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의 생애와 사상

 1  원효의 생애와 사상-1
 2  원효의 생애와 사상-2
 3  원효의 생애와 사상-3
 4  원효의 생애와 사상-4
 5  원효의 생애와 사상-5
 6  원효의 생애와 사상-6
 7  원효의 생애와 사상-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원효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원효(617 ~ 686)의 생애와 사상
Ⅰ. 생애
원효는 신라시대의 고승으로서 성은 설씨이고 원효는 법명이며 아명은 서당(誓幢)이다. 신라 진평왕 39년(617년)에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났는데 당시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침략으로 몹시 시달림을 받고 있었다. 그래서 신라는 삼국을 통일을 꿈꾸며 인재 양성과 국력 증강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당시 불교는 왕과 귀족들의 종교였으며, 승려들은 산속에 들어가 참선을 하여, 일반 백성들이 불교를 접하기는 힘들었고 교리도 너무 어려웠다.
그는 항상 열심히 배우는 자세로 노력하여 유학, 불교, 도교에 대하여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의 사람들이 믿고 있던 불교에 많은 관심을 가져 15,6세에 불교의 진리를 담고 있는 三學(계학(戒學)·정학(定學)·혜학(慧學))에 능하게 되었다. 화랑으로 여러 전투에 참가하면서 많은 죽음을 본 그는 사는 것에 대한 깊은 반성과 속세의 삶에 대한 허무감 때문에 승려가 되기로 결심하여 황룡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가산을 불문에 희사, 초개사(初開寺)를 세우고 자기가 태어난 집터에는 사라사(沙羅寺)를 세웠다. 650년(진덕여왕 4) 의상(義湘)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는데 중도에 고구려 순찰대에 붙잡혀 실패하였다. 661년 의상과 다시 유학길을 떠나 당항성(唐項城:南陽)에 이르러 한 고총(古塚)에서 잠을 자다가 잠결에 목이 말라 마신 물이, 날이 새어서 해골에 괸 물이었음을 알고 사물 자체에는 정(淨)도 부정(不淨)도 없고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렸음을 대오(大悟)하고 그냥 돌아왔다. 그후 분황사(芬皇寺)에서 독자적으로 통불교(通佛敎 : 元曉宗 ·芬皇宗 ·海東宗 등으로도 불린다)를 제창, 불교의 대중화에 힘썼다.
하루는 거리에 나가 “누가 내게 자루 없는 도끼를 주겠는가? 내 하늘을 받칠 기둥을 깎으리라(誰許沒柯斧 我斫支天柱)” 라고 노래한 것이 태종무열왕에게 전해져 요석공주(瑤石公主)와 잠자리를 같이하기에 이르렀고, 마침내 설총이 태어났다. 이 사실을 스스로 파계(破戒)로 단정, 승복을 벗고 소성거사(小性居士) ·복성거사(卜性居士)라 자칭, 《무애가(無碍歌)》를 지어 부르며 군중 속에 퍼뜨리자 불교가 민중 속에 파고들었다.
그는 남루한 옷을 입고 사람이 모인 곳이면 어디든 찾아가 중생을 구제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으로 불교는 백성들 사이에 널리 전파되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정신적인 기둥이 되었다. 또한 당나라에서 들여온 금강삼매경을 왕과 고승들 앞에서 강론하여 존경을 받았고, 참선과 저술로 만년을 보내다가 70세에 혈사(穴寺)에서 입적하였다. 뒤에 고려 숙종이 대성화정국사(大聖和靜國師)라는 시호를 내렸다.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한국의 불교사상 큰 발자취를 남긴, 가장 위대한 고승의 한 사람으로 추앙되고 있다.
저서에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화엄경소(華嚴經疏)》 《대열반경종요(大涅槃經宗要)》《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대무량수경종요(大無量壽經宗要)》《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보살영락본업경소(菩薩瓔珞本業經疏)》《범강경보살(梵綱經菩薩)》《계본사기(戒本私記)》《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중변분별론소(中邊分別論疏)》 판량비론(判量比論)》《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등이 있다.
Ⅱ. 사상
1. 일심(一心)사상
원효의 일심사상은 그의 저서 · 등 그의 모든 저술에서 철저하게 천명되고 있다. 인간의 心識을 깊이 통찰하여 本覺으로 돌아가는 것, 즉 귀일심원(歸一心源 : 일심의 원천으로 돌아가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설정하고 육바라밀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만법귀일(萬法歸一), 만행귀진(萬行歸眞)을 굳게 믿고 사상과 생활을 이끌어갔다. 그리고 일심이야말로 만물의 주추이며, 일심의 세계를 불국토(佛國土) 극락으로 보았고, 이것을 대승·불성열반이라고 불렀다.
일심은 바로 무루종자[法]의 싹이며 부처님이 될 소지다. 그가 의상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서 한밤에 해골물을 마신 후 다음날 크게 깨달았다는 것도 결국 ‘일심’이다. ‘마음이 있으면 가지가지 일이 생기고 마음이 없으면 가지가지 일이 없어지니 모든 것이 마음에 달려 있다.(一切唯心所造)’고 했다.
그는 ‘참된 법은 중생심’이라고 하여 모든 세계는 오직 일심에서 출발한다고 했다. 일심의 근본은 유무의 이변을 떠나 초연한 것이라고 했다. 홀로 맑은 것이며, 진속에 융통하되 초연한 것이라고 했다. “‘둘을 융통하되 하나가 아니며, 양끝을 떠나되 중(中)도 아닌 마음이 무루(無漏)의 자성이며 여래의 마음”이란 것이다.
원효의 삶에서 一心은 곧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의 ‘마음의 통일’을 상징한다. 그가 분열된 온갖 마음들을 통일하기 위해 모색한 중요 숙어가 바로 이 一心인 것이다. 즉 원효에게 있어서 一心은 그의 모든 생각의 갈래들을 묶는 벼리이며 모든 것의 근거이다. 다시 말해서 원효가 보여주는 一心은 넓은 마음이며 부처의 뜻에 부합되는 것이다. 무릇 진리에는 방향성과 고정성이 없다. 원효가 정의한 一心도 고정된 개념이 아니다. 더러움과 깨끗함, 참됨과 거짓됨이 둘이 아니듯 진리는 어떠한 경계에 의해 그 외면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진리는 인간들의 망막위에 덧씌워진 색안경에 의해 왜곡되곤 한다. 일상의 색안경을 벗고 ‘있는 그대로’ 대상을 파악할 때 진리는 올곧게 드러난다. 원효는 일심을 정의하면서 이러한 일체의 왜곡이나 언어의 횡포로부터 진리를 해방시키려 하다. 그 해방이 비록 지난하더라도 원효는 끝내 진리를 왜곡 없이 있는 그대로 드러내려 한다. 그 진리의 드러난 모습이 원효에게는 곧 一心인 것이다. 그리고 일심은 갈라진 모든 물결들의 시원지이며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의지처이다.
원효는 삼국이 국토팽창정책에 의거해 주장하는 다양한 정략들조차도 결국은 ‘三韓一統’이라는 기치아래 묶어 버린다. 인민의 삶이나 귀족의 삶을 중생심으로 묶어세운다. 중생심은 곧 一心인 것이고 일심은 大乘의 마음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