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

 1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1
 2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2
 3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3
 4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4
 5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5
 6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6
 7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7
 8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8
 9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9
 10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비교문학] 주몽신화의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시기별 연구사의 흐름
1) 1950년대 연구
2) 1960년대 연구
3) 1970년대 연구
3. 동명왕신화와 주몽신화와의 관계
1) 동일한 신화로 보는 견해
2) 별개의 신화로 보는 견해
3) 별개의 신화로 보는 견해 - 민속학적 연구방법
4. 맺음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구려의 주몽 신화는 단군 신화와 함께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신화이다. 단군 신화가 우리민족의 기원에 관한 설명을 해준다는 데에 일단의 의미를 지닌다면, 주몽 신화는 한국사에서 가장 당차고 생동감 넘쳤던 고구려인에 대한 우리의 막연한 자부심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첫 단초가 된다. 서양에서 들여온 연구방법론을 대입한 주몽 신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계속되는 주몽 신화 연구에 힘이 실리는 것은 고구려에 대한 우리네의 긍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도 하겠다.
주몽 신화는 『광개토대왕릉비문』에 주요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던 것을 볼 때 일반 백성들까지 널리 알고 있었던 것 같다. 더구나 고구려 초기부터 행한 제천행사인 동맹(東盟)에서 주몽을 고등신(高登神)으로, 유화부인을 부여신(扶餘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는 것은 고구려인들에게 주몽 신화가 종교 경전과도 같이 이해되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주몽 신화는 고구려인들의 실제로 한 일들, 주위에서 실제로 일어난 사건들에 대해 그들이 부여하는 중요성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본 발표문은 그간 이루어진 주몽 신화의 시대별 연구와, 쟁점이 되고 있는 ‘동명왕 신화와 주몽 신화의 관계’를 큰 틀 속에서 나름대로 정리하여 보았다. 그리고 그간 이루어진 연구실적을 토대로 주몽 신화를 역사의 일부로 보고 특수성과 고유성을 강조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세계 보편성을 지닌 신화 자체의 특성에 입각하여 이해해야 할 것인가를 조원의 최대 관심사로 삼았다. 이는 주몽 신화 연구의 한계와 전망을 다룬 결말부에서 함께 제시될 것이다.
참고문헌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 연구』창간호, 1994
김열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1971
김용만, 『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8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참조
박두포, 「민족영웅 동명왕설화고」,『국문학연구』,효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1968
서대석, 『한국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80
이병도, 『한국사』, 을유문화사, 1959
이복규,「부여건국시조신화고」,『인문과학연구』,국제대학 인문과학연구소, 1982
______, 『부여, 고구려 건국신화 연구』, 집문당,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