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1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1
 2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2
 3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3
 4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4
 5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5
 6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6
 7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7
 8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8
 9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9
 10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10
 11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 p1

Ⅱ 어부사시사
고산 윤선도 소개 ........................... p1
어부가의 전승과정 ................................. p2
어부사시사의 구조 ............................... p3
의 내용 .................................. p3

Ⅲ 논의 사항
의 연구관점 .......................... p5
흥(興).................................................. p6
여음구.................................................. p8

Ⅳ 결론 .................................................... p9
본문내용
Ⅰ서론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자연과 벗하며 즐기는 생활을 동경해왔다. 그래서인지 각종 어부가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집필되고 노래되어왔다. 어부가의 오랜 전승은 담고 있는 세계가 향유계층인 사대부들에게 부합되었기 때문이고, 그것은 어부가의 세계가 ‘물외한적’이었기 때문이다. ‘물외한적’은 고려말 이후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하나의 정신세계를 구축했다. ‘물외한적’이 동경의 대상으로만 남든, 아니면 실제로 강호 생활에서 발견되든 간에 어부가는 시대를 달리하며 전승되고 시대에 따라 개작되었다. 고산 윤선도의 는 특히 가장 독자적인 우리의 어부가라고 할 수 있다.
Ⅱ. 어부사시사
1. 고산 윤선도(尹善道)

1587(선조 20)~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시조 작가.
본관은 해남(海南).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을 지낸 유심(唯深)의 아들이며, 강원도관찰사를 지낸 유기(唯幾)의 양자다. 유기는 유심의 동생으로 큰댁에 입양되었고, 선도는 유기에게 입양되어 가계를 이었다.
당시 금서(禁書)였던 『소학 小學』을 보고 감명을 받아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았다. 18세에 진사초시에 합격하고, 20세에 승보시(陞補試)에 1등 했으며 향시와 진사시에 연이어 합격하였다.
1616년(광해군 8) 성균관 유생으로서 이이첨(李爾瞻)․박승종(朴承宗)․유희분(柳希奮) 등 당시 집권 세력의 죄상을 격렬하게 규탄하는 『병진소 丙辰疏』를 올렸다. 이로 인해 이이첨 일파의 모함을 받아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견회요 遣懷謠』 5수와 『우후요 雨後謠』 1수 등 시조 6수를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