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현장과학교육36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남북한 중학교 과학에서 빛에 관한 교과서 내용 분석
조미선 ( Mi Sun Jo ) , 김중복 ( Jung Bog K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4호, 402~411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중학교 과학에서 빛에 관한 단원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남한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1>과 북한의 2013년 제1차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 <초급중학교 자연과학 1> 교과서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용면에서 남한은 빛과 파동을 한 단원에서 함께 다루고 있고 북한은 빛에 관한 내용만 제시되어 있다. 물체를 보는 과정, 색 합성, 빛의 반사와 굴절에 관한 내용은 남한과 북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다. 남한은 과학 개념에 따라 논리적으로 구성된 데에 비해 북한은 생활에서의 영향과 이용의 측면에서 주제가 구성되어 있다는 데에는 차이가 있다. 구성면에서 남한과 북한은 단원의 도입, 내용의 전개, 단원 마무리 전개로 비교적 유사하였으나 북한 교과서에는 단원의 도입에 김정일 교시가 나타나고,...
TAG 남한, 북한, 과학 교과서, , South Korea, North Korea, Science Textbook, Light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태도 관련 국내 과학교육연구동향 분석
홍석영 ( Seok Young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4호, 412~430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과학교육분야에서 태도를 주제로 다루는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고 하위 키워드의 의미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7차 교육과정 고시 시기인 1997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제목이나 키워드에 태도를 포함하고 있는 국내 학술논문 578편에 포함되어 있는 2,498개의 키워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에 관한 연구는 주로 과학적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관련 태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융합인재교육, 과학 탐구능력, 과학영재, 초등학생 등의 키워드와 강한 링크가 나타난다. 둘째, 태도에 관련한 8개의 키워드가 확인 되었으며 그 중 과학적 태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 되었다. 또한 과학적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관련 태도...
TAG 텍스트 네트워크, 태도, 과학교육, 연구동향, Semantic Network, Attitude, Science Education, Research Trend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한 과학-예술 융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압화를 이용한 시화 제작
김희정 ( Heejung Kim ) , 김재근 ( Jae Geun K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4호, 431~44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심미적 감성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탐구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압화를 이용한 시화 제작’을 주제로 선별하고 총 6차시 분량의 과학-예술 융합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은 ‘교정의 식물 알기’, ‘압화 드로잉 하기’, ‘시화 완성하고 감상하기’의 소주제로 구성된다. 서울시 소재 Y고등학교 1, 2학년으로 구성된 생명과학 동아리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과 동료 과학교사로부터 설문지를 통하여 평가를 받았다.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생명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TAG 심미적 감성 역량, 과학-예술 융합 프로그램, 압화, 교정의 식물, STEAM Program,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Pressed Flower, Plants in the School
나와 학생들의 물리 서술형 문항 채점 기준 공유에 관한 실행연구
최현숙 ( Hyun Sook Choi ) , 김중복 ( Jung Bog K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4호, 441~454페이지(총14페이지)
이 실행 연구의 목적은 나의 물리 수업에서 교실평가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설문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나의 교실평가의 문제점들을 조사해 ‘중요 실천 과제’를 다듬어 갔다. 이 중 ‘서술형 평가에서 나와 학생의 채점 불일치 원인은 무엇인가?’라는 과제 해결을 위해 나의 물리1 수업을 듣는 193명의 학생들과 채점 기준을 공유하며 채점 기준을 개선하였다. 또한, 개선된 채점 기준을 이용해 학생 답안을 재채점해 나와 학생의 불일치 원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실평가 활동을 통해 찾은 불일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채점 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이해 수준, 둘째, 교수 방법에 일치하는 평가가 미흡한 점, 셋째, 학생 답안에 대한 나의 해석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나는 이러한 활동에 대한 반성을 위해 손원숙 등...
TAG 서술형 문항, 채점 기준, 교실평가, 실행연구, 교사 연구자, Descriptive Assessment Items, Scoring Rubric, Classroom Assessment, Action Research, Teacher as Researcher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화학Ⅱ 교과서의 실험 제시 방식 변화 분석
유인성 ( Insung You ) , 장원형 ( Wonhyeong Jang ) ,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4호, 455~472페이지(총18페이지)
학생의 과학적 탐구 능력은 학교 실험 활동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므로 교과서는 실험 활동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그 내용이 재구성되는 만큼,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교과서의 실험 제시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차,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16개 교과서의 반응속도 측정 실험과 전기분해 실험 제시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개방도 수준, 실험 목표, 실험 과정, 실험 결과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실험의 개방도 수준은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에서 두 실험 모두 제 0수준, 또는 제 1수준을 나타내는데, 실험 수업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학교 현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실험 과정에서 안전 관...
TAG 과학과 교육과정, 교과서 실험, 실험 분석, 반응 속도, 전기 분해, Science Curriculum, Textbook Experiment, Experiment Analysis, Reaction Rate, Electrolysis
초중등 과학 수업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교육적 기능 분석
김민지 ( Min-jee Kim ) ,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4호, 473~489페이지(총17페이지)
‘스마트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등장으로 과학 교육에서도 스마트 교육을 효과적으로 접목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학교육에서 진정한 스마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이용만 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기기와 과학 교과 요소를 의미 있게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 연구에 제시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과학 수업 사례를 살펴보면서 과학 수업의 맥락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어떠한 기능으로 활용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과학 탐구 도구 측면에서 국내 문헌은 ‘관찰’, ‘측정’, 국외 문헌은 ‘관찰’이 두드러지게 많았으며, 학습 활동 도구 측면에서 국내 문헌은 ‘상호작용’, ‘자료 정리’, 국외 문헌은 ‘자료 정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육에서의 스마트 기기 ...
TAG 스마트 교육,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과학 탐구 도구, 학습 활동 도구, Smart Education, Mobile Application, Scientific Inquiry Tools, Learning Activity Tools
7차 및 2015 개정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생활과 과학」 교과 내용 비교
조미선 ( Mi Sun Jo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4호, 490~506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인 「생활과 과학」의 내용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알아보았다. 7차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생활과 과학」은 10학년의 공통과정을 이수한 후에 배우게 되는 선택과목으로, 교과 내용에서는 두 시기 모두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동일한 명칭의 영역으로 ‘건강한 생활’과 ‘편리한 생활’이 있었다. 동일한 영역명을 가지더라도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교과 내용이 달랐으며 그 당시의 사회적 관심도가 높은 소재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주제 또는 핵심개념을 따라 중단원이 구성되었고 성취기준을 반영하여 소단원이 구성되어 있었다. 탐구활동은 7차 교육과정 시기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비해 2배 정도 많았으며 실험, 토의, 조사, 자료해석이 모두 고른 비...
TAG 생활과 과학, 교과서, 내용, 탐구, 7차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Life and Science, Textbook, Contents, Inquiry, 7thcurriculum, 2015 Revised Curriculum
실험용 지진계의 개발 및 지구과학 탐구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박재용 ( Jae Yong Park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4호, 507~526페이지(총20페이지)
오늘날 지진관측소에 설치된 지진계는 자석의 움직임에 의해 유도된 전류의 세기 변화로 지반의 진동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과서에 수록된 지진계는 현대식 지진계의 원리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며, 현대식 지진계의 원리를 다룬 교육용 지진계의 경우에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학생들이 지진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석과 코일의 상대운동으로 발생한 미세 전류를 이용하여 지반의 진동을 감지하는 실험용 지진계를 개발하고, 지구과학 탐구 도구로서 실험용 지진계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용 지진계에 대한 성능시험 결과, 진동의 세기에 따라 실험용 지진계의 코일에 크기가 다른 유도 전류가 발생하였고,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에 의한 가속도의 크기변화와 지진계의 코일에 유도된 전류의 세기 변화 패턴이 일치하였다. 또한, 예비교...
TAG 지진계, 과학 탐구, 실험 도구, 탐구 기능, Seismometer, Scientific Inquiry, Investigation Tool, Science Process Skill
원소 주기율표의 150년 발전
도춘호 ( Choon Ho Do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3호, 171~174페이지(총4페이지)
오늘날 지진관측소에 설치된 지진계는 자석의 움직임에 의해 유도된 전류의 세기 변화로 지반의 진동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과서에 수록된 지진계는 현대식 지진계의 원리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며, 현대식 지진계의 원리를 다룬 교육용 지진계의 경우에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학생들이 지진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석과 코일의 상대운동으로 발생한 미세 전류를 이용하여 지반의 진동을 감지하는 실험용 지진계를 개발하고, 지구과학 탐구 도구로서 실험용 지진계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용 지진계에 대한 성능시험 결과, 진동의 세기에 따라 실험용 지진계의 코일에 크기가 다른 유도 전류가 발생하였고,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에 의한 가속도의 크기변화와 지진계의 코일에 유도된 전류의 세기 변화 패턴이 일치하였다. 또한, 예비교...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허셀의 적외선 실험 재현
백수정 ( Soo Jeong Baek ) , 전동렬 ( Dong Ryul Jeon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19] 제13권 제3호, 175~180페이지(총6페이지)
적외선 발견에 대한 허셀의 실험을 온도계 대신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재현했다. 실험을 위해 제논 램프에서 나온 빛을 프리즘으로 분산시키고, 스크린에 맺힌 스펙트럼의 일반 카메라 사진과 열화상 카메라 사진을 비교하여 파장과 온도의 분포를 비교했다. 온도 분포는 에너지 밀도의 분포를 보여주는데, 열화상 사진에 붉은색에 가까운 적외선 영역의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 사진과 열화상 사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붉은색 빛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 영역의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유가 빛이 프리즘에서 굴절할 때 편향각이 파장에 대해 비선형이어서 적외선 영역의 빛이 스크린의 좁은 지역에 밀집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허셀 실험을 재현하고 적외선의 존재를 확인하는 이 실험은 과학의 역사성을 인식하고 도구에 따라 실험 절차가 다름을 ...
TAG 태양 스펙트럼, 적외선, 허셀 실험, 열화상 카메라, 액정 시트, Solar Spectrum, Infrared, W.Herschel’s Experiment, Thermal Imaging Camera, Liquid Crystal Thermal Shee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