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성향 개념 정리

 1  감사성향 개념 정리-1
 2  감사성향 개념 정리-2
 3  감사성향 개념 정리-3
 4  감사성향 개념 정리-4
 5  감사성향 개념 정리-5
 6  감사성향 개념 정리-6
 7  감사성향 개념 정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감사성향 개념 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감사성향

1. 감사성향의 정의
2. 감사의 과정
3. 감사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
4. 감사의 효과
5. 감사의 반대개념
본문내용
1. 감사의 정의
문화와 시간을 초월하여 감사(gratitude)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미덕으로 간주되어 왔다(Emmons & McCullough, 2003, p. 377). 고대 철학자와 작가, 그리고 신학자들을 비롯하여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불교 및 힌두교를 포함한 동, 서양의 주요 종교에서도 개인이 갖춰야 할 핵심 덕목으로 감사하는 삶의 태도를 강조해 왔다. 감사를 뜻하는 영어단어 ‘gratitude2)’는 호의(kindness)를 뜻하는 라틴어 ‘gratia’와 기쁘게 함(pleasing)을 뜻하는 라틴어 ‘gratus’에서 유래했다. 이 두 라틴어 어원에서 나온 파생어인 감사(gratitude)는 친절(kindness), 관대함(generousness), 선물(gifts), 주기와 받기의 아름다움(the beauty of giving and receiving), 아무 대가 없이 무엇인가를 얻는 것(getting something for nothing) 등과 의미가 연결되어 있다(Emmons, 2007, p. 21). 즉, 감사는 타인의 친절이나 도움을 경험했을 때 느끼는 고마워하는 감정으로서, 사람들은 이러한 행복을 다른 사람과 나누고 싶어
한다. Peterson과 Seligman(2004, p. 554)은 “타인이나 사물에 의해 얻게 된 이익, 혹은 자연에 의한 평화로운 축복의 순간 등을 선물로 받아들이며 고마움(thankfulness)과 기쁨(joy)으로 반응하는 마음상태”로 감사를 정의하였다.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감사를 정서와 관련시켜 개념화하고 있지만, 그 정의에는 이견이 있다. 고마움을 느끼는 과정이나 고마움을 느낌으로써 수반되는 결과, 그리고 정서의 지속성과 안정성의 측면에서 각각의 정의마다 강조하는 바가 다르기에 감사를 3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한다.
첫 번째는 공감적 정서(empathic emotion)로의 감사이다. Lazarus와 Lazarus(1994, pp. 118-119)는 감사를 “도움을 받은 사람이 자신의 삶에서 호의적인 상황을 만났다는 것을 인식하고 도움을 제공한 사람이 이를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을 공감할 때 나타나는 정서”라고 보았다. Adler와 Fagley(2005, pp. 83-84)도 감사는 호의나 은혜를 베푼 사람의 이타적 노력을 알아차리고, 그 사람의 행위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인정하도록 이끌기 때문에 공감적인 특징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둘째, 도덕적 감정(moral affect)으로의 감사이다. McCullough 등(2001)은 감사의 경험이나 표현 그 자체가 도덕적이어서가 아니라 공감(empathy), 동정(sympathy), 죄책감(guilty), 수치심(shame)과 마찬가지로 감사는 도덕적 행동, 즉 친사회적 행동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도덕적 감정’으로 감사를 개념화하였다. 도덕적 감정으로서의 감사는 구체적으로 3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① 감사는 도덕적 척도(moral barometer)로서 작용한다. 감사는 타인이 자신에게 베푼 호의를 깨닫고 이러한 행동으로 인하여 자신에게 좋은 결과가 발생했음을 인식할 때 느끼기 때문이다. ② 감사는 도덕적 동기(moral motive)로 작용한다. 감사를 느끼는 사람은 도움 제공자뿐만 아니라 그 외의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고 도와주는 이타적 행동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③ 감사는 도덕적 강화물(moral reinforcer)로 작용한다. 도움수혜자로부터 도움을 되받거나 감사 인사를 받은 도움제공자는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즉, 감사표현은 친절을 베풀었던 사람이 미래에 다른 형태의 친사회적 행동을 반복하도록 강화시킨다. 도덕적 감정인 감사의 3가지 기능은 더욱 강력한 사회적 결속이 이루어지게 한다(McCullough, Kilpatrick, Emmons, & Larson, 2001, pp. 252-253). 셋째, 비교적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정서특징으로서 감사성향(grateful
disposition or dispositional gratitude)이 있다. McCullough 등(2002, p.112)은 “자신에게 주어진 긍정적인 경험과 결과들에서 다른 행위자가 베푼 선의를 알아차리고 긍정적인 감정으로 반응하는 일반화된 경향성”으로 감사성향을 정의하였다. 이와 대조적인 개념으로 ‘일시적인 감정으로서의 감사(gratitude as a mood)’가 있다.
하고 싶은 말
성인학습 및 상담론이라는 수업을 들으면서 성인들의 감사성향은 무엇이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감사성향을 목차로 분류하여 정리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