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북한연구학회 AND 간행물명 : 북한연구학회보51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북한문학상의 김정일 묘사 특징 연구
박태상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2호, 269~299페이지(총31페이지)
북한 문화예술에서 "민족문화"와 "민족적 형식"의 문제
박상천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2호, 301~322페이지(총22페이지)
본 논문은 북한의 체제와 문화예술에서는 `민족문화`와 `민족적 형식`을 어떻게 구정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정책을 어떻게 전개하고 있으며 실천적 예술 활동을 통해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측면에서 북한사회를 더욱 깊이 잇게 이해 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김일성 사망 이후 북한 내에서 김정일의 위치가 확고해졌지만 세계적으로 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하고 있는 현실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 때문에 `우리식 사회주의의 고수`를 전면에 내세우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1990년 대에 자주 등장하는 `자주론`, `민족론`은 민족적 역량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에서 나온 논리가 아니라 김일성 유일사상인 소위 `주체 사상`의 90년대식 변용이며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에 따른 위기감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민족문화를 ...
북한 문학의 전통론 연구: "민족 형식, 민족적 특성"의 시(詩)적 형상화를 중심으로
이상숙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2호, 323~343페이지(총21페이지)
본 논문은 북한의 체제와 문화예술에서는 `민족문화`와 `민족적 형식`을 어떻게 구정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정책을 어떻게 전개하고 있으며 실천적 예술 활동을 통해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측면에서 북한사회를 더욱 깊이 잇게 이해 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김일성 사망 이후 북한 내에서 김정일의 위치가 확고해졌지만 세계적으로 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하고 있는 현실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 때문에 `우리식 사회주의의 고수`를 전면에 내세우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1990년 대에 자주 등장하는 `자주론`, `민족론`은 민족적 역량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에서 나온 논리가 아니라 김일성 유일사상인 소위 `주체 사상`의 90년대식 변용이며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에 따른 위기감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민족문화를 ...
김정일 통치 체계
제정관 , 박균열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2호, 345~375페이지(총31페이지)
본 논문은 북한의 체제와 문화예술에서는 `민족문화`와 `민족적 형식`을 어떻게 구정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정책을 어떻게 전개하고 있으며 실천적 예술 활동을 통해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측면에서 북한사회를 더욱 깊이 잇게 이해 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김일성 사망 이후 북한 내에서 김정일의 위치가 확고해졌지만 세계적으로 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하고 있는 현실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 때문에 `우리식 사회주의의 고수`를 전면에 내세우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1990년 대에 자주 등장하는 `자주론`, `민족론`은 민족적 역량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에서 나온 논리가 아니라 김일성 유일사상인 소위 `주체 사상`의 90년대식 변용이며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에 따른 위기감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민족문화를 ...
남북한 통일방안의 수렴가능성 연구 :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
최완규(Wan Kyu Choi)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1호, 5~35페이지(총31페이지)
남북한은 반세기가 넘는 세월동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이질화되었다. 특히 생활과 의식수준의 엄청난 격차는 남북한 사람들간에 치유불능의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사실을 감안할 때, 보다 실천 가능한 통일 방안의 모색을 위해서 통일의 의미를 재정립해야 하며 남북한이 비교적 큰 문제없이 합의할 수 있는 공동이익가능영역을 만들어 냄으로써 한반도에서 공고한 평화체제를 제도화하는 것을 통일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실천가능한 통일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남한의 민족 공동체 통일방안과 북한의 고려민주연방제 통일방안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6.15공동선언〕에서 남북 정상이 합의한 남측의 연합제와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의 수렴 가능성을 분석하면서 남북한 모두에서 윈셋(w...
북한외교정책결정과정의 특징과 군의 역할 : 김정일시대를 중심으로
임재형(Jae Hyoung Lim)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1호, 37~63페이지(총27페이지)
본 논문은 김정일시대 북한외교정책결정과정의 특징과 군의 역할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김정일시대 북한은 대내적으로는 `선군정치`, `강성대국 건설` 등을 통하여 사회주의 체제유지에 전력을 다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경제난 심화, 외교적 고립과 안보난 가증이라는 총체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고자 전방위 외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냉전기 북한의 외교목표는 `혁명`과 `해방`을 완수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북한은 안보위기 해소와 경제난 극복 및 국제적 고립의 탈피를 통한 체제유지와 발전이라는 당면한 외교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리외교를 중시하면서 외교관계의 범위를 남한은 물론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대서방 진영으로 확장하게 되었다. 북한외교의 변화는 외교의 중심측이 이데올로기 중심에서 안보와 경제 중심으로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김정일시대 북한외교정책결정...
남북한의 산업별 경제협력 분석
주성환(Sung Whan Ju),조영기(Young Key Cho)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1호, 65~89페이지(총25페이지)
1990년대 북한경제는 식량, 에너지, 원자재들의 공급부족으로 인해 경제위기를 겪고 있다. 북한의 경제위기의 원인은 동구권과 구소련의 붕괴와 같은 외부적 측면도 있지만. 중공업우선정책과 자립적 민족경제에 의한 경제정책의 오류에도 그 원인이 있다. 특히 북한의 대외교역의 감소는 구소련의 붕괴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필수적 원자재와 부품 수입의 절대적 감소와 기술협력과 기술지도 등 시스템의 붕괴를 야기하였다. 이는 북한이 현재의 경제위기상황을 탈출하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경제적 협력과 지원이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남북한의 경제협력은 남한과 북한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와 필요성을 지니고 있다. 북한으로서는 정치적 관점에서 부담이 적은 위기탈출방안이며,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자생능력을 상실한 북한경제를 위기에서 구해내면서, 동시에 북한의 시장경제에 대한 접촉을...
김정일 정권의 공장관리체제 - " 새로운 경제전략 " 하의 공장 구조조정과 공장관리 -
차문석(Moon Suk Cha)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1호, 91~126페이지(총36페이지)
김정일 정권은 북한역사상 전례없는 혹독한 경제난(`고난의 행군`과 `강행군`)에 직면하면서 등장하였다. 그러나 김정일 정권은 일정 수준으로 경제난을 수습하면서 1998~99년경부터 경제관리와 공장관리의 개선에 나섰다. 이른바 `새로운 경제전략`을 제출하면서 크게 두 단계의 관리개선 정책을 진행시켰다. 첫째는 경제관리에서 당을 후퇴시키고 내각을 전면에 내세우는 내각 책임제하에서 대대적인 공장 구조조정을 감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새로운 경제전략`하에서 2002년 7∼8월을 전후로 공장의 노무관리를 개선함과 함께 공장지배구조를 개선하고자 했다. 이 단계에서는 노임 구조의 변화(임금 및 인센티브 조정)와 더불어 공장내 권력관계의 조정, 공장의 자율권 확대(독립채산제 포함) 등 기존의 공장관리체제에 상당한 변화를 가하였다. 공장 구조조정 단계에서...
경기도 접경지역의 효율적 개발과 관리를 위한 제도 및 정책개선방안 연구
김현수(Hyun Soo Kim)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1호, 127~150페이지(총24페이지)
통일에 대비하는 전진기지를 조성하고 낙후한 접경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접경지역계획이 수립되었으나, 불확실한 정치적 일정과 예산확보의 어려움, 그리고 관련부처간의 이해관계상층 등에 따라 그 집행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접경지역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접경지역지원법과 이에 의한 접경지역계획을 소개하고, 경기도 접경지역계획(안)을 소개한다. 경기도 계획안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강원도와 인천광역시의 계획안, 그리고 구독일의 계획안과 비교하였으며, 경기도 계획안이 가진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접경지역계획 집행의 장애요소를 중첩된규제와 대북협력체제의 미흡이라는 두 가지 점에서 인식하고 관련제도의 개선방안과 대북협력사업을 발굴하기 위한 기준과 유망사업을 제시하였다. 향후 경기도 접...
북한의 대외경제개방과 사회법률직업
이동진(Dong Jin Lee)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02] 제6권 제1호, 151~184페이지(총34페이지)
북한은 중국과는 달리 대내경제개혁과 대외경제개방을 동시에 추진하지 않고, 대내경제개혁을 추진해 왔다. 이 결과 중국은 개혁과 개방이 선순환을 이루는데 성공하였지만 북한은 대내경제개방에 힘입어 대내경제개혁을 추진하지 못하고, 또 이로 인해서 대외경제개방도 위축되는 악순환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북한은 1972년 헌법 체제에서의 제 1차 경제개방, 1992년 헌법 체제에서의 제2 경제개방, 1998년 헌법 체제의 제3차 경제개방으로 개방의 정도를 확대, 심화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조응하는 대내경제개혁을 추진하지 못하였다. 대외경제개방의 한 축을 이루는 <무역법>(1998)의 경우에서도 계획경제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경우 대외경제개방 초기에 일부 국내시장을 창출하여, 해외시장과 접목시켰던 것과 대조를 이룬다. 이러한 북한의 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