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희 ( Seokhee Lee ) , 김광열 ( Kwangyeol Kim ) , ( Hosseindoust Abdolreza ) , 최요한 ( Yohan Choi ) , 김태균 ( Taegyun Kim ) , 문준영 ( Junyoung Mun ) , ( Joseph Moturi ) , 김진수 ( Jinsoo Kim ) , 채병조 ( Byungjo Chae )한국축산학회(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동물자원연구[2020] 제31권 제4호, 108~116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환경 온도와 등지방 두께(BT)가 모돈의 번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실험은 포유모돈 60두를 공시하였고, 2×2 factorial arrangement에 따라 각 처리구는 두 수준의 사육 온도(high temperature [HT], 27.5±1.76℃; low temperature [LT], 23.3±0.89℃) 및 BT(<20mm, 평균 17.70mm; ≥20mm, 평균 23.20mm)로 나누어 2019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HT 처리구에서 등지방두께 변이폭이 크고, 사료 섭취량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0mm BT 처리구가 ≥20mm BT 처리구에 비하여 체중 손실과 등지방 손실이 적은...
조영한 ( Young-han Jo ) , 박연수 ( Yeon-soo Park ) , 송영한 ( Young-han Song )한국축산학회(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동물자원연구[2020] 제31권 제4호, 117~123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항생제의 대체물질 중에서 IgY와 Bacillus subtilis 생균복합제의 설사 치료와 증체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한우 송아지 20마리에게 생균복합제를 투여하여 분 내의 Bacillus를 검사하였다. 또한, 생균복합제 투여 후 분 내의 E. coli를 측정하기 위하여 10마리의 한우 송아지를 5마리씩 처리구와 대조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증체량과 일일 증체량은 한우 송아지 23마리를 세 그룹으로 나눠 3개월 이유 기간 동안을 비교하였다. 실험1의 대조구에서 검출 된 Bacillus 는 104CFUs/g에서 일정하였고, 처리구과 대조구는 1일과 3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p<0.05), 7일차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Bacillus는 약...
김영종 ( Yeong Jong Kim ) , 강선문 ( Sun Moon Kang ) , ( Dicky Tri Uta ) , 장애라 ( Aera Jang ) , 박재인 ( Jae In Pak ) , 송영한 ( Young Han Song ) , 김동식 ( Dong Sik Kim ) , 이성기 ( Sung Ki Lee )한국축산학회(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동물자원연구[2020] 제31권 제4호, 124~133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TMR 급여 및 건식숙성 기간이 다산한우(Bostaurus coreanae) 채끝(longissimus lumborum)의 이화학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했다. 실험동물은 급여사료의 종류에 따라 2개 처리구(n=3/처리구)로 나누어 한 개 처리구(출하개월령: 83±9개월; 산차: 5±2)는 전체 사육기간 동안 농후사료와 볏짚을 급여한 반면, 다른 처리구(출하개월령: 87±6개월; 산차: 5±1)는 도축전 7개월 동안 TMR을 급여한 후 도축했다. 시료는 채끝을 2±1℃, 상대습도 85%, 공기 유속 2m/sec의 숙성실에서 20 및 40일간 건식숙성하면서 품질분석에 이용했다. pH, 가열감량 및 hypoxanthine 함량은 40일간 건식숙성한 다산한우 채끝이 20일간 건식...
김일영 ( Il Young Kim ) , 고용균 ( Yong Gyun Goh ) , 안준상 ( Jun Sang Ahn ) , 손기활 ( Gi Hwal Son ) , 박병기 ( Byung Ki Park ) , 신종서 ( Jong Suh Shin ) , 이향자 ( Xiang Zi Li )한국축산학회(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동물자원연구[2020] 제31권 제3호, 102~107페이지(총6페이지)
장수풍뎅이 유충(장수애) 분말의 식품첨가제 대체효과 조사를 위해 5그룹의 돈육 유화형소시지를 제조하였다: 1) 양성 대조구(PC): 인산염(0.3%) 및 분리대두단백(ISP, 1%) 첨가; 2) 음성 대조구(NC): 인산염, ISP 및 장수애 분말 무첨가; 3) 인산염 대체구(PR): 인산염 무첨가 및 ISP와 장수애 분말(1%) 첨가; 4) ISP 대체구(IR): ISP 무첨가 및 인산염과 장수애 분말 첨가; 5) 인산염 및 ISP 대체구(PIR): 장수애 분말(1%) 첨가 및 인산염과 ISP 무첨가. 장수애 분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금속이온 킬레이팅 활성은 각 45.65±2.468, 22.46±3.559%로 황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수애의 높은 pH(8.03)는 장수애 첨가구인...
이은채 ( Eunchae Lee ) , 박소정 ( So Jeong Park ) , 이지현 ( Ji Hyeon Lee ) , 정형학 ( Hyung Hak Jung ) , 주종원 ( Jong Won Joo ) , 이상락 ( Sang Rak Lee )한국축산학회(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동물자원연구[2020] 제31권 제3호, 87~101페이지(총15페이지)
장수풍뎅이 유충(장수애) 분말의 식품첨가제 대체효과 조사를 위해 5그룹의 돈육 유화형소시지를 제조하였다: 1) 양성 대조구(PC): 인산염(0.3%) 및 분리대두단백(ISP, 1%) 첨가; 2) 음성 대조구(NC): 인산염, ISP 및 장수애 분말 무첨가; 3) 인산염 대체구(PR): 인산염 무첨가 및 ISP와 장수애 분말(1%) 첨가; 4) ISP 대체구(IR): ISP 무첨가 및 인산염과 장수애 분말 첨가; 5) 인산염 및 ISP 대체구(PIR): 장수애 분말(1%) 첨가 및 인산염과 ISP 무첨가. 장수애 분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금속이온 킬레이팅 활성은 각 45.65±2.468, 22.46±3.559%로 황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수애의 높은 pH(8.03)는 장수애 첨가구인...
이효정 ( Hyojeong Lee ) , 안상진 ( Sangjin Ahn ) , 최소영 ( So-young Choi ) , 홍민욱 ( Min-wook Hong ) , 김훈 ( Hun Kim ) , 배윤호 ( Yun-ho Bae ) , 김종택 ( Jong-taek Kim ) , 이성진 ( Sung-jin Lee )한국축산학회(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동물자원연구[2020] 제31권 제2호, 45~51페이지(총7페이지)
산양(Naemorhedus caudatus)은 한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조각화된 서식지에서 성비의 불균형은 종의 멸종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야생동물로부터 회수한 시료를 이용한 성 판별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에서 산양의 생태 모니터링과 유전적 다양성은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성 판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양에서 채취한 다양한 시료에서 DDX3 유전자 및 AMEL 유전자를 이용한 성 판별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성 판별을 위해 산양의 조직, 혈액 및 분변으로부터 채취한 DNA를 AMEL(SE47/SE48 및 SE47/SE53 primer set) 및 DDX3 유전자를 이용하여 증폭하였으며, 산양과 소의 DDX3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혈...
문준범 ( Joon-beom Moon ) , 김한빈 ( Han-been Kim ) , 이정수 ( Jeong-soo Lee ) , 박중국 ( Joong-kook Park ) , 신동은 ( Dong-eun Shin ) , 박병기 ( Byung-ki Park ) , 송재용 ( Jae-yong Song ) , 이세영 ( Se-young Lee ) , 서자겸 ( Ja-kyeom Seo )한국축산학회(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동물자원연구[2020] 제31권 제2호, 52~61페이지(총10페이지)
사료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중 in vitro 발효 평가는 사료 주머니를 사용하는 방법과 사료 주머니 없이 배양병에 직접 사료를 담아 수행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사료 주머니의 공극 차이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미생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공시사료는 1mm로 분쇄된 쌀과 대두박, 티모시를 70:7:23의 비율로 이용하였으며, 공극 크기가 각각 25μm, 50μm인 F57과 R510에 공시 사료를 2g씩 담아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o 배양 이후 3, 6, 12, 24, 48h 동안 발생한 발효 성상과 48h 배양 이후 반추 미생물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모든 배양 시간에서 가스 발생량은 R510에서 F57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건물 소화율(p<0.01)과...
이강민 ( Kang-min Lee ) , 김학연 ( Hack-youn Kim )한국축산학회(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동물자원연구[2020] 제31권 제2호, 62~71페이지(총10페이지)
본 실험은 고추냉이 첨가가 유화형 돈육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으며, 고추냉이의 첨가 수준(1, 2, 3%)에 따른 유화형 돈육 소시지를 제조하여 진행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2%와 3%의 고추냉이 처리구들이 27.46-28.38% 수준으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열수율은 1%와 2%의 고추냉이 처리구들이 74.99-75.54% 수준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보수력은 1%와 2%의 고추냉이 처리구들이 92.22-92.26% 수준으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유화안정성은 1%와 2%의 고추냉이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점도는 고추냉이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고, TPA는 모든 항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