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판소리

 1  [국문학개론] 판소리-1
 2  [국문학개론] 판소리-2
 3  [국문학개론] 판소리-3
 4  [국문학개론] 판소리-4
 5  [국문학개론] 판소리-5
 6  [국문학개론] 판소리-6
 7  [국문학개론] 판소리-7
 8  [국문학개론] 판소리-8
 9  [국문학개론] 판소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개론] 판소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판소리

1. 판소리란 무엇인가.
2. 판소리의 역사적 전개
3. 판소리의 구성요소
4. 판소리의 음악적 구성요소
5. 판소리 이중구조
6. 판소리의 다섯마당

Ⅱ판소리 유파
1.판소리의 유파
2.유파별 음악적 기법.

Ⅲ 춘향가
1. 춘향가란?
2. 춘향가의 구성.
3. 춘향가의 장르적 교섭 양상.

Ⅳ 후기
본문내용
1. 판소리란 무엇인가.
판소리는 한명의 창자(唱者)가 부채를 들고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추어 긴 줄거리를 갖춘 이야기를 창(소리․노래)과 아니리(말)를 섞어가며 연행하되, 너름새(발림․몸짓)를 곁들여 표현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연행 예술이다. 판소리라는 명칭은 판과 소리가 결합된 말로서 판소리를 가리키는데 쓰인 용어는 소리, 광대소리, 타령 잡가, 극가, 창악 창극 창곡조 우희 등으로 일컬어 오다가 현재에는 판소리라는 명칭이 굳어졌다. 판은 다수가 모여 어떤일을 벌리는 곳이나 정황, 행위 자체를 뜻하고 소리는 음악을 뜻한다. 판소리는 음악으로서는 민속악의 하나이고, 문학으로서도 민속 문학 또는 구비문학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음악이면서도 문학이라 말할 수 있다.

2. 판소리의 역사적 전개.
▲형성발전기(17c): 판소리는 대개 17세기 후반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부르는 사람도 민중이고 청중도 민중이었다. 18세기에 들어와 서서히 양반 지식인층에까지 침투하게 되어 향유층을 확대 또한 지역적으로도 발생지인 호남 호서 지역을 넘어 서울에까지 확대되었다. 1754년 만화 유진한이 호남지방을 유람하고 한시로 남긴 만화본춘향가에서 볼 때 본래 서민층이 즐기던 판소리가 양반층의 주목을 받아 한시 작품의 소재가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의 판소리는 사설이나 음악에서 모두 세련미와 예술성을 확보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활동한 명창으로는 하한담 최선달 우춘대 등이 있다.

▲전성기(19c) :판소리 전성기는 수많은 명창들이 배출, 서민뿐만 아니라 양반 사대부 계층으로부터 크게 환영을 받고 그들의 사회적 위상도 크게 향상된 시기이다. 음악적으로는 장단 악조 더늠 등의 특성 있는 개발과 완숙미로 수준을 한층 높였고 판소리 레퍼토리도 12마당으로 확충되었다.19c후반 신재효는 판소리 광대들을 적극 후원하고 여성 명창도 육성하며 종래의 12마당을 6마당으로 정리 개작하였다.
참고문헌
- 김진영 김현주 이기형 김동건 편저
- 정충권 편저
- 인권환 편저
- 최동현, 유영대 편저
- 판소리학회 엮음
-네이버 판소리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