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

 1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1
 2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2
 3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3
 4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4
 5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5
 6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6
 7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7
 8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8
 9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9
 10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10
 11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11
 12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론] 사실계 소설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최랑전`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1.「양산숙전」과「최랑전」의 특수성
2. 사실계 소설의 길
Ⅱ. 사실성과 허구성
1.「최랑전」의 기존논의 검토
2.「최랑전」의 역사적 사실
3.「최랑전」의 문학적 상상력
Ⅲ. 사실성과 허구성의 미학
: 비극미학으로의 형상화
Ⅳ. 나가며
본문내용
2. 사실계소설의 길

송철호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활약했던 인물들을 입전한 전 작품 중 항전인물을 입전하고 있는 것은 대략 40여 편이다. 이들 중에는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키려고 고군분투한 한 무명 장수의 삶을 그린 「양산숙전」을 비롯하여 노비라는 신분적 제약을 극복하고 전쟁에서 큰 공을 세우고 장렬히 전사한 인물을 그린 「유부수전」과 「신조전」·「김장군전」·「선원문충전」 등이 있다. 송철호, 비극적 영웅서사문학 「梁山璹傳」, 『새얼語文論集』 ,364면.
「양산숙전」의 실존인물 양산숙은 1561년에 출생한 사람으로 임진왜란을 겪었으며,「최랑전」의 실존인물인 남성주인공 이여택은 정학성의 연구에 따르면 1605년에 출생한 사람으로 임진왜란 이후의 사람이기에 「양산숙전」과 「최랑전」이 사실계소설이란 공통점은 임진왜란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추정해 보았다.

종전과 더불어 사회 각층에 걸친 수습작업이 이루어지면서는 사정이 다르게 되었다. 역사서에 대한 정리 작업을 비롯하여 제반 문물에 대한 복구·복원이 이루어지면서 기억의 저편에 자리 잡았던 전쟁에 대한 상흔도 새로운 시대 상황에 맞게 문학적으로 변모될 수 있었다. 이는 시간적인 여유가 가져다주는 문학의 새로운 질서구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쟁 중에 생긴 각종 사연들은, 시가는 원래의 시 형식미에 입각하여 조탁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산문의 경우는 입에서 입으로 옮겨지면서 처음보다는 그 감정이 폭이 보다 증폭되었지마는 사실에 입각한 허구화의 경향을 띠었다. 어쨌든 임란의 충격을 가장 적극적이고도 효과적으로 수용한 문학양식은 서사문학이라 할 수 있다.
가장 큰 변화는 소설이 현실세계의 제 문제를 수용하는 문학적 도구로서 자리를 굳힐 수 있었다는 것과, 이런 양식적 변화를 통해 소설문학만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을 구축했다는 점이다. 물론 소설이 없는 것은 아니었으나 대부분 비현실적이고 환몽적 내용인 傳奇에 불과했기 때문에 현실적인 문제를 수용하는 데는 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소설이 처한 이런 상황을 타개할 수 있게 한 촉매제가 된 것이 바로 임란이다.
참고문헌
기본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민영대, 「조위한의삶과문학」, 국학자료원, 2000.
박용식, 『한국고전문학전집 16:금방울전, 김원전, 남윤전, 당태종전, 이화전, 최랑전』, 고려대학교출판부, 1995.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이채연,「壬辰倭亂과 捕虜實記 硏究」, 서울 : 박이정출판사, 1995.


연구서 및 논문
강성문,「晉州大捷을 통해서 본 金時敏의 戰略과 戰術 2」
김귀석,『최랑전』의 비극성과 미학 , 『전통문화연구』,조선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1999.
김성룡,「고소설의 환상성」, 『古小說 硏究』, 한국고소설학회, 2003.
김창현,「양산숙전의 비극성 연구」,『온지논총』,16집, 온지학회, 2007.
김창현,「최랑전의 비극성과 심리적 상흔(trauma)」, 『한국비교문학회』, 2008.
민영대,「비극소설로서의 최랑전」,『한국언어문학』47집, 한국언어문학회, 2001.
민영대,「崔娘傳 硏究(1)」,『고소설연구』10권, 한국고소설학회. 2000.
민영대,「崔랑傳에 揷入된 詩文의 機能」, 『한국언어문학』제52집, 한국언어문학회, 2004.
송철호, 「비극적 영웅서사문학「梁山璹傳」」, 『새얼語文論集』,동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새얼어문학회, 1998.
오세정,「최랑전」에 나타난 미완의 애정과 비극적 결말의 의미」, 『인문학 연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이대중,「최랑전의 갈등 양상과 인물 형상」,『한국인과 한국어문학』,한국어내용학회, 2006.
이동백,「「崔娘傳」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