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

 1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1
 2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2
 3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3
 4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4
 5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5
 6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6
 7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7
 8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8
 9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9
 10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의학서, 상한론, 내경, 제가학설, 의학서, 중국]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Ⅱ.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Ⅲ.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1. 인체구조와 생리
1) 장부
2) 경락·경혈·침구
3) 영위
2. 진단개념
1) 음양
2) 표리·내외
3) 한열

Ⅳ.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1. 경락설
2. 장부설
3. 기화설
4. 부위설
5. 육경지면설
6. 단계설
7. 생리계통설
8. 육병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상한론》의 원서를 보고 중경선생의 마음을 엿보고자 했더니 이 글이《내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했다. 따라서 중경선생께서 말씀하시는 삼음삼양은 《내경》에 근간할 수 밖에 없고,《내경》의 삼음삼양을 이해해야《상한론》의 삼음삼양도 알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내경》에서는 삼음삼양에 대해 여러갈래로 말씀하시는데 예를 들자면 개합추이론, 표본중기이론, 기혈다소이론, 수족삼음삼양경, 열병의 삼음삼양전변이론 등이다. 그런데 이 이론 하나하나가 모두 커다란 산같이 느껴진다. 어느 하나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왜 이런 삼음삼양이 나올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합추 이론이 나오는 《소문․음양리합론》를 보면 ꡒ금삼음삼양불응음양, 기고하야ꡓ라고 나온다. 이 질문은 참 의미심장하다. 즉 모든 것을 음양을 통해 바라보면 ꡒ열고-닫고ꡓ 하는 등의 두 개의 개념만이 존재하는데 도대체 삼음삼양은 한 개의 개념을 더 언급해 음양이라는 대대의 원리에 불응하는지를 물은 것이다. 즉 삼음삼양은 음양과는 뭔가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신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기백님은 ꡒ음양자수지가십, 추지가백, 수지가천, 추지가만, 만지대불가승수, 연기요일야ꡓ 라고 말씀하신다. 즉 음양도 삼음삼양도 결국 하나이고 그 하나는 바로 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음양은 도이다. 동양에서는 도를 깨달은 성인은 주로 비유나 방편을 통해 범부에게 도를 설명하신다.
그렇다면 《내경》에 나온 개합추이론, 표본중기이론, 기혈다소이론, 수족삼음삼양경, 열병의 삼음삼양전변이론 등은 삼음삼양을 설명하기 위한 방편일 것이다. 결국 이 방편의 넘어 있는 세계를 보아야 하지만 그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해선 이 방편들은 너무 소중하다. 따라서 《상한론》에 나오는 삼음삼양을 알기 위해서는 위에 나온 모든 방편들을 동원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이 방편들도 서로 무관한 것이 아니라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다. 표본중기이론을 보면 하늘의 육기와 삼음삼양과의 관계를 알수 있고 이 하늘의 육기가 인체의

참고문헌
* 김선호, (알면 재미있는)한의학 상식, 주민출판사, 1999
* 김성훈·김동희·김정효, 동의간호학, 정문각, 2000
* 동양의학 통권 제65호, 동양의학연구원, 1995
* 대총경절, 상한론해설, 창원사, 1976
* 무장춘·장등본, 내경사전, 인민위생출판사, 1990
* 전초진, 상한론문헌통고, 학원출판사, 1993
* 최승훈, 한의학 이야기, 푸른나무, 199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