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도시지리학회65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전통 취락경관의 비교연구: 제주도와 비금도의 돌문화경관을 중심으로
정주연 ( Ju Yun Jung ) , 정광중 ( Kwang-joong Jeong ) , 이혜은 ( Hae Un Rii ) , 성효현 ( Hyo Hyun Sung ) , 강성기 ( Seong-gi Kang ) , 김지수 ( Jisoo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3호, 149~160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강한 바람이라는 유사한 자연환경을 보이는 제주도와 비금도를 대상으로 돌문화경관의 특성과 관련된 재료, 유형, 축조방식, 기능, 분포적 측면에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두 지역이 지니는 특유한 돌문화경관의 가치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두 지역의 돌문화경관을 구성하는 재료는 각 지역에서 산출되는 돌자원을 적극 활용하였다는 공통점이 확인되는 가운데, 축조방식에서는 주로 허튼층(막) 쌓기가 사용되었다. 유형적 측면에서는 두 지역이 필요에 따라 외담과 겹담을 축조하는 유사성을 보인다. 돌문화경관의 기능적 측면에서는 두 지역 모두 강한 해풍으로부터의 보호와 사유지의 경계선 구축을 우선시하여 돌담이 활용되었다. 하지만 제주도와 비금도의 기반암은 각각 현무암과 응회암으로서,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돌문화경관은 필연적으로 ...
TAG 제주도, 비금도, 돌문화경관, 취락경관, 돌담, Jeju Island, Bigeum Island, stone cultural landscape, rural settlement landscape, stone wall
스마트시티 정책추진 변화와 지자체 대응 분석
이재용 ( Jae Yong Lee ) , 한선희 ( Sun-hee Han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1~11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개념 및 그 변화ㆍ확장 과정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대한 국내 전국 시·군들의 대응 방식을 살펴보았다. 스마트시티는 여러 국가 및 도시에서 정책적으로 많이 채용하고 있는 개념이지만 그 출발점이 다양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출발점 및 배경을 살펴보고,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전환에 대한 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국가 스마트시티 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외 스마트시티 정책의 등장 배경 및 그 전환들에 대해 검토 후 스마트시티 추진 주체인 지자체들에 이러한 정책들이 실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전국 지자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에 대한 키워드 빈도가 현재 스마트시티와 관련하여 가장 빈도수가 높은 키워드 그룹으로 확인...
TAG 스마트시티 개념, 스마트시티 정책, 스마트 성장, 도시문제, 4차 산업혁명, concept of a smart city, smart city policies, smart growth, urban problems, 4th industrial revolution
스마트시티의 이슈 분석을 통한 지자체 조례의 개정 방향 연구
장환영 ( Hwanyoung Jang ) ,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13~22페이지(총10페이지)
전국적으로 스마트시티가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시티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설·정보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시티의 발전과 고도화를 위해서 지자체 조례의 개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스마트시티를 둘러싼 최근의 중앙정부 정책과 법·제도적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핵심 이슈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시티 정책을 고찰하기 위해 각 지자체의 조례현황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스마트시티 이슈와 지자체의 조례 특성을 연계하여 향후 스마트시티의 조례가 개정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는 지자체에게 법·제도적 개선의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AG 스마트시티, 정보통신기술, 지속가능한 도시, 지자체 조례, 빅데이터 분석, smart city, ICT, sustainable city, municipal ordinance, big data analysis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한 통신분야 제도개선의 의미와 중요성
김익회 ( Ick Hoi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23~3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시티 조성·운영 및 산업활성화, 스마트시티 서비스 확산에 장애가 되는 통신 관련제도 개선 방안의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스마트시티 논의의 핵심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수집, 처리 및 분석이라고 할 수 있는데, 통신망은 이러한 데이터 수집을 위한 핵심 인프라이다. 지자체들은 재정적 이유로 자체 통신망인, 자가망 구축을 선호하고 있으나, 최근까지 자가망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의 연계는 제도적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2011년 교통·환경·방범·방재 목적으로 구축된 자가망의 연계 허용부터 2019년 스마트시티 서비스 전 분야 연계 허용으로 제도개선이 이루어지게 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선제적 제도개선의 의미와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TAG 스마트시티, 자가망, 전기통신설비, 통합플랫폼, 규제, smart city, private network, telecommunication, integrated platform, regulation
고양 스마트시티 수준 진단과 향후 과제
김병선 ( Byeongsun Kim ) , 김걸 ( Kirl Kim ) , 이시형 ( Sihyung Lee ) , 장환영 ( Hwanyoung J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33~46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스마트시티 시범인증 지표를 대상으로 고양시의 스마트시티 사례를 접목하여 그 수준을 진단해보고 그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인증에 관한 선행연구, 고양시 스마트시티 추진경과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혁신성, 거버넌스 및 제도, 서비스 및 인프라 등 스마트시티 시범인증 지표를 바탕으로 각각의 지표에 대응하는 고양 스마트시티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그 다음으로 수준 진단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양 스마트시티의 수준을 종합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양시 스마트시티 발전 및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민간·시민 역량, 제도 기반 관련 부문에서는 상당히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재원조성 관련 지표에서는 타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TAG 스마트시티, 수준 진단, 인증제도, 고양시, smart city, level diagnosis, accreditation system, Goyang City
모빌리티가 여행지 공공공간의 사적 전유에 미친 영향: 터키 여행공간을 사례로
이용균 ( Yong Gyun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47~62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모빌리티가 여행지 공공공간의 사적 전유에 미치는 영향을 터키의 여행 공간인 공항, 휴게소, 카파도키아를 사례로 살펴보았다. 현대의 여행자는 여행 상품의 소비와 여행지 방문을 통하여 여행지의 공공공간을 변화시킨다. 비즈니스가 현대 공항의 주요 기능이 되면서, 아타튀르크 국제공항은 이동과 소비의 공간, 그리고 신-카스트 제도가 작동하는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차낙칼레와 코니아 일대의 휴게소는 이동 중의 안전한 휴식이란 공공성을 상실하였고, 대신에 휴식이 소비를 통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카파도키아는 국가와 지역의 관리를 넘어선 여행 네트워크가 지배하는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공유의 대상이던 자연은 사적 자본이 침투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공공공간의 사적 전유는 공동의 공간이 소수의 민간자본에 의해 지배되면서 사회적 기반이 붕괴됨을 의미한다.
TAG 모빌리티, 여행지, 공공공간, 사적 전유, 터키, mobility, travel space, public space, private appropriation, Turkey
경관을 통해 살펴본 문화역사관광지로서의 블라디보스토크 고찰: 신한촌과 아르바트 거리를 중심으로
정은혜 ( Eunhye Ch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63~77페이지(총15페이지)
러시아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는 한국 독립운동의 요람이자 3·1운동의 시발점이기도 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곳이다. 최근에는 지리적으로 한국과 가장 가까운 유럽이라는 기치 하에 인적·물적 교류 역시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다. 본고는 이 블라디보스토크를 문화역사관광지로서 소개·고찰하고, 그 가치를 발견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특히 신한촌과 아르바트 거리를 중심으로 경관을 해석하여 문화역사관광지로서의 잠재력을 발굴하고자 한다. 답사수행 결과, 아쉽게도 신한촌의 흔적은 사라졌고 그 자리에 신한촌 기념비만이 상징적 경관으로 남아있을 뿐이다. 그리고 아르바트 거리 역시 과거가 갖는 한인의 애달픈 역사는 러시아의 유럽풍 문화거리라는 이름 뒤편에 가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과 아르바트 거리는 한국인들에게 지역적 이해와 체험을 바탕으로 공감할...
TAG 블라디보스토크, 문화역사관광, 경관, 신한촌, 아르바트 거리, Vladivostok, cultural-historical tourism, landscape, Sinhanchon (new Korean town), Arbat street
서양 근대 슈퍼블록과의 비교를 통한 강남 슈퍼블록의 도시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헌 ( Sang-hun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79~92페이지(총14페이지)
본 논문은 강남 슈퍼블록의 도시계획적 특성을 서양 근대도시의 슈퍼블록과 비교하여 그 고유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슈퍼블록 아이디어는 20세기 초 서구도시계획에서 등장해서 자동차용 슈퍼그리드의 간선도 로망, 근린주구론, 기능주의적 용도지역제와 함께 제2차 세계대전 후 근대 도시계획의 모델이 되었다. 강남은 서구의 근대 도시계획원리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어느 것도 체계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았다. 강남의 도시계획과정에서 서구의 근대도시가 개념적 모델로 작용했지만 현실적으로는 기존 서울 도심의 도시구조가 참조되었고, 토지구획정리기법, 노선상업의 용도구역지정과 같은 한국의 도시계획 전통과 관습이 적용되었다. 결과적으로 강남은 슈퍼그리드 간선도로망과 슈퍼블록의 도시로 계획되었지만 서구의 근대도시 모델과는 다르다. 특히 슈퍼블록 내부의 좁고 복잡한 가로망과...
TAG 강남, 슈퍼블록, 근린주구론, 슈퍼그리드 가로망, 모더니즘 도시계획, Gangnam, superblock, neighborhood theory, supergrid road system, modernist urban planning
이동과 정주가 공존하는 경계 위의 집: 혼자 사는 청년들의 ‘집 만들기’ 실천과 ‘집’의 의미
이지선 ( Ji Sun Lee ) , 이영민 ( Youngmin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93~109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혼자 사는 청년들의 주거 경험을 토대로 일상적인 ‘집 만들기’실천과 그 과정에서 관계적으로 구성되는 집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년들의 주거 공간을 고정된 장소가 아닌 주체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닌 관계적 장소로, 청년들을 불안정한 거주지에 정박된 존재가 아니라 대안적 실천을 통해 집을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능동적 행위자로 전제한다. 본 연구는 서울에 살고 있는 만 19세-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 23명의 심층 인터뷰를 활용했다. 청년들은 경제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독립 초반에는 거주지를 선택할 때 부모와 타협하거나 전략적인 이유로 공동 주거지를 경험하지만, 이러한 주거 형태는 과도기적이며, 사적 공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에 일련의 이주를 거쳐 ‘원룸’으로 편입한다. 청년들은 낯...
TAG , 집없음, 경계, 관계적 장소, 혼자 사는 청년, home, homelessness, border, relational place, young adults living alone
지방 중소도시 외국인 밀집주거지 형성 과정: 영천시를 사례로
배주현 ( Ju-hyun Bae ) , 김감영 ( Kamyoung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9] 제22권 제2호, 111~126페이지(총16페이지)
지방 중소도시와 같이 주택시장의 규모가 크지 않고 다양하게 분화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 외국인의 밀집주거지의 형성 과정은 다양한 유형의 주택시장이 존재하는 대도시와는 상이할 것이다. 외국인 밀집주거지 형성은 다양한 스케일에서 작동하는 행위주체들의 상호작용의 결과일 수 있다. 영천시를 사례로 지방 중소도시에서 외국인 밀집지역 형성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글로벌, 국가적, 지역적, 국지적 스케일이라는 다중 스케일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글로벌 스케일에서는 세계화와 세계 경제의 공간적 불평등에 따른 국가 간 이주의 급증, 국가적 스케일에서는 산업재구조화에 따른 3D 업종의 노동력 부족 심화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 지역적 스케일에서는 경상북도 영천시의 제조업 및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영향을 주었다. 국지적 스케일에서는 외국인 이주자의 선택, ...
TAG 외국인 밀집주거지, 중소도시, 다중 스케일, 조정, 중소기업, ethnic residential area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multi-scale, steering, local SEM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