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

 1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1
 2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2
 3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3
 4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4
 5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5
 6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6
 7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7
 8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8
 9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9
 10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10
 11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11
 12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12
 13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13
 14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학] 한국자본주의의 기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현재까지의 연구성과
Ⅲ. 자본주의의 이해
Ⅳ. 17세기 이후 조선의 사회경제적 변화
1. 농업의 측면
2. 상업의 측면
Ⅴ. 쟁점 소농경제론
Ⅵ. 개항이후의 자본주의 발달
1. 개항기 농업의 상업화와 지주제의 변화
2. 상업자본의 축적
3. 산업자본의 축적
4. 광무개혁
Ⅶ. 식민지시기 근대화
Ⅷ.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근대사회는 일반적으로 자본주의 사회를 지칭하지만, 구체적인 형성의 경로와 모습은 각나라의 역사 조건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세계사에서 자본주의 사회 형성의 유형은 대체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역사연구회, 1992, 『한국역사』, p 228~229

먼저 부르주아 혁명 또는 부르주아 개혁에 의하여 국민경제를 확립하고 근대적인 민족국가를 수립함으로써 자립적으로 자본주의사회를 형성한 유형을 들 수 있다. 부르주아 혁명을 거친 영국·프랑스 등과 부르주아 개혁을 거친 러시아·일본 등이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이들 나라에서는 근대의 성립은 자본주의사회의 성립을 의미한다. 이들 나라는 대부분 자본주의의 성립·발전 과정에서 시장 개척을 명목으로 다른 민족과 나라를 침략하여 지배하였다. 이러한 나라들의 근대를 선진자본주의국형 근대라 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전자본주의 단계나 자주적 근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선진자본주의 열상의 침략을 받아 (반)식민지로 전락한 나라들의 발전유형이다.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나라의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나라에서는 주로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종속적으로 편입되면서 제국주의 국가의 주도로 자본주의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그 결과 이들 나라의 사회경제구조는 전근대적 경제제도와 자본주의적 경제제도가 뒤섞이고, 제국주의 국가에 예속된 구조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들 나라에서는 자본주의 열강의 침략과 지배로부터 해방되기 위한 투쟁이 근대의 주된 역사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나라들의 근대를 식민지 종속국형 근대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동노, 1996, 「개항기 농업의 상업화와 지주제의 변화」, 『사회와역사』 제50권
김동노, 1998, 「식민지시대의 근대적 수탈과 수탈을 통한 근대화」, 『창작과 비평』봄호 (통권 99호)
김용섭, 1992, 「근대화과정에서의 농업개혁의 두 방향」, 『한국근현대농업사연구』, 일조각
신용하, 2006, 『일제 식민지 정책과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p181, 사회사연구총서 8
이승렬, 2006, 「한말 자본가계급의 형성과 동아시아 국제관계」,『역사비평』가을호
이영훈, 2002, 「조선후기 이래 소농사회의 전개와 의의」, 『역사와 현실』45
이영훈, 1996, 「한국사에 있어서 근대로의 이행과 특질」, 『경제사학』21
이인걸, 1997, 「1960,70년대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사학」, 『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정태헌, 1997, 「수탈론의 속류화 속에 사라진 식민지」, 창작과 비평 97호
카터. J. 에커트, 2008, 『제국의 후예 : 고창 김씨가와 한국 자본주의의 식민지 기원』, 푸른역사
최윤오, 2002,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연구와 근대 : 지주제와 소농경제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한국역사연구회, 1992, 『한국역사』, p 228~229

Stephen K. Sanderson, 1998, 『사회학; 인간사회의 구조와 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