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현장과학교육36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소행성의 시차-거리 관계 탐구 프로그램 고안
엄흥진 ( Heungjin Eom ) , 정형권 ( Hyeonggwon Jeong ) , 심현진 ( Hyunjin Sh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3호, 337~352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소형망원경과 DSLR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관측하고, 시차와 거리 관계를 확인하는 탐구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제안하였다. 시차-거리 관계는 천문학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거리 측정 사다리의 가장 아래 발판에 대한 수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중요한 원리이다. 관측 시점에서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세 개의 소행성(3122 Florence, 27 Euterpe, 3 Juno)의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적경과 적위의 변화로부터 겉보기 운동을 살펴보았다. 관측 당시 세 소행성은 모두 충 부근에 위치하여 적경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정한 적경 감소경향을 제거하면 지구 자전에 의한 시차를 분리해 낼 수 있었다. 일주시차를 활용하여 3122 Florence까지의 거리를 실제 값과 10 % 이내의 오차로 구하였다. 또한 27 Eut...
TAG 소행성, 3122 Florence, 27 Euterpe, 3 Juno, 겉보기 운동, 일주시차, Asteroid, Apparent Motion, Diurnal Parallax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중학교 과학1 교과서의 반영 순위 및 학생들의 인식 분석
최현미 ( Hyunmi Choi ) , 김현섭 ( Hyunsup K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3호, 353~36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중학교 과학1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의 반영 순위와 중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과서 집필진들이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4종의 중학교 과학1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 및 단원별로 분석하여 그 반영 순위를 알아보았으며, 중학교 1학년 학생 185명을 대상으로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교육 우선순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 과학1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은 평균 195개였으며, 가장 많은 것은 331개, 가장 적은 것은 113개로 교과서에 따라 많은 차이가...
TAG 과학과 핵심역량, 중학교 과학, 반영 순위, 인식수준, Science Core Competency, Middle School Science, Reflection Order, Perception Level
통합과학은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까?: 적절한 통합과학 운영 방식과 교과 역량 함양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안유민 ( Yumin Ahn ) , 변태진 ( Taejin Byun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3호, 365~378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과학의 적절한 운영 방식과 과학과 교과 역량을 함양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통합과학의 실행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교사의 인식 규명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통합과학을 편성· 운영하여야 하는 전체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통합과학을 담당하는 과학 교사 1인을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들은 전공 분야 위주로 통합과학의 성취기준을 분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나 공통과학 자격증만을 소지한 교사 집단은 1명이 전담하는 것을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10년 이상 경력 교사 집단과 통합과학을 6단위로 편성하거나 1명이 전담하는 운영 방식을 통해 비전공 분야의 교수를 경험한 교사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
TAG 통합과학, 적절한 운영 방식, 교과 역량 함양, 교사 인식, 2015 개정 교육과정, Integrated Science, Proper Integrated Science Operation, Development of Subject Competencies,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열 변색 붙임딱지를 활용한 볼록 렌즈로 햇빛 모으기 실험의 개선
이아라 ( Ara Lee ) , 박일우 ( Il-woo Park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3호, 379~388페이지(총10페이지)
2015 개정 초등 과학 6학년 교과서의 ‘빛과 렌즈’ 단원에서는 볼록 렌즈로 햇빛이 모아진 부분의 온도를 적외선 온도계로 측정한다. 이 실험은 야외에서 진행되며 실험 준비물이 많고, 햇빛이 강한 날에는 볼록 렌즈에 의해 햇빛이 모아진 부분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약 40 ℃에서 색이 바뀌는 A4 크기의 열 변색 붙임딱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미로 찾기 게임을 수업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볼록 렌즈의 초점을 계속 이동하도록 하였다. 개선된 실험을 초등 6학년 30명에게 적용하고, 학습 목표의 이해도, 실험의 간편성과 안전성 및 흥미도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학생들은 개선된 실험이 교과서 실험보다 우수하다고 응답하였다.
TAG 볼록 렌즈, 햇빛 모으기, 열 변색 붙임딱지, 미로 찾기, 실험 안전, Convex Lens, Collecting Sunlight, Thermochromic Sticker, Maze Game, Experiment Safety
스마트 도구 기반 수업 설계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도구 활용 특성 분석: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지원 도구를 중심으로
유금복 ( Kumbok Ryu ) , 강은희 ( Eunhee Ka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3호, 389~400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에서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스마트 도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분석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은 그들이 개발한 33개 수업지도안 가운데 22개의 지도안에서 메모 및 의견 수합 기능을 가진 패들렛 시스템과 사용자의 화면 공유방법인 미러링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 등을 사용한 수업을 계획하였다.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한 22개의 수업지도안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 도구 활용 방식은 실험 및 활동 자료 발표와 결과 공개(17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 표현(3개), 의견들의 교환을 통한 수정의 반영(4개)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결과로 나타난 세 가지 유형은 수업 상황에서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지원 도구가 학생들이 지식 구성에 참여하게 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수업의 목적과 과제의 특성에 따라...
TAG 초등예비교사, 수업 설계,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지원 스마트 도구,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Lesson Design, Smart Tools for Sharing and Communication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과학탐구 교육 방향성 탐색
손미현 ( Mi Hyun Son ) , 정대홍 ( Dae Hong Je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3호, 401~414페이지(총14페이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데이터와 정보를 다룰 수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와 지식정보처리역량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역량은 일반 소양적인 측면과 교과 맥락적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과학 탐구 맥락에서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포함하는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를 정의하였다. 데이터와 정보의 수집, 분석, 공유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데이터 수집의 주체가 개인화되고, 수집되는 데이터의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수집 도구가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측면에서는 실생활 맥락의 탐구가 이루어지고 데이터 처리 과정을 강조하며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공유 측면에서 데이터 생산자와 수급자가 일치되며 일방적 공유형태에서 벗어나고 있었으며 공유의 목적이 확대되고 표현에 대한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
TAG 지식정보처리역량,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Knowledge-Information-Processing-Competency, Data Literacy, Data-dDiven Science Inquiry
2009 개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정수연 ( Soo Yeon Jeong ) , 장정호 ( Jeong Ho Cha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2호, 160~174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유형별, 단원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고,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와 비교하여 탐구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활동 예시의 교과서 분포 정도와 탐구활동 유형을 조사했다. 2015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비해 지면 수는 약 23 % 감소되었고, 탐구활동 수는 약 8 % 감소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부담은 줄이되 창의적 과학 탐구 능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은 2009 개정과 마찬가지로 ID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09 개정에 비해 SA, IP, EX 유형이 많아졌다. 이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탐구 학습을 강조하는 2015 개정 ...
TAG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생명과학Ⅱ 교과서, 탐구활동 유형, 탐구활동 예시,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Life Sciencem Ⅱ Textbooks, Types of Inquiry Activity, Examples of Inquiry Activity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을 활용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의 야외지질학습 적용
최윤성 ( Yoon-sung Choi ) , 김찬종 ( Chan-jong K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2호, 175~192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을 교육적인 야외답사장소로 활용하여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고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야외지질학습은 Orion(1993)의 가상의 공간(Novelty space)을 고려하였고, Orion(1989)의 3단계 수업 모듈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개인 모델 및 조별 모델지, 필드노트와 학생들의 모든 담화 및 사후 면담 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의 다양성을 고려한 삼각검증법과 멤버-체킹을 통해 연구의 신뢰도를 함양하고자 하였다. 한탄강 형성과정을 주제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에 참여한 10명의 학생들은 준비 단계에서는 모두 과학적 모델을 작성하지 못했지만 정리 단계 및 사후 ...
TAG 야외지질학습,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 한탄강, 국가지질공원,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 Scientific Models and Modeling, The Hantan-River, National Geo-park
과학교사의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초보자의 전문화과정 모방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지원 ( Jiwon Lee ) , 양성호 ( Sung Ho Ya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2호, 193~208페이지(총1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탐구 또는 R&E를 지도하는 과학교사의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Dick & Carey Model에 기반하였고, 연구초보자인 과학도가 과학자로서 전문화되어가는 과정을 모방하였다. 교사들이 연구 환경의 맥락을 파악하는 것부터 시행착오와 성공경험이 포함된 과학 탐구 과정을 경험하도록 도움으로써 이들의 연구역량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과학 탐구의 경험이 없고 탐구지도에 대한 효능감이 낮은 교사들이 자유탐구하는 학생들을 안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교사들이 길러야 할 네 가지 연구역량으로 연구맥락 파악능력, 연구문제 설정능력, 과학탐구능력 그리고 발표능력을 설정하였다. 교사들이 각 역량의 하위 기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육전략은 과학탐구 실습과 이...
TAG 과학도, 교사연수, 연구역량, 멘토링, 탐구, 전문화, Novice Scientist, Teacher Training Program, Research Capacity, Mentoring, Inquiry, Expertization
‘이방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과학교육 - 교직이수를 위하여 대학원에 입학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장원형 ( Wonhyeong Jang ) , 유인성 ( Insung You ) , 민소원 ( So Won Min ) , 정명현 ( Myeong Hyeon Jeong ) ,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현장과학교육 [2020] 제14권 제2호, 209~226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화학을 전공하고 교직과정 이수를 위하여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입학한 예비과학교사 4명의 경험을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비사범계 대학원생이자 과학교육의 ‘이방인’의 시선에서 과학교육을 이야기하고, 과학교육을 통하여 각자의 삶의 양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이 과학교육을 공부하게 된 과정과 인식의 변화, 그 속에서 느끼는 어려움, 그리고 과학교육의 학문세계 속에서 받은 감명과 유감 등 각자가 살아온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한 내러티브를 정리하고, 이야기들을 탐구하여 학술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의 경험 이 연구자들에게 남긴 것을 중심으로 각자의 삶이 어떻게 바뀌어 나가게 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그간 학계에서 비사범계 학생들의 교직선택 ...
TAG 이방인, 내러티브 탐구, 과학교육, 예비교사, 전공전환, The Stranger, Narrative Inquiry, Science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Major Convers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