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철학

 1  남송철학 -1
 2  남송철학 -2
 3  남송철학 -3
 4  남송철학 -4
 5  남송철학 -5
 6  남송철학 -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남송철학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남송철학
1. 주자의 생애와 학문과정
주자(朱子)는 이름이 희(熹)이고, 자는 원회(元晦) 혹 중회(仲晦)이며, 호는 회암(晦庵)이다. 중국 남송 시대의 철학사상가로서 원적은 휘주(徽州) 무원(務源: 지금은 강서성에 속함)사람이고, 1130년 복건(福建)의 우계(尤溪)에서 태어나, 1200년에 죽었다. 그는 생사에 주로 복건의 숭안(崇安)과 건양(建陽)에 거주하면서 학문을 강론하였기 때문에, 그 지역의 전통적인 지명이름을 본 따서 그의 학파를 송대의 다른 학파와 구별하여 ‘민학(學)’이라고도 부른다.
주자는 북송시대에 전개된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종합 계승하여 그 학문체계를 완성 하였다는 점에서 성리학의 집대성자라고 할 수 있으며, 공자 맹자 이후 유학의 정신을 새롭게 드높였다는 점에서 신유학의 대표자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의 철학사상은 중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위시한 동남아 유교문화권에 오백년 이상 정신적인 지주역할을 할 정도로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매우 중요한 전통사상이기도 하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p. 247
주자는 그의 나이 24세 이전 즉 성리학의 스승 이동(李, 1093~1163)을 만나기 이전까지, 선진유가·불교·도가사상 및 역사 등 광범하게 중국전통문화와 사상을 익혔으며, 특히 14세 때부터는 부친의 유언에 따라 부친의 친구인 유자휘(劉子)·유면지(劉勉之:주자의 장인)·호헌(胡憲)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주자는 24세에 이동을 만나면서 자신의 학문 방향과 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의 나이 34세에 이동이 죽을 때까지 10여 년간 이동의 가르침을 통하여, 유가사상과 불교·도가사상과의 본질적인 차이점을 자각하고, 성리학적 입장에서 유가 경전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주자는 34세 때 스승 이동의 죽음에 이어, 그의 학문 방법에 전환을 가져온 학문의 동료를 만나게 된다. 바로 호굉(胡宏)의 제자인 장식(張,1133~1180)과의 만남이다. 주자는 40세에 역시 학문 동료인 채원정(蔡元定)과의 토론 중에 홀연히 중화구설을 의심하게 되고, 다시 이정의 서적을 검토하면서, 자신의 심성론 및 공부수양론의 정설이라고 할 수 있는 ‘중화신설(中和新說)’의 체계를 확립한다. 40세 이후 즉 중화신설 확정 이후 주자의 학문과정은, 중화신설을 기반으로 하고 정이의 철학체계를 위주로 하여, 북송의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종합·계승하면서 자신의 철학사상체계를 더욱 견고하고 풍부하게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50대에 들어서면서 주자는 다시 지방관리 생활을 시작하여, 60대 까지 몇 차례 지방행정의 실무를 담당한다. 주자는 65세에 황제의 초빙을 받아, 환장각대제(煥章閣待制) 겸 시강(侍講)이라는 벼슬을 받는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p. 248~252
2. 주자의 철학 사상 체계
1) 주자철학사상의 기본 전제 - 천도관(天道觀)
유가 철학의 중심 문제는 인간의 본질 및 그 생명 활동에 관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본질을 어떻게 이해하느냐 에는 이미 인생의 방향 및 목표 등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본질을 연구함에 있어서 세계관에 관한 이해는 반드시 제기되는 하나의 전제조건이다. 대체로 세계관은 세 가지이다. “ ‘인간’개념 속에는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회관’,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먼저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자연우주관’, 사회관과 자연우주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역사문화관’의 문제가 있다.” -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p.253
유가철학에서는 이 세계관을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관계로 설명한다.
유가에서는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려면 반드시 천 혹은 천도의 문제와 관련이 된다. 또한 유가 사상의 발전 과정으로, 송대 성리학을 이른바 ‘신유가(新儒家)’라고 지칭하는 까닭도 역시 천도와 인도의 관계 문제에 있다. 또한 주자의 학문과정에서 보았던 ‘중화신*구설’의 문제 또한 그 궁극적인 귀결은 천도 혹은 천리가 인간에 어떻게 내재해 있고,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채득하고 실현할 것인 가하는 문제에 있다. 따라서 주자에 있어서도 천 관념 혹은 천도관의 문제는 그의 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p.254
주자는 유가경전 가운데의 ‘천’자에 대해 종합적인 설명을 하면서, 천 관념을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다. 첫째는 ‘자연으로서의 천’이고, 둘째는 ‘주재자로서의 천’,셋째는 ‘이치로서의 천’이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p.254
첫째 ‘자연으로서의 천’은 인간이 관찰한 바의 객관전인 자연에서 비롯된다. 주자는 자연의 의미로서의 천을 땅을 둘러싸고 있는 지극히 높고 크며 사방으로 무한하게 뻗쳐 있는 것으로 보았고, 그것을 무한한 공간으로 해석한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p.255
그리고 주자는 천이 스스로 운행하는 기능 천의 운행은 바로 밤과 낮의 순환과 사계절의 변화 및 기후의 변환 등 주로 시간관념과 관련된 운행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