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

 1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1
 2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2
 3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3
 4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4
 5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5
 6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6
 7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7
 8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8
 9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9
 10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작가론] 16세기 내면적 지식인과 퇴계 이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16세기 사림파의 등장과 문예의식
3. 호학적(好學的) 삶의 자세와 실천
4. 16세기 안동의 문학적 분위기와 국문시가
5. 시세계
6. 맺음말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황(李滉, 호 : 退溪, 자 : 景浩, 1501~1570)은 우리나라의 철학자를 거론할 때 제일 먼저 떠올리는 대표적인 인물이지만 16세기 문학사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시인이자 문학이론가이기도 하다. 특히 그가 살았던 16세기는 사회, 정치사적으로 보면, 성리학적 사유를 지닌 사림(士林)이 지방과 중앙에 형성되면서 지식인의 존재와 학문의 가치가 새롭게 정립된 시기였다. 이 때 사람들은 중앙 정계에서 훈구세력의 부도덕성을 공격하면서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열망에 차 있었다. 또한 그들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받아들인 이상 과거(科擧)를 통해 관료로 진출하는 것이 유일한 삶의 진로였으며, 입신양명(立身揚名)을 이뤄 가문의 이름을 빛내는 것인 인생의 최대 목표이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사림은 개혁적 성향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정계에 자리를 잡자마자 붕당 정치의 구조 속에서 쉽게 부패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황은 현실에 참여해야 하는 유자(儒者)이면서 부패한 현실정치와는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도덕주의적 성향을 지닌 인물이였다. 우리는 이황의 생애와 시를 통해 그가 후학에게 일깨워 주려고 했던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국역 퇴계시』1 ․ 2, 한국정신문화원, 1990
민족문학사연구소,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출판, 1998
안승기, 「퇴계의 시세계 연구」, 『사림어문학연구』제12집, 사림어문학회, 1999
林滎澤,「16세기 士林派의 文學意識」,『韓國文學史의 視角』, 창작과 비평사, 198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