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

 1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1
 2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2
 3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3
 4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4
 5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5
 6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6
 7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7
 8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8
 9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9
 10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10
 11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11
 12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12
 13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13
 14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록파 연구의 목적과의 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청록파
1.서론
1).연구의 목적과 의의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을 거쳤으면 누구나 다 청록파에 대한 기본지식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청록파에는 ‘박두진’, ‘조지훈’, ‘박목월’, 이있으며 이 청록파 시인들은 자연에 대해 노래 했다 라는 것인데, ‘청록파’에 대해서 조사하기 시작하게 된 후에야 비로소 그들이 시인으로서의 인생을 살아가면서 자연에 대해 노래했던 것은《청록집》이란 이름의 시집을 발간하기 전후의 그리 길지 않았던 시간 동안이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과연 짧은 생을 살았던 시인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시작(時作) 초기에 잠깐 교류했던 것만으로 그들의 이름 앞에 따라붙는 ‘청록파 시인’이란 수식어는 올바른 것인가? 라는 의문점에 초점을 두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도 그들의 시 인생을 전기, 중기, 후기 등으로 나누기도 하고 청록집 안에서도 그들이 노래한 자연에 대한 주제의식을 세밀하게 살펴 서로를 구분 짓기도 했지만 ‘청록파’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진 못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이 논문을 통해 우리는 청록파시인에 대해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닌지 판단하며 이 시인들을 청록파 시인이라는 테두리에 묶어둘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시적 경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일이 되길 바라면서 청록파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2).청록파의 기존정의
한국어의 공적인 사용이 전면 금지된 1941년 이후부터 해방까지는 우리 근대시사에서 암흑기로 불리는 시기였습니다. 이 기간에는 일본의 국시에 순응하는 일부 어용 시들과 일본어 시들만이 발표될 수 있었고 한국어 시는 일제 창작이 금지되었습니다. 다만 숨어서 시를 쓴 몇몇의 시인들이 민족문학의 맥을 계승했는데 윤동주, 허민 등과 박목월, 박두진, 조지훈 등 소위 청록파 시인들이 그들인데, 그 중에서도 공동 시집인 《청록집》을 낸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3인을 가리켜 ‘청록파 시인’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영원한 생명의 고향인 ‘자연’을 추구하였습니다. 30년대 말 40년대 초에 정지용의 추천으로 문단에 데뷔한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등 세 시인은 해방이 되자마자 1946년 일제 암흑기에 쓴 시들을 묶어 《청록집》이라는 이름의 시화집을 간행했는데 이는 자연을 개관적으로 인식한 새로운 형태의 자연 서정시의 한 유형을 개척해 보여 주었습니다. 이들의 자연 시들은 자신들을 《문장》지를 통해 추천해 준 정지용의 40년대 문학서인, 시집 《백록담》의 도가적 자연의 세계를 각자 나름대로 변용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청록집》에 수록된 시인들은 해방 이후에도 당분간 같은 시의 세계를 추구하면서 동시대의 시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40년대 후반에 자연 시들이 등장하고 또 그것이 시단의 일반적인 공감을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은 현실사회의 타락과 정치적 갈등에서 오는 불안 그리고 문학의 정치주의에 대한 혐오감 때문이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현실적인 삶의 문제를 떠나서 자연에 귀의한 시를 쓰게 된 것이고, 그들의 시는 전통적인 서정과 율격으로 한국적 자연을 그리고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