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청산별곡과 유구곡

 1  [고전시가] 청산별곡과 유구곡-1
 2  [고전시가] 청산별곡과 유구곡-2
 3  [고전시가] 청산별곡과 유구곡-3
 4  [고전시가] 청산별곡과 유구곡-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청산별곡과 유구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청산별곡
2.1 의 주제
2.2 독자적인 각 연과 그 내용
3. 유구곡
3.1 =
3.2 ≠
4. 나가며
본문내용
향가는 향찰이 있고 관련설화도 전해지고 있어 작품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고, 시조나 가사는 대부분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만들어져 국문 표기가 가능한 시대 환경을 만났다. 하지만 고려시대의 속요는 평민들 사이에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우리글이 만들어진 후, 성종 때에 《악학궤범(樂學軌範)》,《악장가사(樂章歌詞)》,《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등에 문자화되어 전해지게 되었다. 따라서 고려속요는 관련 자료도 드물고 가사도 후대에 정탁이 된 까닭에 본래의 모습을 상고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논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밖에 없다.
본 발표에서는 최대한 많은 해석들을 보여주려 한다. 에서는 다양한 주제들을 살펴보고 그 중에 가장 타당성 있는 주제를 골라 작품을 해석해 보려 한다. 은 와의 관련성에 따라 두 가지 견해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에 따른 해석을 살펴보려 한다.
참고문헌
김명준, 『악장가사 연구』, 2004, 다운샘
권영철, 「악학편고 해제」,『악학편고』, 형설출판사, 1976
정재호, 「〈청산별곡〉의 새로운 이해 모색」,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139호, 2005. 5
양희찬, 「〈靑山別曲〉의 眞面目」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東亞人文學 第14輯, 2008. 12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최정윤, 「「청산별곡」의 의미와 향유 의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33집, 2006. 12
김학성, 『한국 고전시가의 연구』, 137쪽, 원광대 출판국, 1980
김명호, 「의 俗樂的 二重星」,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간행위원회, 집문당, 1995
정기철, 「「청산별곡」5·6연의 뒤바뀜 문제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제45집, 2000. 12
이성주, 「사회학적으로 본 청산별곡」, 관동대논문집16, 1988
이병기, 『표준 옛글 교사용 지도서』(권영철, 전게 논문 126-127쪽에서 재인용)
박성의, 「시용향악보 소재의 가요고」, 국어국문학 제 53집, 1971
이종문, 「=설(說)에 대(對)한 재검토(再檢討)」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116권, 1996. 5
권영철, 「유구곡고」,『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윤성현, 「〈유구곡〉을 다시 생각함」, 한국민요학회, 한국민요학 韓國民謠學 第4輯, 1996. 11
하고 싶은 말
청산별곡과 유구곡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이 자료는 '고전시가강독'시간에 발표로 한 것이구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