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

 1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1
 2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2
 3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3
 4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4
 5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5
 6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6
 7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7
 8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8
 9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9
 10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10
 11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역사인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선시대의 편사정신(編史精神)의 근본을 이룬 것은 ‘성리학(性理學)’이었다. 역사서술의 일차적 목적으로 성리학의 응용학으로서 과거의 역사를 정리하고, 이를 거울로 하여 정치적 교훈을 얻고자 한 것이 바로 조선의 편사정신이다.
조선시대의 역사편찬의 기본 골격은 성리학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그 과정은 크게 세 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조선전기, 왕조의 교체시기에 아직 혼란스러웠던 정국을 다스리는 과정에서의 역사편찬. 둘째, 왜란(倭亂)과 호란(胡亂)을 겪으면서 민족적 자아의식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의 역사편찬, 그리고 18세기 후반 이후 독자적 학문으로 전문화되어가는 과정에서의 역사편찬이다.
그렇다면 각각의 과정 속에서 과연 어떠한 역사저술이 있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역사인식은 어떻게 변하여 왔을까? 이 질문의 대답이 바로 조선시대의 역사편찬과 그 인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2. 본론
◎ 조선전기의 역사편찬
1) 15세기(태조~성종) : 고려시대와 성격을 달리하는 새로운 통치질서를 세워가는 과정에서 국가의 통치철학을 담은 다양한 사서들이 관찬(官撰)되었다.
① 고려시대의 역사 정리
『고려사(高麗史)』
- 기전체(紀傳體) 형식.
- 군주(君主)의 절대적 영향력을 중심에 두고 고려역사를 정리.
-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9권, 연표(年表) 2권, 목록(目錄) 2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