서 인성교육의 역할을 상실한데 그 원인이 있다. 인성교육은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격체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종교교육은 인성교육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종교교육은 실종된 인성교육을 회복하기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다만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은 선교나 교리교육의 차원이 아니라 보편적 인성함양의 차원에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종교문화를 구성하는 보편적 요소가 갖는 교육적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특별히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서사, 수행, 의례, 윤리, 사회에 내재되어있는 인성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이미 시행되어온 전통적인 인성교육의 의미를 되짚어보...
TAG 종교교육, 인성교육, 서사, 수행, 의례, 윤리, 사회, 종교문화, religious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narrative, performance, ritual, ethics, society, religious culture
도덕적 리더십의 관점에서 본 예수와 공자의 교육 리더십
구본만 ( Koo Bonma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39~70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도덕적 리더십의 원리들이 예수와 공자의 제자 교육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낸 도덕적 리더십의 9가지 원리는 가치에의 팔로워십 구축, 윤리덕목의 내면화, 도덕적 권위 형성, 가치와 이상의 공유, 자기 동기화의 강화, 권한화(리더십 공유), 협력문화 구축, 신뢰관계 구축, 도덕적 공동체 형성 등이다. 이 9가지 원리에 따라 예수와 공자의 교육 리더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수와 공자는 가치와 비전에 대한 확고한 `팔로워십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예수와 공자는 `윤리덕목이 내면화된 모범적 삶`을 통해 몸소 제자들의 본보기가 되었다. 셋째, 예수와 공자는 지혜와 학문적 전문성에서 나오는 `전문적 권위`와 올바른 가치에의 충실성과 솔선수범하는 삶을 통해 형성한 `도덕적 권위`...
TAG 도덕적 리더십, 가치에의 팔로워십, 윤리덕목, 도덕적 권위, 도덕적 동기유발, 가치와 비전의 공유, 자기 동기화, 임파워먼트, 도덕적 공동체, moral leadership, followership for values, ethical virtue, moral authority, moral motivation, shared values and vision, self-motivation, empowerment, moral commun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