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사시사 - 윤선도 -

 1  어부사시사 - 윤선도 --1
 2  어부사시사 - 윤선도 --2
 3  어부사시사 - 윤선도 --3
 4  어부사시사 - 윤선도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어부사시사 - 윤선도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어부사시사 - 윤선도 -
1. 내용 및 작가
윤선도는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호는 고산이다. 선조, 현종 때의 문신이며 효종의 스승이다. 정철, 박인로와 더불어 조선 시대 대표적 시가인이다. 광해군 때 이이첨의 횡포를 탄핵하는 등 강직한 성격으로 여러 차례의 유배 생활을 하였다. 그의 생애를 보면 이러한 격변기를 가장 격렬하게 몸으로 부딪쳤던 사람이라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20여년에 걸친 유배생활과 19년에 걸친 은둔 생활에서 알 수 있듯이 윤선도의 삶은 정치권에서 활동하던 시간보다는 유배와 은둔으로 보낸 시간이 더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고달픈 그의 삶과는 반대로 이러한 은둔생활과 유배생활이 바로 그를 조선시대 최고의 시인으로 만들어주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당쟁의 와중에서 누렸던 길지 않지만 격렬했던 그의 정치생활과는 달리 유배와 은둔이 연속되는 삶 속에서 자연과 함께 하며 자신의 정서를 시조로써 표출하였던 것이다. 문집으로 가 있으며 대표적인 시조로 가 전한다. 는 윤선도가 수차례의 귀양살이를 한 후 강촌에서 여생을 마칠 때까지 풍류 생활을 즐기며 지은 작품이다. 기존의 를 개작하는데 이는 기존의 가 계절의 순환에 따른 어부의 즐거움을 체계적으로 형상화하지 못했다고 보아 ‘그 뜻을 덧붙이고자’ 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기존 의 전통 위에 보길도에서의 체험을 가미하여 를 지었다. 는 강호한정가로서 춘, 하, 추, 동 사계절로 나누어 구성했고 각 계절마다 10수를 만들어 총 40수의 긴 연시조이다. 평시조에 없는 후렴구가 반복된 것이 이 시조의 특징이다. 춘, 하, 추, 동 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춘은 고기잡이를 떠나는 광경, 하는 소박한 어옹의 생활, 추는 속세를 떠나 자연과 동화된 생활, 동은 은유를 써서 근심의 마음과 함께 현실과 완전히 구분되는 자연이 아닌 그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춘하추동에 따라 각 10수씩, 총 40수로 되어 있고 작품마다 여음(지국총 지국총 ... ...)이 삽입되어 있는데 이 여음은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질서 있게 보여준다. 배를 띄우고 닻은 들고 돛을 달아놓고 노를 저으며 노래를 읊는다 등으로 여음이 짜여 있다. 윤선도는 가어옹의 입장에서 를 재창작하였기에 관찰자 혹은 강호 한미를 누리는 사람으로서 자연을 노래하고 있다. 그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자연에서 추상된 관념의 내포, 즉 의미를 찾은 탐구자적 관심도 드러낸다. 이 작품에서 표방하는 어부는 고기잡이를 생존의 수단으로 삼는 진짜 어부가 아니라 강호자연을 즐기는 사대부계층을 의미한다.
2. 주제
강호의 한정.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여유와 흥취를 노래함.
3. 기존 연구
1) 강호가도의 변화
자연을 소재로 한 시조는 조선 전, 중기 시대의 시가의 큰 줄기이다. 강호시조의 초기작으로 평가되는 15세기 맹사성의 는 근심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태평성대를 누리는 것을 노래하며 자연을 노래하되 그것은 임군은 임을 노래한다. 자연의 계절과는 동떨어진 풍요로운 생활을 노래함으로써 사대부의 태평시대에 대한 자부심을 말하는 것이 특징이다. 16세기의 이현보 는 관직의 구속과 정치현실의 어려움 속에서 귀향하여 자연과 어울린 기쁨을 노래한다. 어부생활을 통한 전원생활에 대한 시인의 열렬한 추구와 취향을 노래하며 정치현실에 대한 미련은 보이지 않는다. 17세기 윤선도의 는 어떠한가? 여기서는 사물을 바라보는 화자의 시선이 좀 특별한 데가 있다. ‘앞 여울, 머흔 구름’ 등은 강호를 세속과 차단시켜 주는 매개물들이다. 이들 차단물들은 임금의 총명을 가리는 부정적 인물의 상징으로 화자의 연군 의식을 환기시키는 존재로 그려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오히려 긍정적 인식의 대상이다. 임금의 총명을 가리는 존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한 현실을 막아주는 존재로 이해함으로써 차단물을 굳이 꺼려하지 않는 화자의 인식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상원, , 보고사, 2004, p.226.
그는 기존의 관습을 답습하지 않고 자연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토대로 자기만의 독창적인 자연을 새롭게 발견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가 숱한 역경과 시련 속에서도 굴하지 않는 의지자임을 말한다.
2) 정치적 시련 속에 창작된 작품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