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

 1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1
 2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2
 3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3
 4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4
 5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5
 6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6
 7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7
 8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8
 9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9
 10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10
 11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11
 12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12
 13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에서 홈스쿨링의 활용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평생학습사회에서의 홈스쿨링의 모습

Ⅴ. 나가며
본문내용
Ⅰ. 문제 제기

평생학습사회가 구현하고자 하는 학습사회의 모습은 인간 삶의 전반에 걸쳐서 학습 기회가 종적·횡적으로 확대되는 형태이다. 학습을 하는 연령이 확장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세대나 장소, 시간 등의 학습의 한계가 없어지는 것을 추구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시각으로 현재의 학습현장의 모습을 바라보면 기반 시설이나 교육 제공 연령 등이 턱없이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때때로 평생학습사회의 추진에 역기능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습의 기회가 확장되기 위한 대안으로 ‘가정(home)’이라는 공간을 주목하게 되었다. 가정은 가장 기본적인 사회적 단위이며, 시간적·공간적 제한이 없는 장소이다. 또한 비단 아동기 학생뿐만 아니라, 온 가족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이다.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은 궁극적으로는 ‘삶의 일부가 학습’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경험은 성인이 되어서도 삶 속에서 학습의 가치를 찾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평생학습사회에서 평생학습의 좋은 장(場)으로서 가정을 주목하였다.
홈스쿨링을 하게 된 구체적인 동기는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학부모나 학생의 학교에 대한 깊은 불신감이나 부정적인 인식에서부터 출발한다. 학교에서의 역기능적측면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공간으로 가정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홈스쿨링은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도록 해주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 특히 단순히 학교교육에 대한 반발로 나타나는 홈스쿨링은 역기능적인 측면이 있어서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들에 주목하여 평생학습사회에 맞는 홈스쿨링의 모습을 찾아보고, 그에 따른 대안적인 방안들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Griffith, Mary.(1998). The Unschooling Handbook: How to Use the Whole World As Your Child's Classroom. Prima Communications, Inc. 최승희 역(2001). 홈스쿨링 우리는 이렇게 하고 있어요. 서울: 미래의창.
John Dewey(1959).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Chicago: The Univ. of Chicago Press. 박철홍 역(2002).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서울: 문음사.
Ivan Illich(1971). Deschooling Society. New York: Harper&Row. 심성보 역(2004). 학교 없는 사회. 서울: 도서출판 미토.
Toffler, Alvin 외. 대경출판사 편집부 역(1985). 제4의 새 물결. 서울: 대경출판사.
Toffler, Alvin(1970). Future Shock. London: Pan Books. 김욱 역(1990). 미래의 충격. 서울: 동아문예: 대일서관.
김민환 · 권동택(2000). 미국 홈스쿨링의 성장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 10(1), 257-280.
김신일(2004).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김재웅(1999). 홈스쿨(Home School)의 교육적·정치적 의미.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37(4), 255-274.
김종우, 유은희(2003). 우리집 아이들은 학교에 안 가요. 서울: 대화출판사.
민들레 편집실(2000). 새로운 길을 여는 부모들의 이야기 : 홈스쿨링, 오래된 미래. 서울: 민들레
서덕희(2002). 가정학교(homeschooling) 실천의 교육적 의미 - 부모들의 삶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5(1), 119-152.
서덕희(2006). “교실붕괴” 이후 신자유주의 교육담론의 형성과 그 저항 - 홈스쿨링에 관한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 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