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능화의 한국 종교이해 연구 논찬

 1  이능화의 한국 종교이해 연구 논찬-1
 2  이능화의 한국 종교이해 연구 논찬-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능화의 한국 종교이해 연구 논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능화의 한국종교이해』연구에 대한 논찬
1. 일제시에 『朝鮮史』의 편수에 참여한 이능화는 친일파로 규정되고 있다.『朝鮮史』가 일제의 조선지배정책 아래 조선총독부에서 이루어졌음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편수 참여 자체가 친일인지, 구체적 식민사관의 전개가 친일인지, 아니면 어쩔 수 없는 시대적 상황 안에서 학자로서의 소임을 다한 종교학자로 그를 평가할 수 있을 지는 보다 구체적이고 다각적 시각의 분석이 요구된다.
발제조는 그를 민족주의적 종교학자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이의를 제기 할 여지는 없는가? 이능화는 발제자의 견해와는 달리 『조선도교사』전체에서 동학에 대해 유독 부정적 언사가 많이 발견되고 있어서, 이능화가 단군을 중시하고 한국도교기원설을 주장하는 민족주의자적인 모습은 민중들의 종교운동을 대할 때는 찾아볼 수 가 없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종은 외,『우리 文化의 뿌리를 찾는 李能和硏究 -韓國宗敎史學을 중심으로』(서울: 집문당, 1994) p. 107.
또한 이능화의 한국무속이해에 있어 그가 한국 무속을 언급할 때 주변 민족의 무속과의 공통성을 자주 언급한 반면 한국 무속의 특수성을 지적한 것이 거의 없으며, 상대적으로 한국문화의 특수성을 부각하고자 했던 신채호 등의 민족사학자들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인하대, 서영대 교수) 이능화가 민족 문화적 종교학자로서의 일관성을 보여준 학자로 평가될 수 있는가?
그의 종교관은 『백교회통』이라는 저술을 통해 드러난다. 각 종교는 하나의 근본에서 나뉘어 졌을 뿐 서로가 모순되거나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있다. 모든 종교는 서로 통하는 점이 있으며 그 공통된 것을 찾음으로써 각기 인정되기를 바랐던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미루어 그가 다른 종교에 대해 배타적인 입장에 서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그는 기독교 교리연구에서 각 종교 간의 회통론을 주장한다) 이능화는 종교의 이해를 교리론 적 이해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역사적 정황 안에서, 구체적으로 한국사회의 낙후와 관련하여 그 원인을 밝혀보려는 사상사연구까지 관심을 확대해 나간다. 따라서 그의 종교사연구에서는 시대의 정치사회적인 요인이 중요한 변수로 자리한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건데 필자는 이능화가 민족주의적 종교학자나 호교론자라기 보다는 보편(普遍)과 회통(會通)을 중시한 역사 종교학자로 보여 진다.
2. 이능화는 종교의 교리연구만으로는 각 종교를 제대로 이해 할 수 없고 오히려 각 종교는 시대와 사회와의 밀접한 관련 속에서 그 영향과 변화를 통한 이해와 해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그의 종교학 연구를 역사 사회적 방법이라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은 논찬조가 제시한 목적과 수단적 방법으로만 이능화 종교관을 보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논찬 조가 본 이능화의 종교의 구도를 목적이 아닌 수단 또는 도구적 성격으로 본 것이라면, 역사 사회학적 방법은 종교를 그 시대 상황과의 연관 속에서 정치 사회와 종교의 상호관련성 혹은 현상학적 연구에 치중한 것으로서 역사종교학적 연구의 범주에 귀속시킬 수 있기 때문이며 보다 포괄적 범주의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유사한 예로, 발제조가 이능화의 조선 신교 무교의 이해에 있어 조선에 불교와 도교가 들어온 후 무속이 상당히 변질되었다고 보는 견해는 다소 편중된 해석으로 보여 진다. 이능화는 불교와 도교가 무속에 대해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지 않고, 불교와 도교 간에는 물론 무속도 불교와 도교에 여향을 미친 것으로 보는 것이다. 조선의 신사(神社)풍속에서 어느 것이 도가(道家)의 설(說)이며 어느 것이 불가(佛家)의 설(說)이며 어느 것이 무가(巫家)의 설(說)인지를 구별하기 어렵게 되기도 했다는 이능화의 지적이 이러한 사실을 입증한다.
3. 발제조는 이능화가 불교인이며 그의 학문적 활동이 불교에 대한 호교론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셨습니다. 하지만 이능화가 한국의 종교연구, 특히 불교연구와 신교연구를 통해서 얻고자 했던 것은 우리 문화의 근원에 대한 탐구에 있는 것이 아닐까요? 이능화의 한국 종교연구는 다양한 종교들의 공존과 종교사회사학적 관심에 집중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상세한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4. 이능화의 학문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의 비판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하나는 이능화의 학문적 방법에 대한 것으로, 이능화의 연구성과가 전근대적인 서술방법에 따라 쓰여진 자료집적 성격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판이며 다른 하나는 그의 학문이 지니는 성격과 연관되는 것으로서, 일제하의 활동과 관련하여 역사의식이 철저하지 못했음을 비판받고 있습니다. 발제조는 이능화의 학문이 민족(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능화의 학문의 목적이 민족 근대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의 학문이 민족(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주장은 구별되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5. 이능화의 유교비판은 교리 자체에 대한 비판이라기보다는 조선조 유교 양반 사회의 보수성과 폐쇄성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부가적인 설명을 요청합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