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136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ABA 처리가 ‘파라다이스’ 포도의 착색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민규 ( Lee, M. G. ) , 허재윤 ( J. Y. Heo ) , 박성민 ( S. M. Park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9] 제31권 제2호, 50~56페이지(총7페이지)
TAG Anthocyanin, Fruits, Resveratrol, Vitis complex
OTR 필름 종류가 왕고들빼기 어린잎 채소의 MA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강호민 ( Kang, H. M. ) , 최인이 ( I. L. Choi ) , 김주영 ( J. Y. Kim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9] 제31권 제2호, 57~63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OTR 필름 종류가 왕고들빼기 어린잎 채소의 MA (modified atmosphere)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플라스틱하우스에서 4주간 재배한 초장 10 cm 내외의 왕고들빼기 어린잎 채소를 산소투과도가 50 cc, 1,300 cc, 10,000 cc, 20,000 cc, 40,000 cc, 그리고 80,000 cc/m-2/day-1/atm-1인 OTR 필름과 대조구인 미 세천공 필름(∅0.06 cm, 36 ea/100 cm2)을 사용하여 포장하여 8°C에서 22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종료일 모든 OTR필름 처리구의 생체중 감소율은 1.1%를 보였고, 대...
TAG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Visual quality, Wild vegetable, Yellowing, 산채, 외관상 품질, 황화, DPPH 라디컬 소거능
아스파라거스 주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항진균 효과
김경수 ( Kim, K. S. ) , 박현후 ( H. H. Park ) , 박병성 ( B. S. Park ) , 김희영 ( H. Y. Kim ) , 한준희 ( J. H. Han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9] 제31권 제2호, 64~71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OTR 필름 종류가 왕고들빼기 어린잎 채소의 MA (modified atmosphere)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플라스틱하우스에서 4주간 재배한 초장 10 cm 내외의 왕고들빼기 어린잎 채소를 산소투과도가 50 cc, 1,300 cc, 10,000 cc, 20,000 cc, 40,000 cc, 그리고 80,000 cc/m-2/day-1/atm-1인 OTR 필름과 대조구인 미 세천공 필름(∅0.06 cm, 36 ea/100 cm2)을 사용하여 포장하여 8°C에서 22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종료일 모든 OTR필름 처리구의 생체중 감소율은 1.1%를 보였고, 대...
TAG Antifungal effect, Asparagus, Fungal phytopathogens,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 Plant extracts
강원도 아스파라거스 파총채벌레 방제를 위한 종합적 방제방안
전신재 ( Jeon, S. J. ) , 김삼규 ( S. K. Kim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9] 제31권 제2호, 72~80페이지(총9페이지)
아스파라거스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은 방법은 살충제를 처리하는 것이나 아스파라거스의 경우 매일 수확하기 때문에 수확기에는 살충제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 아스파라거스에 발생하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살충제는 총 114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그 중 총채벌레 방제용 살충제는 60종이 등록되어 있다. 봄 수확기에 살충제를 처리할 경우에는 등록된 약제 살포 3-5일 경과 후 잔류허용기준 또는 정량한계 미만으로 검출되므로 잔류특성이 검증된 약제 살포 후 수확 한 아스파라거스를 저온저장고에 3일 이상 저장 후 출고하면 아스파라거스 농약잔류 안전성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시 노란색과 파란색 끈끈이트랩 중 노란색 끈끈이 트랩의 파총채벌레 유인효과가 뛰어났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의...
TAG Asparagus, Gangwon, Integrated pest management, Pesticide, Thrips
Non-destructive Methods to Determine Ripening Quality of Intact Muskmelon
( Tilahun, S. ) , ( M. H. Seo ) , ( H. R. Choi ) , ( D. S. Park ) , ( T. Solomon ) , ( C. S. Jeo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9] 제31권 제1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아스파라거스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은 방법은 살충제를 처리하는 것이나 아스파라거스의 경우 매일 수확하기 때문에 수확기에는 살충제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 아스파라거스에 발생하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살충제는 총 114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그 중 총채벌레 방제용 살충제는 60종이 등록되어 있다. 봄 수확기에 살충제를 처리할 경우에는 등록된 약제 살포 3-5일 경과 후 잔류허용기준 또는 정량한계 미만으로 검출되므로 잔류특성이 검증된 약제 살포 후 수확 한 아스파라거스를 저온저장고에 3일 이상 저장 후 출고하면 아스파라거스 농약잔류 안전성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시 노란색과 파란색 끈끈이트랩 중 노란색 끈끈이 트랩의 파총채벌레 유인효과가 뛰어났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의...
TAG Fruit stalk, Non-destructive, Specific gravity, Vis/NIR spectra
강원도 사과 재배지역 농약사용실태 분석
박덕환 ( Park, D. H. ) , 이재홍 ( J. H. Lee ) , 정태성 ( T. S. Jeong ) , 황세정 ( S. J. Hwang ) , 홍대기 ( D. K. Hong ) , 원헌섭 ( H. S. Won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9] 제31권 제1호, 11~16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 온난화 등의 원인으로 사과재배 적지로 평가받고 있는 강원도 사과재배 농가의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 경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 7개시 · 군 132 사과재배 농가 농약사용실태 분석 결과, 살균제 및 살충제 각각 8회 살포 농가가 대부분으로, 조사시점인 2017년을 기점으로 각각 10년 및 20년 이전에 비해 살포횟수가 대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살균제는 Dithianon, Tebuconazole 및 Mancozeb 등의 수화제였고, 살충제는 Spirotetramat, Acetamiprid 및 Chlorantraniliprole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미등록 및 비적용 약제의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적정 농약의 사용을 위하여, 앞으로도 지속적인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실태...
TAG Analyze, Apple, Fungicide, Gangwon province, Insecticide
국내 자생식물로부터 얻어진 천연정유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김소연 ( Kim, S. Y. ) , 김성문 ( S. M. Kim ) , 박세진 ( S. J. Park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9] 제31권 제1호, 17~25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 온난화 등의 원인으로 사과재배 적지로 평가받고 있는 강원도 사과재배 농가의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 경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 7개시 · 군 132 사과재배 농가 농약사용실태 분석 결과, 살균제 및 살충제 각각 8회 살포 농가가 대부분으로, 조사시점인 2017년을 기점으로 각각 10년 및 20년 이전에 비해 살포횟수가 대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살균제는 Dithianon, Tebuconazole 및 Mancozeb 등의 수화제였고, 살충제는 Spirotetramat, Acetamiprid 및 Chlorantraniliprole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미등록 및 비적용 약제의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적정 농약의 사용을 위하여, 앞으로도 지속적인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실태...
TAG Antioxidant, Endemic plants, Essential oil, Free radical,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A Competitiveness Evaluation of the Wine Industry at Yalu River Valley in China
( Yi, M. Y. ) , ( S. Lee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9] 제31권 제1호, 26~40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 온난화 등의 원인으로 사과재배 적지로 평가받고 있는 강원도 사과재배 농가의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 경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 7개시 · 군 132 사과재배 농가 농약사용실태 분석 결과, 살균제 및 살충제 각각 8회 살포 농가가 대부분으로, 조사시점인 2017년을 기점으로 각각 10년 및 20년 이전에 비해 살포횟수가 대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살균제는 Dithianon, Tebuconazole 및 Mancozeb 등의 수화제였고, 살충제는 Spirotetramat, Acetamiprid 및 Chlorantraniliprole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미등록 및 비적용 약제의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적정 농약의 사용을 위하여, 앞으로도 지속적인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실태...
TAG AHP, Competitiveness, Diamond model, Wine cluster
첨가물을 혼합한 김치의 이화화적 특성과 기능성에 대한 문헌 연구
윤정아 ( Yoon, J. A. ) , 김주형 ( J. H. Kim ) , 권세영 ( S. Y. Kwun ) , 이하연 ( H. Y. Lee ) , 박은희 ( E. H. Park ) , 김명동 ( M. D. Kim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8] 제30권 제3호, 111~12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 온난화 등의 원인으로 사과재배 적지로 평가받고 있는 강원도 사과재배 농가의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 경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 7개시 · 군 132 사과재배 농가 농약사용실태 분석 결과, 살균제 및 살충제 각각 8회 살포 농가가 대부분으로, 조사시점인 2017년을 기점으로 각각 10년 및 20년 이전에 비해 살포횟수가 대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살균제는 Dithianon, Tebuconazole 및 Mancozeb 등의 수화제였고, 살충제는 Spirotetramat, Acetamiprid 및 Chlorantraniliprole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미등록 및 비적용 약제의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적정 농약의 사용을 위하여, 앞으로도 지속적인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실태...
TAG Additive, Functionality, Fermentation, Kimchi
Effect of Water Stress on the Growth and Physiology of Coffee Plants
( Vu, N. T. ) , ( J. M. Park ) , ( A. T. Tran ) , ( T. K. Bui ) , ( D. C. Vu ) , ( D. C. Jang ) , ( I. S. Kim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2018] 제30권 제3호, 121~13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 온난화 등의 원인으로 사과재배 적지로 평가받고 있는 강원도 사과재배 농가의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 경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 7개시 · 군 132 사과재배 농가 농약사용실태 분석 결과, 살균제 및 살충제 각각 8회 살포 농가가 대부분으로, 조사시점인 2017년을 기점으로 각각 10년 및 20년 이전에 비해 살포횟수가 대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살균제는 Dithianon, Tebuconazole 및 Mancozeb 등의 수화제였고, 살충제는 Spirotetramat, Acetamiprid 및 Chlorantraniliprole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미등록 및 비적용 약제의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적정 농약의 사용을 위하여, 앞으로도 지속적인 병해충 방제용 농약사용실태...
TAG Coffee species, Drought stress, Plant recover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