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중국산문학회11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從"韓愈崇拜"到"六一”情結 -試論饒鍔散文論述的體驗化傾向
민정경 ( Ding Qing Min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4] 제4권 188~203페이지(총16페이지)
TAG Rao E, Ou Yangxiu, prose, Demeanor of Ou Yangxiu, classic elegance
從三篇銘文看西周銘文的風格流變
( Zhang Su Ge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1~10페이지(총10페이지)
청동기 명문은 중국산문 형성발전의 초기 원류이기 때문에 은상시기 출토된 문물 문자자료에 대한 연구는 고대산문발전변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본문은 서주초기 명문인 『利궤』과 서주 중기 명문인『牆盤』그리고 서주 후기 명문인『逑盤』을 예로 하여 서주산문의 풍격 특징을 고찰하였는데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부 형식이 점차 엄격하고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두 번째, 사구의 안배가 점차 안정되고 수사격식도 다양화 되고 있다. 세 번째, 어휘의 적절한 선택이다. 명문 편폭의 자수가 증가됨에 따라 명문의 형식과 조구에 있어서 뛰어난 수사예술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명문 작가가 고도의 수사 자각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며 고대인의 자각적인 문화의식을 체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서주 초기 산문의 시대적 특징과 발전 추세를 살펴볼 수 있었다.
TAG 서주, 西周, 청동기, 靑銅器, 명문, 銘文, 산문, 散文, 풍격, 風格
『孟子外書』 譯註
( Jang Chang Ho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11~30페이지(총20페이지)
청동기 명문은 중국산문 형성발전의 초기 원류이기 때문에 은상시기 출토된 문물 문자자료에 대한 연구는 고대산문발전변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본문은 서주초기 명문인 『利궤』과 서주 중기 명문인『牆盤』그리고 서주 후기 명문인『逑盤』을 예로 하여 서주산문의 풍격 특징을 고찰하였는데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부 형식이 점차 엄격하고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두 번째, 사구의 안배가 점차 안정되고 수사격식도 다양화 되고 있다. 세 번째, 어휘의 적절한 선택이다. 명문 편폭의 자수가 증가됨에 따라 명문의 형식과 조구에 있어서 뛰어난 수사예술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명문 작가가 고도의 수사 자각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며 고대인의 자각적인 문화의식을 체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서주 초기 산문의 시대적 특징과 발전 추세를 살펴볼 수 있었다.
『漢書,景十三王傳』 中 「趙敬肅王 彭祖」「中山靖王 勝」 譯註
( Jung Ji Hyun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31~44페이지(총14페이지)
청동기 명문은 중국산문 형성발전의 초기 원류이기 때문에 은상시기 출토된 문물 문자자료에 대한 연구는 고대산문발전변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본문은 서주초기 명문인 『利궤』과 서주 중기 명문인『牆盤』그리고 서주 후기 명문인『逑盤』을 예로 하여 서주산문의 풍격 특징을 고찰하였는데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부 형식이 점차 엄격하고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두 번째, 사구의 안배가 점차 안정되고 수사격식도 다양화 되고 있다. 세 번째, 어휘의 적절한 선택이다. 명문 편폭의 자수가 증가됨에 따라 명문의 형식과 조구에 있어서 뛰어난 수사예술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명문 작가가 고도의 수사 자각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며 고대인의 자각적인 문화의식을 체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서주 초기 산문의 시대적 특징과 발전 추세를 살펴볼 수 있었다.
TAG 한서, 漢書, 경십삼왕전, 景十三王傳, 유팽조, 劉彭祖, 유승, 劉勝, 역주, 譯注
司馬相如品行新說
( Fu Jun Lian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45~56페이지(총12페이지)
서한 양웅으로부터 시작하여 사마상여에 대한 평론은 중단된 적이 없었다. 평가의 초점은 “買官”, “竊色”, “劫財” 등 부분에 맞춰있다. 한초 문경시기 “자選”이라는 선관제도를 실행하였는데 사마상여의 “재물로 낭관이 되었다”는 기록은 바로 이러한 나라에서 법률로 정한 방식으로 획득한 것이므로 합법적인 것이지 매관의 문제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사마상여와 탁문군이 성도로 도주를 했다는 일도 당시 과부를 취할 때 “협의하여 강제 혼인을 한다”는 방식을 이용했을 뿐이지 역시 겁탈 따위의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사마상여와 탁문군이 탁왕손으로부터 거액의 재산을 얻게 된 일도 대부분 당시 법률상 탁문군이 당연히 획득하게 될 내용이지 재산을 탈취했다는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TAG 사마상여, 司馬相如,품행, 品行,以자爲랑,사분성도, 私奔成都,절자탁씨, 竊자卓氏
魏晉寫槐변賦硏究
( Yang Mu Xiao ) , ( Yang Xiao Bin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57~70페이지(총14페이지)
홰나무를 소재로 한 변문은 위진시기 문인들에게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며 역대로 더욱 발전양상을 띄어 구식, 결구, 장법, 수사 등 여러 분야가 날로 성숙되었다. 홰나무에 대한 상징을 사용하는 일과 그 문화적 내함은 점차로 확립되어 당시의 심미관을 선명하게 체현하였다. 위진시기 홰나무 소재 변문 중 홰 나무 상징의 사용은 대략 세 가지 종류가 있다. 大槐安國(한 사람이 홰나무 밑에서 낮잠을 자다가 꿈에 대괴안국 왕의 사위가 되어 南柯郡을 20년 동안 다스리면서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꿈을 깨었다는 내용)의 정치적 우의, 槐社安民의 심리적 기탁, 그리고 槐仙之道의 현학적 함의이다. 일종의 상징 부호로서 홰나무는 위진시기에는 더 이상 자연지물에 대한 묘사는 아니었다. 부단한 전습과 변화로 다양한 측면의 인문 내함을 부여받게 되었고 농후한 역사적 연속성을 띄게 된 ...
TAG 위진, 魏晉,사괴병부, 寫槐騈賦,병체특징, 騈體特徵,괴수의상, 槐樹意象,상징의온, 象徵意蘊,문화내함, 文化內涵
騈賦非騈文辨
( Ye You Ming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71~80페이지(총10페이지)
변부는 운문이고 순문학작품으로 묘사와 서정에만 쓰이는 작가의 서정의지의 문학형식이라 말할 수 있다. 변부는 사부로부터 발전해 온 것이다. 그래서 변문은 즉 일반적인 문장으로 그 주된 부분은 응용문이고, 작가가 사회적 교류를 하고 의견을 발표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변문은 고대산문에서 발전해 온 것이다. 그것들의 공통점은 둘 다 변우라는 수사수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들은 체제 구조와 행문 구식상 많은 다른 점이 존재한다. 변부는“주객의 대화를 서술하여 음악의 앞 머리을 이끄는 것(述客主以首引)”이 가능 하지만 변문은 사용하지 않는다. 변부의 결미는 여러 가지를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혹은 “頌”, “系”, “歌”, “重”, “訊”, “詩”등이라고 칭한다) 변문은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변부는 사육구 외에도 오칠언시구와 騷體句가 ...
TAG 병부, 騈賦,병문, 騈文,운문, 韻文,순문학작품, 純文學作品,응용문, 應用文,병우, 騈偶,부체문, 賦體文
騈論文名稱從“四六”到“騈文”之演變
( Zhang Zuo Dong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81~101페이지(총21페이지)
변문이란 명칭은 청대, 민국 시기에 출현하여 ``四六``에서 ``騈文``으로 변화하였다. 명칭 변화의 배경은 四六과 騈文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다. 청대, 민국시기 문론가들은 주로 세 가지 인식을 갖고 있었다. 첫째, 四六과 騈文을 당연히 동일시하는 것이다. 둘째, 四六과 騈文에 대해 분석과 부별을 진행하는 것이다. 셋째, 四六을 騈文의 별조로 보는 것이다. 그 중 두 번째 것에 구분을 하는 관점이 변문 발전 방향을 대표하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騈文``이란 명칭이 ``四六``을 대신하였고 四六과 騈文의 다른 점을 분석하는 것이 騈文이란 체재를 존중하는 사상(騈文尊體思想)이며, 명실상부한 체현이다. 騈文 발전변화의 단계성과 명칭의 변화는 서로 맞물려 이것이 四六과 騈文을 구분하는 것에 커다란 편의를 제공한다. 청대 민국 시기 문론가들은 주로 창작 영역과 작문 구...
TAG 사륙, 四六,병문, 騈文,병체, 騈體,문체, 文體,선본, 選本,존체, 尊體,청대, 淸代,민국, 民國
論梁季江陵政治文章的文學性
( Zhong Tao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102~113페이지(총12페이지)
현존하는 양계 강릉 소역 집단의 작품은 기본적으로 모두 묘당에서 사용한 정치성 공독문으로 당시의 중대한 정치 사건과 관계가 밀접하다. 이러한 문장들은 문학성을 띤 변려화 된 서신의 방식을 채용하였고, 짙은 서정적 색채와 형상화된 특징을 갖추고 있어서 예술적 기교를 추구하며 다양한 예술풍격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양계 강릉 정치 문장은 심미적인 의미를 갖춘 문학성 서신을 통해 정치 실용의 목적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공독문장의 응용 기능과 심미 기능의 융합을 체현하고자 하였다.
TAG 량계, 梁季,강릉, 江陵,정치문장, 政治文章,병려화, 騈儷化,문학성, 文學性
마음의 휴식을 위한 공부 -『팔자백선(八子百選)』과『팔가수권(八家手圈)』의 기(記)를 중심으로-
( Ming Sun Young )  한국중국산문학회, 중국산문연구집간 [2013] 제3권 114~126페이지(총13페이지)
현존하는 양계 강릉 소역 집단의 작품은 기본적으로 모두 묘당에서 사용한 정치성 공독문으로 당시의 중대한 정치 사건과 관계가 밀접하다. 이러한 문장들은 문학성을 띤 변려화 된 서신의 방식을 채용하였고, 짙은 서정적 색채와 형상화된 특징을 갖추고 있어서 예술적 기교를 추구하며 다양한 예술풍격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양계 강릉 정치 문장은 심미적인 의미를 갖춘 문학성 서신을 통해 정치 실용의 목적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공독문장의 응용 기능과 심미 기능의 융합을 체현하고자 하였다.
TAG 正祖, 『홍재전서, 弘齋全書』, 『팔자백선, 八子百選』, 『팔가수권, 八家手圈』, 휴식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