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연구소92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신간 시집 속의 시 한 편
공광규 , 윤사순 , 강서일 , 최윤경 , 나고음 , 마종기 , 전인식 , 허진석 , 황동규 , 우정연 , 맹숙영 , 정일남 , 이명 , 이영춘 , 곽문연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3권 269~286페이지(총18페이지)
중관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
정상교 ( Jung¸ Sang-kyo )  한국불교사연구소, 한국불교사연구 [2020] 제18권 5~31페이지(총27페이지)
본 논문은 국내에 출판된 중관학 연구서적의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용 중관학 교재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먼저 중관학 분야 연구서들을 크게 1. 국내 연구서, 2. 연구 번역서, 3. 역주서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4. 중관 교재의 편찬 방향’에서는 필자 나름의 대학 교재로서의 중관 서적에 대한 목차를 제시해 보았다. 중관학에 대하여 김성철은 90년대 후반부터 연구서, 번역서는 물론 역주서에도 많은 저서를 남겨 후학들에게 중관학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박인성 역시 연구서와 『중론』 산스크리트본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통해 『중론』 연구에 기여하였고 이태승, 남수영은 중후기 중관 논서의 연구로 중관학의 지평을 넓혀왔다. 이후 김정근의 쁘라산나빠다 역주는 국내 『중론』 및 중관 연구에 또 다른 기반을 제공해준 매우 소중...
TAG 중론, 쁘라산나빠다, 중관학, 중관 연구서, Mūlamadhyamakakārikā, The Madhyamaka, Madhyamaka research book
유가 유식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
안환기 ( Ahn¸ Hwan-ki )  한국불교사연구소, 한국불교사연구 [2020] 제18권 33~77페이지(총45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불교사연구소에서 기획한 ‘인문학 불교학 전공교재 간행의 구성목차와 수록내용-기존 역서와 저서의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라는 주제에 맞추어 유식학에 초점을 두고 논한 것이다. 우선, 현재 출판된 유식학 서적을 크게 번역서와 국내학자의 저술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번역서는 유식학 원전[경전과 논서]의 번역서와 외국학자의 저서를 번역한 책으로 나누고, 국내학자의 저술서는 개론서, 유식사상을 응용한 저서로 분류했다. 이를 검토한 후, 필자는 목차를 크게 3단원 즉, 유식학 입문[유식의 의미, 유식사상사], 유식학 심화[핵심개념의 기원, 원전의 근거제시], 유식학 응용[현대사상과 비교, 명상 및 상담치료에 응용]으로 구성한 후 각 단원에 담을 내용을 간략하게 제안했다.
TAG 유식학, 전공교재, 유식학 입문, 유식학 심화, 유식학 응용, Yogācāra thought, text book, entrance into Yogācāra thought, deepening of Yogācāra thought, application of Yogācāra thought
법화 천태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
지혜경 ( Ji¸ Hye-kyung )  한국불교사연구소, 한국불교사연구 [2020] 제18권 79~107페이지(총29페이지)
법화 천태사상은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여 천태지의가 세운 불교사상이다. 한국에서는 단일교단으로 오래도록 융성하지 못하였으나, 동아시아 불교의 교학적 뿌리를 제공한 중요한 사상이다. 때문에 법화 천태 사상의 중요성에 비해 한국에서의 연구는 미미한 편이며, 출판된 연구서나 입문서도 적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교재들과 현재 출판된 책들은 새로운 교재의 방향과 내용을 모색하는데 충분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입문서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법화 천태사상의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법화 천태사상에 대한 입문서들은 크게 천태사상, 법화사상, 두 사상을 응용한 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교재를 만드는 데 있어서 법화사상보다는 천태사상에 초점을 맞춘 책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낫다. 법화 천태사상의 핵심은 천태사사에 있기 때문이다....
TAG 법화 천태사상, 교재, 법화경, 천태학, 불교 교재, Fahua-Tienta teaching, Lotus Stura, Tientai school, textbook, textbook for Buddhist teachings
화엄사상 교재의 간행 현황과 비판적 검토
임상희 ( Lim¸ Sang-hee )  한국불교사연구소, 한국불교사연구 [2020] 제18권 109~135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바람직한 화엄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모색하기 위해 기존 교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글이다. 필자에게는 ‘화엄 법성사상’보다 ‘화엄사상’이 포괄적인 표현으로 여겨졌으며, ‘화엄사상’보다 ‘화엄학’이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 화엄학의 정체성을 뚜렷이 하기 위해서는 화엄학이라는 카테고리 안에 화엄사상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본다. 화엄사상은 ‘대승불교 경전인 『화엄경』을 근거로 하여 동아시아에서 정립된 (화엄종의) 사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엄경』의 한글 번역 현황을 살펴본 결과, 1928년에 시작되어 2018년에 이르러 일단락된 것을 알 수 있었다. 196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간행된 화엄사상 교재를 살펴본결과, 대략 14종의 단행본이 발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가운데 화엄사상 교재라고 할 만한 것은 9종이었다. 국내 화...
TAG 화엄사상, 화엄학, 화엄경, 화엄종, Huayan Thought, Huayan Studies, The Avatamsaka-sutra, The Huayan School
한국불교사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 ― 권상로·김영수·김영태·정병삼 『한국불교사』의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연구소, 한국불교사연구 [2020] 제18권 137~193페이지(총57페이지)
이 논문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간행된 ‘한국불교통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불교사’의 집필을 제안하기 위한 글이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편찬을 위해서는 불교 사관과 시대구분과 함께 교단사로서 불교사, 교리사로서 불교사, 사상사로서 불교사, 예술사로서 불교사의 범주와 분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지난 100여 년 동안 ‘한국불교사 교재’로 간행된 대표적인 개설사 내지 통사류인 권상로의 『조선불교약사』, 김영수의 『조선불교사』, 김영태의 『한국불교사』, 정병삼의 『한국불교사』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저작들은 시대적인 요청과 한계 속에서 집필된 것이어서 저마다 장점과 단점, 특장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집필을 위해서는 이들 저작들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단점을 극소화 하는 방향으로 나...
TAG 중도사관, 주교종선, 主敎從禪, 주선종교, 主禪從敎, 권상로의 『조선불교약사』, 김영수의 『조선불교사』, 김영태의 『한국불교사』, 정병삼의 『한국불교사』, mid-way historical view, doctrine-oriented Seon, Seon-oriented doctrine, Brief history of Joseon Buddhism by Sangro Kwon, History of Joseon Buddhism by Youngsoo Kim, History of Korean Buddhism by Youngtae Kim, History of Korean Buddhism by Byungsam Jung
한국불교의 오래된 미래, 한국불교사에서 찾다 ― 고영섭, 『한국불교사궁구 1·2』(씨아이알, 2019)를 읽고 ―
박진영  한국불교사연구소, 한국불교사연구 [2020] 제18권 195~213페이지(총19페이지)
이 논문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간행된 ‘한국불교통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불교사’의 집필을 제안하기 위한 글이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편찬을 위해서는 불교 사관과 시대구분과 함께 교단사로서 불교사, 교리사로서 불교사, 사상사로서 불교사, 예술사로서 불교사의 범주와 분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지난 100여 년 동안 ‘한국불교사 교재’로 간행된 대표적인 개설사 내지 통사류인 권상로의 『조선불교약사』, 김영수의 『조선불교사』, 김영태의 『한국불교사』, 정병삼의 『한국불교사』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저작들은 시대적인 요청과 한계 속에서 집필된 것이어서 저마다 장점과 단점, 특장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집필을 위해서는 이들 저작들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단점을 극소화 하는 방향으로 나...
시가 중의 시가
고영섭  한국불교사연구소, 현대향가 [2020] 제3권 6~9페이지(총4페이지)
이 논문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간행된 ‘한국불교통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불교사’의 집필을 제안하기 위한 글이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편찬을 위해서는 불교 사관과 시대구분과 함께 교단사로서 불교사, 교리사로서 불교사, 사상사로서 불교사, 예술사로서 불교사의 범주와 분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지난 100여 년 동안 ‘한국불교사 교재’로 간행된 대표적인 개설사 내지 통사류인 권상로의 『조선불교약사』, 김영수의 『조선불교사』, 김영태의 『한국불교사』, 정병삼의 『한국불교사』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저작들은 시대적인 요청과 한계 속에서 집필된 것이어서 저마다 장점과 단점, 특장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집필을 위해서는 이들 저작들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단점을 극소화 하는 방향으로 나...
시절인연 외 12편
고영섭  한국불교사연구소, 현대향가 [2020] 제3권 15~30페이지(총16페이지)
이 논문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간행된 ‘한국불교통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불교사’의 집필을 제안하기 위한 글이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편찬을 위해서는 불교 사관과 시대구분과 함께 교단사로서 불교사, 교리사로서 불교사, 사상사로서 불교사, 예술사로서 불교사의 범주와 분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지난 100여 년 동안 ‘한국불교사 교재’로 간행된 대표적인 개설사 내지 통사류인 권상로의 『조선불교약사』, 김영수의 『조선불교사』, 김영태의 『한국불교사』, 정병삼의 『한국불교사』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저작들은 시대적인 요청과 한계 속에서 집필된 것이어서 저마다 장점과 단점, 특장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집필을 위해서는 이들 저작들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단점을 극소화 하는 방향으로 나...
세상 이치 -강아지 자니에게 외 2편
고창수  한국불교사연구소, 현대향가 [2020] 제3권 31~33페이지(총3페이지)
이 논문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간행된 ‘한국불교통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불교사’의 집필을 제안하기 위한 글이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편찬을 위해서는 불교 사관과 시대구분과 함께 교단사로서 불교사, 교리사로서 불교사, 사상사로서 불교사, 예술사로서 불교사의 범주와 분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지난 100여 년 동안 ‘한국불교사 교재’로 간행된 대표적인 개설사 내지 통사류인 권상로의 『조선불교약사』, 김영수의 『조선불교사』, 김영태의 『한국불교사』, 정병삼의 『한국불교사』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저작들은 시대적인 요청과 한계 속에서 집필된 것이어서 저마다 장점과 단점, 특장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새로운 『한국불교사』 교재의 집필을 위해서는 이들 저작들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단점을 극소화 하는 방향으로 나...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