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개론 국문학國文學의 표기문자表記文字

 1  국문학 개론 국문학國文學의 표기문자表記文字-1
 2  국문학 개론 국문학國文學의 표기문자表記文字-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개론 국문학國文學의 표기문자表記文字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문학(國文學)의 표기문자(表記文字)
1 한문(漢文)
(1) 한문은 갑오경장 조선조 26대 고종(高宗) 31(1894)년 조선정부가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를 통해, 근대국가의 모습을 갖추어 보려는 노력의 발단으로서, 정치·경제·사회 등의 모든 제도에 대한 근대적인 개혁이었다.
을 계기로 국문전용운동이 대두하기 전까지 우리 문장의 구실을 함
(2) 부착어인 우리말을 표현하기 위해 향찰을 창안하였으나 그 사용이 그치고 한문 본질 그대로 쓰이게 됨
(3) 한자에는 우리 음운에 맞는 독법이 적용됨→ ‘天’ 자의 음독은 ‘천’, 훈독은 ‘하늘’
2 향찰(鄕札)
(1) 향찰은 신라시대의 향가를 표기한 것
(2) 향찰의 표기법은 인도 범서의 표기법인 연서와 같은 것이므로 중국인은 잘 알지 못한다고 한 것으로 보아 한문과는 전혀 그 문장의 구조가 다르며, 표음문자와 표의문자를 혼용한 문장임
(3) 향찰은 이찰 이라고 불리기도 함→신라인들이 향찰을 가지고 시가뿐 아니라 공문서도 표기했음
(4) 향찰의 일례 ‘서동요(薯童謠) 백제의 서동(薯童:백제 무왕의 어릴 때 이름)이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지었다는 민요 형식의 노래이다. 내용은 선화공주가 밤마다 몰래 서동의 방을 찾아간다는 것이었는데, 이 노래가 대궐 안에까지 퍼지자 왕은 마침내 공주를 귀양 보내게 되었다. 이에 서동이 길목에 나와 기다리다가 함께 백제로 돌아가서 그는 임금이 되고 선화는 왕비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善花公主主隱(선화공주주은) 善花公主님은
他密只嫁良置古(타밀지가량치고) 남 그으기 얼러두고
참고문헌

김기동(1991). 국문학개론. 태학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서동요”.
(접속 : 201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