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평화문제연구소1510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변화하는 북한 사회와 비핵화 김정은 정권의 선택은?
평화문제연구소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포럼 [2019] 제27권 1~93페이지(총93페이지)
북한 공간구조와 이념적 표현의 도시 계획
임형백 ( Lim Hyungbaek )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2019] 제31권 제1호, 189~232페이지(총44페이지)
남한과 북한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최전선에서 대리전쟁을 치러왔고, 북한은 사회주의의 흔적을 이데올로기 뿐만 아니라, 공간과 도시에도 남겨 놓았다. 북한의 공간에 대한 사회주의의 이념의 적용은, 조방적(extensive) 토지이용을 가져왔고, 도시의 성장을 억압하였다. 공간에 대한 정치적 판단은, 직장과 주거지의 근접과 지역공동체를 추구하였고, 산업시설을 분산시켰다. 공간에 대한 군사적 판단은, 중공업 우선주의와, 휴전선에서 멀리 떨어진 공업도시와 북부 내륙 지역을 중심으로 중공업화로 나타났다. 또 북한의 도시에 나타나는 도시계획의 특징은 소련·동구의 경험에 북한의 현실을 반영하는 절충주의이다. 특히 평양은 이념의 선전도구이면서, 주체사상의 영향으로 서구적 특징과 북한적 특징이 결합되었고,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의 개인적 ‘의도’와 ‘취향’까지 반...
TAG 공간구조, 도시계획, 도시, 평양, 북한, 장마당 세대, Spatial Structure, Urban Plan, City, Pyongyang, North Korea, The Jangmadang Generation
북한 ‘핵 무력’이 ‘주체적 통일노선’에 미칠 영향
유판덕 ( Yoo Pan Duck )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2019] 제31권 제1호, 145~187페이지(총43페이지)
북한 핵 무력은 주체사상의 한 부분인 주체의 군사사상을 이론적 배경으로 노동당과 국가, 수령의 목적이 합쳐져 탄생되었다. 따라서 핵 무력은 수령과 당의 혁명과업인 정권과 사회주의 체제 유지, 남조선혁명을 동시에 무력으로 담보하는 혁명무력의 핵심이자 ‘만능 보검’이다. 이러한 핵 무력은 북한식 통일방안인 주체적 통일노선 추진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다. 주체적 통일노선 수행방법 중 ‘평화적 통일방법’에서는 정치·심리적 무기로 핵 억제력을 이용할 것이다. 또 ‘비평화적 방법’에서는 재래식 전력 투입과 함께 핵 억제력을 이용한 세 가지 핵태세(nuclear posture)-촉매적 태세, 확증 보복태세, 비대칭 위기고조 태세-로 한미연합전력의 저항을 저지 및 무력화를 기도할 것이다. 북한의 ‘핵 무력’은 현존하는 수량 미상의 핵무기, 북한이 제정한 핵보유국 지위...
TAG 주체군사사상, 통일노선, 핵 무력, 핵태세, 혁명, Juche military ideology, unification line, nuclear armed forces, nuclearposture, revolution
북한 ‘통일’ 용어의 의미 변화 고찰(1980-2000)
이우영 ( Lee Woo Young ) , 박소혜 ( Park So Hye )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2019] 제31권 제1호, 117~144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북한에서 활용되는 통일 용어의 의미 변화를 개념사 방법으로 접근한다. 통일이라는 용어는 북한에서 남북관계 차원에서의 조국통일이라는 의미 외에도 통일단결이라는 의미로 대내적 차원과 대외적 차원에서 활용되고 있다. 북한에서 사전이 출판된 시기별로 통일 용어를 살펴보면 1990년대부터 의미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때부터 조국통일이라는 의미가 통일 개념의 대표적인 정의로 부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탈냉전이라는 국제정세의 변화와 함께 북한 내부적으로는 김일성 주석의 사망과 경제난을 겪으며 북한붕괴론이 대두됐던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통일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살폈다. 분석 자료로는 연대기적 관찰이 가능한 신년사를 선택했다. 1980-2000년 신년사에서 통일 용어는 ‘자주적평화통일’에서 ‘평화통일’ 등으로 용례가 바뀌며 의미를 달리...
TAG 통일, 조국통일, 개념사, 북한 사전, 마음통합, North Korea, Unification, Integration, Conceptual history
동해 해안 접경지역 생태분야 남북환경협력 방향 - 고성군 해안의 바닷새 종 밀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현아 ( Choi Hyun-ah ) , 무어스나일 ( Moores Nial ) , 젤리거베른하르트 ( Seliger Bernhard )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2019] 제31권 제1호, 93~115페이지(총23페이지)
동해 해안 접경지역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고성군 바닷새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환경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남·북 고성군 해안지역이 바닷새와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해양 주요 조류 생물다양성 지역으로서 기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남·북 고성군 해안 주변에 바다꿩, 흰부리아비 등 주요 바닷새가 관찰됨에 따라 향후 해양 생물다양성 거점지역으로써 남북한 전문가의 공동조사가 필요하다. 이때, 단계별 공동조사 계획을 세워 조사지역을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가능한 생태계 보전을 위한 남북환경협력이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한다. 또한, 정부, 민간 및 국제기구, 지역주민이 함께 논의하고 정책을 결정할 수 있도록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지속가능한 남북환경협...
TAG 바닷새, 접경지역, 주요 조류 생물다양성 지역, 남북협력, Seabird, Inner Border Area, Marine Important Bird and Biodiversity Areas, Inter-Korean Cooperation
통일경제특구의 경제적 효과 연구 - 남북접경지대의 지역경제 영향을 중심으로 -
정은찬 ( Jeong Eunchan )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2019] 제31권 제1호, 37~91페이지(총55페이지)
본 연구는 통일경제특구 조성에 따른 남북 접경지역의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18년 들어 남북관계가 활로를 찾고, 대북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경기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통일경제특구 조성 관련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 통일경제특구의 조성은 낙후된 접경지역 발전과 침체된 국내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남북경제협력을 본격화하기 전에 구체적인 경제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현재 통일경제특구 조성과 관련된 진척상황을 살펴보면 경의축, 경원축 벨트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오고 있으며, 강원도에도 별도의 특구가 조성될 것으로 논의가 진행 중이다. 각 벨트의 내용을 살펴보면 경기도는 산업 및 물류벨트를, 강원도에는 관광특구를 조성할 것으로 계획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시된 ...
TAG 통일경제특구, 지역산업, 경제파급효과, 경인축, 경원축, Special economic zone for Korean unification,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Regional Economic Impact
한국전쟁 개시 이후 남한 정계인사들의 월북·납북에 관한 고찰
기광서 ( Kee Kwang-seo )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2019] 제31권 제1호, 1~36페이지(총36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남한 정계인사들의 월북 및 납북, 그리고 그들의 북한 내 활동을 당시 언론 기사와 러시아문서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 글이다. 북한 당국은 서울을 점령하면서 남한 정계 인사들을 비롯한 저명인사들을 자기의 편으로 끌어들여 전쟁 승리를 위한 심리적 기반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신문과 방송에 나와 ‘자신들의 과오’를 반성하고 남한 정부를 거부하도록 요구 받았다. 그러나 유엔군의 인천 상륙에 따라 전세가 역전되면서 이들 중 상당수는 월북하거나 납북되었다. 북한측에 협력한 데 대한 처벌 가능성도 이들의 월북 동기로 작용하였다. 월북 후 처음 이들은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1950년대 중반 남쪽에서 ‘평화통일론’이 나오자 월북 정계인사들은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를 결성하여 통일운동을 도모하였다. 재북평통은 북한 당국의 방침에 영...
TAG 한국전쟁, 북한, 월북자, 납북자, 국회의원,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The Korean War, North Korea, South Korean defector, South Korean abducted, National Assembly members, Council for the Promotion of Peaceful Unification in North Korea
북한 식량상황의 실제와 바람직한 정책 방향은?
평화문제연구소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포럼 [2019] 제26권 1~104페이지(총104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남한 정계인사들의 월북 및 납북, 그리고 그들의 북한 내 활동을 당시 언론 기사와 러시아문서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 글이다. 북한 당국은 서울을 점령하면서 남한 정계 인사들을 비롯한 저명인사들을 자기의 편으로 끌어들여 전쟁 승리를 위한 심리적 기반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신문과 방송에 나와 ‘자신들의 과오’를 반성하고 남한 정부를 거부하도록 요구 받았다. 그러나 유엔군의 인천 상륙에 따라 전세가 역전되면서 이들 중 상당수는 월북하거나 납북되었다. 북한측에 협력한 데 대한 처벌 가능성도 이들의 월북 동기로 작용하였다. 월북 후 처음 이들은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1950년대 중반 남쪽에서 ‘평화통일론’이 나오자 월북 정계인사들은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를 결성하여 통일운동을 도모하였다. 재북평통은 북한 당국의 방침에 영...
[기획Ⅳ : 책 밖에서 만난 통일교육 참여·체험형 프로그램을 찾아서!] 평화와 소통 그리고 ‘마주잡은 손’, 통일교육 축제의 장이 열린다!
평화문제연구소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학교통일교육 특별판 [2019] 제0권 76~78페이지(총3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남한 정계인사들의 월북 및 납북, 그리고 그들의 북한 내 활동을 당시 언론 기사와 러시아문서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 글이다. 북한 당국은 서울을 점령하면서 남한 정계 인사들을 비롯한 저명인사들을 자기의 편으로 끌어들여 전쟁 승리를 위한 심리적 기반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신문과 방송에 나와 ‘자신들의 과오’를 반성하고 남한 정부를 거부하도록 요구 받았다. 그러나 유엔군의 인천 상륙에 따라 전세가 역전되면서 이들 중 상당수는 월북하거나 납북되었다. 북한측에 협력한 데 대한 처벌 가능성도 이들의 월북 동기로 작용하였다. 월북 후 처음 이들은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1950년대 중반 남쪽에서 ‘평화통일론’이 나오자 월북 정계인사들은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를 결성하여 통일운동을 도모하였다. 재북평통은 북한 당국의 방침에 영...
[기획Ⅳ : 책 밖에서 만난 통일교육 참여·체험형 프로그램을 찾아서!] 통일부 한반도통일미래센터 … ‘통일한국 속 나는 어떤 모습일까?’
평화문제연구소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학교통일교육 특별판 [2019] 제0권 72~75페이지(총4페이지)
이 논문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남한 정계인사들의 월북 및 납북, 그리고 그들의 북한 내 활동을 당시 언론 기사와 러시아문서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 글이다. 북한 당국은 서울을 점령하면서 남한 정계 인사들을 비롯한 저명인사들을 자기의 편으로 끌어들여 전쟁 승리를 위한 심리적 기반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신문과 방송에 나와 ‘자신들의 과오’를 반성하고 남한 정부를 거부하도록 요구 받았다. 그러나 유엔군의 인천 상륙에 따라 전세가 역전되면서 이들 중 상당수는 월북하거나 납북되었다. 북한측에 협력한 데 대한 처벌 가능성도 이들의 월북 동기로 작용하였다. 월북 후 처음 이들은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1950년대 중반 남쪽에서 ‘평화통일론’이 나오자 월북 정계인사들은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를 결성하여 통일운동을 도모하였다. 재북평통은 북한 당국의 방침에 영...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