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

 1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
 2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2
 3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3
 4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4
 5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5
 6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6
 7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7
 8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8
 9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9
 10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0
 11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1
 12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2
 13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3
 14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4
 15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5
 16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6
 17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7
 18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8
 19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19
 20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안학교의 이해와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 세계를 통틀어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교육에 관심이 많은 민족은 드물 것이다. 교육정책은 십년도 채 안 되어 끊임없이 바뀌는가 하면, 택시기사 아저씨까지도 교육에 대해서 바른 소리를 한마디씩 한다.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서는 기꺼이 한국에 혼자 남아 외국으로 간 아이들의 경제적 뒷바라지를 하는 기러기 엄마, 아빠들도 많다.
그러나, 우리의 교육에 대한 관심만큼 한국의 학교가 그 맡겨진 진정한 책임과 역할을 다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문제이다. 특히, 요즈음에 들어 끊임없이 바뀌는 교육정책과 입시위주의 학교 수업, 거기에 회의를 느낀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언어적, 문화적 장벽을 감안한 채라도 외국으로 나가는 경향이 많다. 이는 분명 우리나라 학교 현실과 교육제도에 문제가 있다는 증거이다.
통계적으로 무려 31.2%나 되는 학생들이 학교는 꼭 다닐 필요가 없다고 대답했다. 이것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학교는 달라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학교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한 문화권안의 사회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살 수 있도록 교육 해야 하는 기능이 있다. 물론 학교는 학생들에게 지식을 가르치고, 인간으로서 필요한 기본적인 상식을 갖게 하며, 특히 중, 고등학교 때에는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입시를 위한 내용들을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사람들이 한 사회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살 수 있도록 교육해야하는 기능’을 간과하고 있다. 더욱이,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은 세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지만, 그 어느 누구도 같은 사람이 없으며 모두가 제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무시한 채, 같은 나이의 학생들에게 같은 옷을 입히고, 같은 내용과 진도의 수업을 같은 목적을 갖고 가르치고 있다. 물론 무언가를 배운다는 것은 아프고 힘든 과정이기에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기가 어려우며, 그래서 이렇듯 강압적인 수업방식이 생겨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각각의 사람들이 타고 태어난 재능과 자질이 다르다는 것을 모두 묻어둔 채 같은 목표- 특히, 좋은 대학에 입학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같은 내용을 공부한 다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만큼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숨겨진 재능을 평생 감추고 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는 대학입시를 위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에서 그 학생이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자신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즉, 특성화된 교육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는 학생들이 진정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해 볼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대학가는 문제 이전에, 진정 한 인간으로서 그 자신의 타고 태어난 달란트를 펼치려는 본능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육정책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 모두가 달라져야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우리나라 교육현실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몇 가지 대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는 현재 학교 교육의 문제점 중에서도 크게 획일성과 경직성을 꼽았다. 공교육의 위기, 교사와 학생사이의 의사소통의 부재, 정부의 잘못된 교육개혁정책 등이 학교 교육을 획일화시키며 경직시키는 것이다. 공립학교와 사립학교가 있더라도 그 차이가 별반 없고 외국어나 과학 같은 특수한 목적을 가진 학교가 존재해도 모든 목표는 대학입시 하나에 초점이 맞추어진 실정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제안한 교육개혁이, 공립학교는 이상적학교, 영재학교, 공립대안 중학교, 일부 특목고로 나누며 사립학교는 자립형사립고, 대안학교, 특정화 고교 같은 자율학교와 일부 특목고로 나누자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 또한 학생들 사이에서 위화감을 조성하고 획일화를 가져올 우려가 있어, 무엇보다 이러한 교육개혁은 정부보다 민간차원에서 해야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민간차원에서 제시된 대안책으로는 홈스쿨링, 대안학교, 민간위탁경영 같은 제도들이 있다. 이 중 우리가 중점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하는 것은 대안학교이다. 대안학교란 공교육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만들어진- 종래의 학교교육과는 다른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로서 영국의 교육가 A.S.닐이 1921년 설립한 서머힐(Summer hill), I.일리치가 제창한 탈학교교육(deschooling) 등이 있다. 이는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일어난 자유학교(free school)개방학교(open school) 등으로 불리는 학교교육개선의 영위(營爲)를 가리킨다. 그 특징은 ① 작은 학급에 의한 인간성 회복 ② 아동학생의 수업계획에의 적극적인 참여 ③ 능력주의경쟁주의 원리의 약화 ④ 시민의 광범위한 지원 등으로, 의무교육을 중심으로 한 학교교육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일리치의 탈학교교육론과는 다르다.
이제까지 우리는 우리나라 학교의 문제점과 그 대안책으로 대두되고 있는 대안학교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대안학교에서 본받을 점은 무엇인지 또 버려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또 학교의 가장 이상적인 모습은 어떤 모습인지에 대해 논의해 보도록 한다.
국내의 대안학교
이런 대안학교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우선 간디학교나 전남 담양 한빛학교 등에서는 설립자의 교육철학에 따라 체험위주의 현장교육,공동체 가치 중시 교육 등이 실험적으로 이뤄지는 유형.또하나는 전남 영광 영산성지학교나 충북 청원의 양업고등학교 등으로 대상이 주로 고교를 중퇴한 일반학교 부적응 학생들이다.
▶ 간디 학교
가장 잘 알려진 우리나라의 대안학교는 간디학교이다. 교육청의 폐교령 때문에 이 학교의 학생들이 학교를 살려달라며 데모를 한 일을 기억하는 이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이제는 대학 입시 때 대안학교 학생 특별 전형도 생겼고 어느 정도 학교라는 인정을 받게 되었다.
간디학교의 기초는 가르치는 이와 배우는 이가 서로 사랑하고 신뢰하는 사랑의 관계와 또한 가르침과 배움이 신명 속에 이루어지는 자발성이다. 이러한 사랑과 자발성을 바탕으로 몸과 마음과 인격을 골고루 성장시키고 (전인적 인간), 다른 이들과 협동하여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정신과 방법을 체득해 가며(공동체적 인간), 우리가 결국 자연의 아들딸이라는 것을 깨닫고 자연과 하나가 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기르는 모습(자연과 조 화된 인간)이 진정 구현되는 새로운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자 연 학교이다. 교과목은 크게 지식 교육, 의식주 해결 교육, 감성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식주 해결 교육에는 음식 만들기, 집짓기, 텃밭 가꾸기, 옷 만들기 등이 있으며 지식 교육에는 국어, 영어, 수학, 자연과 학, 철학 등의 과목이 있으며 감성 교육에는 음악, 연극 등이 있다. 또한 노동을 통한 땀의 가치를 배우는 노작시간이 있다. 수업은 오전·오후로 나누어지며, 오전은 지식 교과, 오후에는 의식주 해결 교육, 감성 교육, 개별화된 학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식 교과에서 영어, 수학은 단계별 교육을 목표로 개별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반을 편성했다. 국어, 사회과학, 자연과학은 지식전달보다는 공부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식으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