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철학 - 선산학

 1  청대철학 - 선산학 -1
 2  청대철학 - 선산학 -2
 3  청대철학 - 선산학 -3
 4  청대철학 - 선산학 -4
 5  청대철학 - 선산학 -5
 6  청대철학 - 선산학 -6
 7  청대철학 - 선산학 -7
 8  청대철학 - 선산학 -8
 9  청대철학 - 선산학 -9
 10  청대철학 - 선산학 -10
 11  청대철학 - 선산학 -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대철학 - 선산학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청대철학 - 선산학
Ⅰ. 청나라 실학사상의 특징
1. 역동적인 세계관
중국 전통 철학자들의 세계관은 ‘하늘(天)’에 대한 그들의 관점에서 드러난다. 하늘에 대한 중국 전통 철학자들의 해석은 크게 네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하늘을 종교적 대상으로 여기는 ‘주재천(主宰天)’의 관점으로서 묵가(墨家)가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는 하늘을 도덕적 대상으로 여기는 관점으로서 공자와 맹자는 물론 동중서한유주돈이정이주희 등을 포함하는 유가(儒家)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묵가와 유가는 모두 하늘에 대해 의지적 대상으로 여기는 관점이다. 이철승, 「청나라의 실학사상」,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12. p.364
중국 전통 철학에서는 또한 이들과 달리 하늘을 무의지적 대상, 즉 물리적 대상으로 여기는 두 관점이 있는데, 첫째는 하늘의 운행 원리에 인간을 귀속시키는 자연주의적 관점인 도가(道家)가 여기에 해당하지만, 그들은 인간의 능동적 의지를 소홀하게 취급했다. 둘째는 또한 부류의 유가 학파에 속하는 순자왕충유우석왕정상과 왕부지를 비롯한 청나라 실학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관점인데, 그들은 하늘에 대해 의지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도덕적 근거도 될 수 없는 ‘자연’일 뿐이라고 했다. 특히 순자는 장자가 “자연에 가려 사람을 알지 못했다.”고 비판하면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참여[能參]’를 주장했다. 즉 그들은 인간을 도가와 달리 ‘자연(天)’에 대해 가공하고 변형할 수 있는 존재로 여김으로써, 인간의 역할 부분에서 도가와 다른 관점을 취했던 것이다. 이철승, 「청나라의 실학사상」,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12. p.364
청나라 실학자들은 성리학자들이 공리공담을 일삼음으로 인해 현실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고, 과학적인 세계관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들은 성리학자나 양명학자들이 ‘자연(天)’ 자체를 도덕적 대상으로 여기면서 인간 본성의 근원으로 설정한 점에 대해 비판하는 관점이다. 이철승, 「청나라의 실학사상」,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12. p.364~365
그들은 자연(天) 그 자체가 어떤 의지나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고 부단히 운동변화하며 운행할 뿐이지만, 인간은 이 자연을 인간의 필요에 의해 필요한대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다시 말하면 인간 역시 물리적인 자연에서 나왔을지라도, 인간은 이 자연 자체를 종교나 도덕의 대상으로 여겨서도 안 되지만 물리적인 자연의 법칙에 수동적으로 작용해서도 안 된다는 관점이다. 즉 그들은 초월적 존재나 자연에 맹목적으로 귀의하는 인간의 역할을 상정한 것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자연을 인식하고 해석하며 가공하는 인간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철승, 「청나라의 실학사상」,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12. p.365
그들은 ‘자연(天)’을 ‘기(氣)’의 ‘모음과 흩어짐’으로 설명하면서, ‘태극(太極)’과 ‘음양(陰陽)’의 관계에 대해서도 태극을 추상적인 리(理)로 설정하여 구체적 현상인 ‘기(음양)’를 낳는다는 성리학자들의 이원론적인 본체론에 대해 비판하는 관점이다. 그들은 태극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음양의 대립 통일의 범주로 설정한다. 그들은 항상 운동하는 음과 양이 합하면 태극이 되고, 나누면 음과 양으로 분리된다는 논리로, 태극을 초월적인 존재가 아니라 음양과 같은 범주로 설정했다. 즉 그들은 태극을 물질 운동 속에 존재하는 대립 통일의 법칙으로 해석하고, 동정(動靜)을 음양(陰陽)의 동정(動靜)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철승, 「청나라의 실학사상」, 『동양사상의 이해』,경인문화사. 2012. p.365
그들은 이치(理)가 음양의 동정(動靜)을 초월하여 고고하게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음양의 동정(動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하고, 이 “조리가 이루어지면 천하의 이치가 이로부터 비롯된다”고 하였다. 그들은 자연을 인간의 의지에 관계없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스스로 운동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철승, 「청나라의 실학사상」, 『동양사상의 이해』,경인문화사. 2012. p.365
또한 그들은 “태허(太虛)는 곧 기(氣)이고, 기(氣)는 운동하는 것”이라고 하여, 항상 운동하는 물질적 존재인 ‘기(氣)’를 세계의 근거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천하에는 오직 구체적인 기(器)로 충만 되어 있고, 도(道)란 이 기(器)의 조리(道)이기에 구체적인 사물(器)은 이 조리(道)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함으로써, 형이상학적 불변의 도를 상정하고 이 형이상학적 불변의 보편 존재에 의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활동하는 다양한 개체들의 자유가 제한되는 성리학자들의 세계관과 다른 관점을 드러내었다. 이철승, 「청나라의 실학사상」, 『동양사상의 이해』,경인문화사. 2012. p.365~366
Ⅱ.왕부지의 천인합일天人合一
- 왕부지의 천도론天道論 (자연법칙)
1.天(천)의 함의
왕부지는 유가의 궁극 이상인 ‘천인합일(天人合一)’을 실현하는 것이야말로 유가의 본령을 회복하는 것이라 믿었으며 그것을 성인과 보통 사람 모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김진근, 『기철학의 집대성 왕부지의 주역철학』,예문서원, 1996. p.157
왕부지는, 공·맹 이후 진한 시기를 거치면서 유학의 종지宗旨가 분명하지 않게 되었는데, 주돈이周敦가 『태극도설太極圖說』을 발표함으로써 ‘천인합일’의 근원을 구명하였다고 본다. 즉 주돈이가 천명의 유행으로 말미암아 사람이 생겨나고 그 신화神化의 정수精粹가 인간의 ‘성性’이며, 일용 사물의 당연지리當然之理가 모두 ‘음·양’의 변화 속에 어우러지는 자연의 질서여서 결코 거스를 수 없는 것으로 부각시켰다는 것이다. 그는 바로 그 자리에 학문과 수양으로서의 유학이 선다고 말한다. 이는 송대에 들어와 유가가 천도天道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하면서 천도로부터 유학의 종지인 ‘인·의’ 도덕을 연역해 냄을 적시한다. 주돈이의 『태극도설』이 더욱 선명하게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면모를 드러내는 것이라는 말이기도 하다. 김진근, 『기철학의 집대성 왕부지의 주역철학』,예문서원, 1996. p.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