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

 1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1
 2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2
 3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3
 4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4
 5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5
 6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6
 7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7
 8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8
 9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9
 10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10
 11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치] 김치의 변천, 영양학적 효과, 종류와 김치산업 및 우수성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김치의 어원과 시대별 변천

Ⅲ. 역사속의 김치
1. 삼국시대 - 김치 삼국기
2. 고려시대 - 삼국의 맛을 통일한 고려의 김치 무리
3. 조선시대 - 임진왜란과 ꡐ고춧가루 대첩ꡑ
4. 오늘날 - 배추에 젓갈이 어우러진 오늘날의 김치

Ⅳ. 김치의 영양학적 효과
1. 김치의 영양소
2. 김치 유산균의 효능
3. 김치의 발효과정

Ⅴ. 지방별 김치의 종류
1. 강원도
2. 경상도
3. 경기도
4. 서울
5. 전라도
6. 제주도
7. 충청도
8. 평안도
9. 함경도
10. 황해도

Ⅵ. 김치의 종류 및 제조방법

Ⅶ. 김치산업의 현황

Ⅷ. 김치의 우수성
본문내용
김치에 대한 언급이 있는 문헌은 고려 시대 후기에서나 볼 수 있어 고대의 김치 제조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으나, 중국의 문헌에 의하면 백제와 신라때 오곡과채와 주례 등의 생산이 중국과 같다고 한 것으로 보아 김치 류의 제조도 삼국 시대에 이미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던 그 당시의 과채 류의 종류도 제민요술에 나오는 그것들과 거의 같았음을 추측할 수 있지만, 제민요술에 나오는 김치 류에도 비슷한 것들을 많이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그 중에는 재배 채소 류 뿐 아니라 나물 류도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보면 나물의 상미를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즐겨 오던 우리 선조들이 나물의 김치화, 즉 소금 절임에서 즙액이 많은 발효 김치를 담가 먹는 식습관을 벌써부터 익혀졌지 않은가 한다.
나물에는 향신 미를 갖고 있는 것이 많아 절임과 김치를 만드는 데 적합하였고,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되었을 것이다. 산채류는 지금도 거의가 감치로 만들 수 있으며, 그 조리법도 다양해서 생으로, 또는 무쳐서, 또는 국으로, 장아찌로 등 실로 다양하다. 재배 채소류(무, 배추, 외, 가지, 순무 등)가 들어오기 오래 전부터 한민족은 산나물, 들나물을 십분 이용해서 김치도 잘 담가 먹었으리라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김치의 원시형으로 김치 재료에 나물을 삽입한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재배 채소 류는 김치의 주재료가 되어 간 무, 배추, 오이와 별미 김치의 재료나 양념감으로 된 향신료용 채소 류 거의가 외래 작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김치는 나물을 단독 또는 섞어서 담근 형태에서 외래 채소들이 첨가되오 소금 절임 또는 젖산 발효된 김치의 주재료가 되어 갔을 것이다. 무, 순무, 배추 등은 서아시아를 원산지로 하여 동서로 전파되면서 유럽과 동양에서 각각 많은 형태의 품종들로 육성되었는데, 동쪽으로 도래한 것은 중국에서 개량 육성되어 이것을 한반도와 일본에 전래되어 순화 육성되어 온 것이다. 이것들이 김치 제조의 대상이 되어 왔으면 배추보다는 순무와 무, 그리고 외, 가지, 기타 나물 류와 향신료 채소들이 이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려 중기의 문인 이규보가 지은 동국 이상국 전집에 가포육영이라하여 외, 가지, 순무, 파, 박등 6가지 채소를 노래하였으며, 순무는 장을 얻어 여름 3개월에 먹으면 아주 좋고, 소금에 담가 겨울 90일에 대비한다 하였다. 즉 순무를 장에 담가 장아찌를 만들고 소금물에 담가 김치를 만든다는 것이다. 이 순무 김치는 김장용 순무 김치로 짠지와 동치미 또는 양념을 더한 김치일는지 모르겠다. 이 기록으로 보아 고려 중기의 김장김치가 순무의 동치미나 짠지의 수준이었다고 보는 것은 속단이며, 이 무렵에 배추와 무가 있었다는 것을 문헌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고려 고종 년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향약구급방의 방중향약목에 외, 동아, 후추, 엽교, 부추, 아욱, 상추, 파, 양파 등은 물론 무과 배추를 뚜렷이 들고 있다. 숭은 줄기는 짧고 잎은 넓고 두터우며 비대하여 순무 같으나 털이 많은 것이다 라고 한 것을 보면, 배추의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