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

 1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
 2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2
 3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3
 4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4
 5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5
 6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6
 7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7
 8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8
 9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9
 10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0
 11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1
 12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2
 13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3
 14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4
 15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5
 16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6
 17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기녀들의 시조와 가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조선 후기 사회적 배경

2. 조선 중, 후기 기녀문학

3. 근대의 기생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에서 기생이 발생한 기원은 정확히 언제라고 못 박기는 힘들지만, 문헌상의 기생의 존재는 김유신과 천관녀의 일화를 보면 최소한 삼국시대까지 올려 잡을 수 있다. 또한 고구려에 유녀(遊女)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백제에도 ‘꽃쟁취’라는 유녀가 있었다는 전설이 있다. 신라는 음악교육기관인 ‘음성서’가 진흥왕대에 설치되어 예인(藝人)을 길러낸 흔적이 있다. 기생의 역사를 가장 잘 정리하여 놓은 것의 하나인 일제 시대 국학자인 이능화가 쓴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에는 신라의 원화설과 무녀, 전쟁포로 기원설 등 이에 대해 자세히 기술해 놓았다.
조선 후기에는 초기 기생제도의 설치 목적 조선해어화사에서는 조선의 기생제도의 설치 목적을 4가지로 설명한다. 첫째 잔치에 흥을 돕기 위해서이고, 둘째 의녀나 침비 같은 기능직을 맡기기 위해서이며, 셋째, 변방의 군인들을 위로하기 위해서이고, 넷째, 지방의 관청에서 사신들을 접대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과는 다르게 위안부로서의 의미가 강해지자 기 생을 창(娼)과 기(妓)로 구분하여 인식을 달리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그러나 기생은 국용이 원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신하의 부모의 헌수(獻壽, 환갑잔치 따위에서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상을 올림)에 한정하여 빌려주기도 하였다. 점차 이를 빙자하여 사사로운 연회에 기생을 불러 쓰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기생교육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이에 세조는 사헌부, 형조에 진상을 요청토록 하고, 성종 때에 와서는 부모 헌수 때 기악을 빌려주는 것을 재상에 한정하게 된다. 하지만 관기제도의 법제적인 면은 점차 와해되어, 근대로 올수록 양반관리가 풍류, 향락의 대상으로서 사용하는 일이 많아졌고, 기생을 빼돌려 첩으로 삼는 등의 가기화(家妓化)현상까지 빈번해졌다.
개항이후 일본인이 들어오고, 일본인 창기들이 뒤따라 들어오면서 조선에는 매춘업이 성행하게 되었다. 존재는 했지만 금지되어 있던 매춘은 유곽의 등장으로 공인받게 되었다. 이와 함께 기생과 창기의 개념이 다소 모호해졌으며 기생이라는 용어가 점차 유흥업계에 종사하는 여성을 범박하게 지칭하는 용어로 의미가 확장되어 사용되게 되었다.
참고문헌
- 단행본 -
『조선해어화사』, 이능화 지음 이재곤 옮김, 동문선, 1992.
『기생 시조와 한시』, 황중기, 푸른사상, 2004.
『조선후기 가창문학의 존재양상』, 김은희 저, 보고사, 2005.
『말하는 꽃, 기생』, 가와무라 미나토 지음 유재순 옮김, 소담, 2002.
『조선시대 조선사람들』, 이영화 지음, 가람기획, 1998.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이영미, 황금가지, 2002
『사회사로 보는 우리 역사의 7가지 풍경』,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사, 1999


- 논문 -
조선 후기 유흥공간과 일탈의 문학 - 기방의 구성과 성격을 중심으로, 박애경
시조에 나타난 기녀들의 존재의식 탐구, 이화형
19세기 일급 예기의 삶과 섹슈얼리티 - 의녀 옥소선을 중심으로, 신경숙
기생 혹은 근대적 주체, 김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