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63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리교과에서의 행복교육을 위한 공간과 행복의 관계 탐색
황규덕 ( Gyudeok Hw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2호, 49~62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지리교과에서 행복교육의 접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시론적 고찰로, 공간과 행복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먼저 교육 대상으로 바람직한 행복 개념을 명료화한 후 행복의 조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공간과 행복의 관계를 행복의 기준과 행복의 조건 측면에서 각각 고찰하였다. 공간은 물리적 환경 이상으로 인간의 행복에 깊이 개입하였다. 행복의 기준은 특정한 공간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문화와 제도의 영향을 받아 사회-공간적으로 구성되었으며, 거주 공간으로서의 장소는 인간의 욕구 충족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타인들과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장소는 그 자체로 행복의 조건으로 기능했다.
TAG 행복, 공간, 장소, 행복교육, 지리교육, 통합사회, happiness, space, place, happiness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논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교과서의 행복 내용 분석
박선미 ( Sunmee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2호, 63~80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통합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행복의 의미와 조건을 살펴보고 지리교육에서의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행복의 의미를 삶의 만족도, 삶의 질과 안녕의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들 개념 간 차이를 분석하였고, 행복의 조건을 소득, 소득불평등, 정부의 질, 사회 자본, 정주환경의 질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10학년 지리교과서에 행복 내용이 어떻게 조직되었는지를 분석한 후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지리교육의 내용 구성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의 의미는 삶의 만족감과 주관적 안녕에서 삶의 질과 안녕의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둘째, 저소득 국가에서는 소득 수준과 행복 수준이 비례하는 반면, 고소득 국가에서는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다. 행복의 조건으로 소득 못지...
TAG 행복, 삶의 만족도, 주관적 안녕, 삶의 질, 안녕, 정부의 질, 오스트레일리아 교과서, happiness, satisfaction of life, subjective well-being, quality of life, well-being, quality of government, Australian Geographic Textbooks
동물지리와 지리교육의 관계 탐색
조철기 ( Chul-ki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2호, 81~89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는 동물지리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전환, 그리고 문화적 동물지리의 연구 분야 등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와 호주 지리교과서를 동물지리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최근 동물지리는 동물의 분포에 초점을 둔 자연적 동물지리에서 문화적 전환을 통해 문화적 동물지리에 대한 관심으로 그 영역을 외연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우리나라 지리교과서는 동물지리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단원이 없으며, 여러 단원에 산재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자연, 특히 특정 기후대에 분포하고 있는 동물을 비롯하여, 동물이 가축으로 사용되는 부분에 한정되어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호주 지리교과서는 동물지리 단원을 별도로 설정하고 있으며, 주로 인간에 의해 특정 동물의 종이 위협받고 있는 사례를 비롯하여, 이를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개인적, 국가적, 국제적 노력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TAG 자연적 동물지리, 문화적 전환, 문화적 동물지리, 동물권, 동물해방, zoogeography, cultural turn, cultural animal geography, animal rights, animal liberation
글로벌 학습에서 지리 교사 에이전시의 위치와 새 방향
김갑철 ( Gapcheol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1호, 89~105페이지(총17페이지)
2000년 이후 세계 각 국의 교육 당국들은 보다 정의로운 글로벌 환경 건설에 기여할 교육의 대안으로써 글로벌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학교 교사가 비판적 글로벌 시민교육의 가치를 구체적인 교육과정에서 (재)구성하고 실천하는 핵심 에이전트이며, 한 국가의 글로벌 시민교육 정책 및 실천의 성패를 결정짓는 주요 요소로써 재평가하고 있다. 학교 지리는 오랫동안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기여하고 있는 핵심 교과의 하나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지리교육 분야에서 교사 에이전시의 의미, 특히 비판적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 교사 에이전시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는 크게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간극을 글로벌 시민교육 연구, 교육과정 이론, 교사 에이전시에 관한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해 이론적으로 좁힌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TAG 글로벌 시민교육, 실천적 교육과정, 생태적 에이전시, 지리교육, 정의,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actical curriculum, ecological agency, geography education, justice
초기와 현행 사회과 지리 교과서에 반영된 지역 인식과 지역 기술 다시 보기
심광택 ( Kwang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1호, 59~71페이지(총13페이지)
이 글에서는 미래 지리교육과정 개발에 대비하는 지역학습 내용구성을 제안한다. 초기(1946 교수 요목기)와 현행(2012개정 교육과정기) 사회과 지리 교과서에 반영된 지역 내용구성을 비교·분석하고, 지역 인식의 한계를 파악하여 지역 인식과 지역 기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역 인식과 지역 기술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공간적 관점에서 영역, 장소, 스케일, 네트워크 개념을, 생태적 관점에서 환경 개념을 포괄한 지역 개념을 구상하였다. 미래의 학교 지리 교육과정 개발자는 비판지역주의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과 타인의 삶과 삶터를 돌아보고 공감하며, 이웃과 더불어 살기 좋은 장소를 만들기 위해 연대하여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일상생활(의식주, 문화)과 세계시민 의식을 중심으로 지역학습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
TAG 지역 인식, 지역 기술, 비판적 지역주의, 지속가능한 생활, 세계시민 의식, regional cognition, regional description, critical regionalism, sustainable life, global citizenship
모험놀이 활동과정의 초등지리교육적 함의 - ‘공간 만들기’와 ‘장소 찾기’를 중심으로
이지영 ( Lee Ji-young ) , 남상준 ( Nam Sang-j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1호, 17~36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모험놀이의 초등지리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모험놀이란 모험과 놀이를 결합한 개념으로 안전한 교육환경 하에서 도전적인 집단 놀이 활동으로 정의되며 경험학습에 기반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사례에서는 ‘공간 만들기’와 ‘장소 찾기’ 형태의 모험놀이 활동을 고안하였다. 모험놀이 활동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상황 요소 갈등을 경험하며 최적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문제 인식, 문제 해결방안 도출, 과제 수행의 단계를 거치며 학습자들은 협력과 도전정신을 배우고 성취감을 느꼈다. 모험놀이는 배움의 방식을 존중하는 교육이며, 학습공동체의 가치를 되새기고, 일상을 창의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시도를 가능케한다. 모험놀이를 통해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문제해결경험이 격려되고 인정받는 환경에서 상호 신뢰와 지리적 호기심이 자라나...
TAG 모험놀이, 학습자의 성장, 지리적 호기심, 사회적 자본, 협력, adventure play, Children`s development, geographical curiosity, adventure capital, collaboration
뉴질랜드 지리 평가 탐색: NCEA Level 3을 중심으로
김현미 ( Hyun-mi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1호, 135~160페이지(총26페이지)
뉴질랜드는 21세기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 중인 대표적인 나라 중 하나이다.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뉴질랜드가 과연 평가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대해 교과 수준의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비견되는 뉴질랜드 NCEA의 지리 평가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뉴질랜드는 8개로 구성된 지리 성취기준별로 실시되는 내부평가(수행평가 중심)와 외부평가(서술형)를 통해 학점을 취득하고 성취수준에 따라 성적을 받는다. 외부평가는 3년 동안 학년별로 연말 하루 동안 치르게 되지만 내부평가는 수행평가의 형태로 성취기준별로 2~3주간에 걸쳐 실시되며, 서술형 외부평가는 채점 후 수험생에게 되돌려주어 이의제기 기회를 제공한다. 뉴질랜드 지리 평가는 지리적 핵심 개념 및 지리적...
TAG 뉴질랜드 교육과정, 지리 평가, 핵심역량, the New Zealand Curriculum, Geography Assessment, Key Competencies
미국 사회과교실의 세계지리 수업에 대한 연구 - 버지니아 주 고등학교 지리 수업 관찰을 중심으로 -
윤옥경 ( Ok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1호, 119~133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는 미국 버지니아 주에 위치한 한 고등학교의 사회과 세계지리 수업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미국 중등 세계지리 수업이 우리나라 지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했다. 이 수업의 주제는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 수업은 단원 총 정리 복습과 지도 학습, 여행 브로셔 제작의 세 가지의 활동으로 구성되었고, 각 활동의 의도는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수업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 수업을 둘러싼 교과와 교사, 학생, 교육환경, 교실 공간 등의 제반 요소를 살폈다. 수업의 내용은 세계지리 교육과정과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학생들의 활동 중심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교사는 끊임없이 학생들의 좌석 사이를 오가면서 학생들의 수업활동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지도하였다. 인상적인 것은 학생들이 학습내용에 쉽게 접근할 ...
TAG 교실, 수업 관찰, 세계지리, 미국 지리교육, Classroom, Classroom observation, World geography, US geography education
아프리카에 대한 지역인식 변화를 위한 지리교육과정 구성 방법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1호, 73~87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객관적 인식으로 전환하는 방법으로 지리적 접근 방법의 유용성을 논의하고, 지역인식 전환을 위한 지리교육과정 구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아프리카에 대한 지역 인식의 전환을 위한 지리적 접근 방법의 유용성은 첫째, 역사적 측면 보다는 지리적 측면에서 접근할 때 과거보다는 현재 그리고 미래 중심의 관점 형성이 가능하다. 둘째, 아프리카에 대한 객관적 관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 구분과 자연환경에 대한 접근 방법이 유용하다. 셋째, 지역적 접근과 주제별 접근 방법의 장단점을 활용하면, 아프리카를 다양한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다. 넷째, 아프리카에 대한 지역인식의 기준을 서구의 관점이 아니라 우리의 관점으로 확립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아프리카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을 수 있다. 지리적 접근에 의한 교육과정에...
TAG 아프리카, 지역 인식, 부정적 인식, 객관적 인식, 지리적 접근 방법, 지리교육과정, Africa, Regional perception, Negative perception, Objective perception, Geographical approach, Geography curriculum
글로벌 정의교육을 위한 공감의 사회과 지리수업 모델 개발 및 적용 방안 모색
한동균 ( Dong-kyun Ha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18] 제26권 제1호, 37~58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공감의 사회과 지리수업 모델 개발 및 실천을 통해 글로벌 정의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공감과 사회정의, 공감의 지리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글로벌 정의교육을 위한 공감의 지리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이의 수업 실천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글로벌 정의교육의 가능성을 공감의 지리교육적 측면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실행연구의 시사점을 유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정의교육을 위한 공감의 사회과 지리수업이 필요하다. 공감과 사회정의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공감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글로벌 정의교육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학생의 학습을 위한 활동 중심 수업이 필요하다. 글로벌 정의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은 교사의 설명보다는 학생들이...
TAG 글로벌 정의교육, 공감의 지리교육, 실행 연구, 비판적 반성, 시뮬레이션 게임, Global justice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of empathy, action research, critical reflec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