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

 1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1
 2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2
 3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3
 4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4
 5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5
 6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6
 7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7
 8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8
 9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9
 10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10
 11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11
 12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12
 13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주자의 사상, 주자] 주자의 철학과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자의 삶과 철학

2. 주자의 이기론(理氣論)

3. 심성론(心性論)

4. 주자의 철학사상 일고찰
(1) 신유학 사상
(2) 理의 개념
(3) 리(理)와 기(氣)의 관계설정
(4) 태극(太極)의 개념 정리
(5) 인(仁)의 가르침 승화
(6) 거경궁리

5. 주자철학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1. 주자의 삶과 철학

주자는 중국 남송의 사상가로 자는 원회, 호는 회암이다. 건성 우계 출신으로 주자학을 구축하였으며 주자(朱子)는 그의 존칭이다. 주자는 거의 전 생애를 건양·숭안 등 민북에서 지냈다. 중원의 문화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딴 시골에서 출생, 성장하였다. 14세 때 중급관리였던 부친 주송은 병사하였고, 그 뒤 충안의 호적계·유백수·유병산에게 사사하며 면학에 힘썼다. 초년에는 유교적인 교양을 쌓으면서도 노장·불교에 흥미를 가졌다. 19세에 과거에 급제하고, 24세에 임관하여 푸젠성 둥안현의 주부로 4년간 근무하였다. 때마침 정이 학통을 이은 이동을 만나 사사하고, 차츰 유교로 기울어져 신유학의 정수를 계시받았다. 28세로 퇴직하고, 그 뒤 20여년 관직에 나가는 일 없이 국가로부터 연금을 받아 가거하면서 학문·저술에 전념하였다. 그 동안 이동을 여의고, 장식·여조겸과의 교류가 시작되어 주희의 사상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대체로 40세 무렵에 그의 사상의 대강이 확립되었다고 본다. 46세 때 여조겸과 함께 《근사록》을 편찬하였고, 북송의 대표적 도학자 주돈이·정호·정이·장재의 언론 622조를 문목별로 14권으로 나누어 1책으로 종합하였다. 주희의 학문은 이 4명을 중심으로 북송의 신학풍을 받아 집대성한 것인데, 정주학이라는 명칭이 말하듯이 이정, 특히 정이의 학설을 계승, 전개하고 있으며, 그런 뜻에서 이 책은 주자학의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또 그해 여조겸의 제창으로 당시 사상계 한편의 우두머리였던 육구연 형제와 <아호의 회>라는 회견을 하였다. 이 뒤에도 육구연은 그의 좋은 적수가 되어 공리학파의 진량과 나란히 주희가 가장 힘을 들여 논진을 편 상대가 되었으며, 거꾸로 그로 하여 그의 사상은 한층 순화성숙하여 갔다. 그리고 이 20년 동안에 다수의 저작에 착수하였다. 즉 《주역본의》 《시집전》 《사서집주》 《사서혹문》 같은 경전해석, 《태극도설해》 《통서해》 《서명해》 《사상채어록》 《연평답문》 《정씨유서·외서》 등, 북송 이래의 선학 저작을 교정·편찬, 선학(先學)의 전기를 모은 《이락연원록》과 《명신언행록》, 또 왕조의 정통성을 문제삼은 《자치통감강목》 등을 정본이나 고본으로 만들었다. 이 중 주목할 것은 《사서집주》로, 사망 직전까지 손을 대고 있었다고 한다. 주희가 《대학》 《중용》을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라 하여 오경(五經)의 입문서라는 위치를 부여한 것은 사상적으로 유기적인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즉, 하나는 유교의 길(道)의 정통적 전통을 인정하여 이것을 다시 계승하고자 하는 도통론의 면에서, 또 하나는 <성인은 배워서 이르러야 한다>고 하는 송학의 근본관념 아래 길의 파악을 목표로 학문의 목적과 그 절차가 명확하게 제시되었다는 점에서이다. 그것은 한당의 훈고학적 경학과는 달리, 경서를 통하여 통일적 사상을 배우고 그 참뜻을 체득하여 자기 인격의 완성을 꾀하며, 유학의 이상인 수기치인의 도를 실현하려고 하는 신유학의 수립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중국 문화사 총설, 첸무 지음 차주환 옮김, 문교부
주자강의, 진영첩, 푸른강의
동양윤리사상의 이해, 조현규, 새문사
동양 정치 사상과 연구촌본, 순일랑 지음, 동녁신서
주자의 철학, 오오하마 아끼라 임헌규, 인간사랑
하고 싶은 말
지난 학기에 중간고사 대체 레포트로 작성했던 A+ 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