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

 1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
 2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2
 3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3
 4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4
 5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5
 6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6
 7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7
 8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8
 9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9
 10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0
 11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1
 12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2
 13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3
 14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4
 15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5
 16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6
 17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7
 18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8
 19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전쟁]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학살사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대량학살의 개념

한국전쟁에서의 학살-학살 주체별 분류

사례 1 - 노근리 학살

사례2- 보도연맹

사례3- 인민군에 의한 학살

기타 사례- 거창, 마산, 고양의 학살사건

민간인학살의 진상규명운동 과정

황정순 할머니

조직적 은폐, 강요된 망각



본문내용
2005년 10월 31일 연합뉴스에 한국전쟁을 전후해 700∼800여건의 민간인 학살사건이 발생해 20만여 명의 민간인이 학살당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31일 시민단체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에 따르면 1945∼1953년 동안 남한에서 일어난 민간인 학살에 대해 조사한 결과 모두 700∼800여건이 발생해 민간인 20만∼25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학살규명위는 지난 5년 간 전국에 걸쳐 민간인 학살사건의 생존자와 유족을 상대로 조사를 벌였으며 이 같은 조사결과를 모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실태보고서'를 11월 11일 발간할 예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남한에서 자행된 민간인 학살사건 가운데는 미군에 의한 학살 150건과 인민군에 의한 학살 90건 등이 포함돼 있으며 1천명 이상의 희생자를 낸 사건도 30여건에 달한다. 특히 경주 코발트 광산에서 3천500여명이 학살당했으며 강화도지역에서도 모두 1천여 명 이상이 학살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살규명위 이춘열 사무처장은 "현재 막바지 확인작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번 보고서는 단지 시작일 뿐"이라며 "제대로 된 조사를 벌이면 학살자 숫자는 100만 명 이상으로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사무처장은 "전쟁 당시 민간인의 희생을 제대로 밝히는 것은 인권과 평화의 초석을 다지는 일"이라며 "11월 출범할 과거사위원회 등 국가차원에서 제대로 된 진상조사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전쟁 당시의 학살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보면 전쟁의 성격과 그 배경을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고, 궁극적으로 학살이 왜 발생했는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학살은 공식 전투 이면에서의 전투이며, ‘또 다른 전쟁’이다. 전쟁으로 인한 살상의 규모나 비극성은 사실 공식 전투보다 이 또 하나의 전쟁에서 더 심각한 경우가 많으며 한국전쟁도 예외는 아니었다.
참고문헌
김동춘, 《전쟁과 사회》, 돌베게, 2000
박명림, 《한국 1950: 전쟁과 평화》, 나남출판사, 2002
김현아, 《전쟁과 여성》, 여름언덕, 2004
강정구, , 『현장에서 미래를』 58,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