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

 1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
 2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2
 3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3
 4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4
 5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5
 6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6
 7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7
 8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8
 9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9
 10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0
 11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1
 12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2
 13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3
 14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4
 15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5
 16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6
 17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7
 18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8
 19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19
 20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연희론] 오태석의 용호상박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극작가 겸 연출가 오태석

2. 의 강사리 범굿

3. 작품 분석
본문내용
3) 오태석 연극의 특징

① 서구적 정형성의 거부

오태석의 연극이 가지는 형식적 특징은 사실주의 연극에 대한 거부에서 나온다. 입센과 체홉 등의 작가에 의해 서구에서 사실주의 연극이 연극의 정점으로 추앙받은 이후 우리 나라에도 신극이란 이름의 사실주의 연극이 유입되었다. 하지만 한국에서 사실주의는 제대로 수용되지 못했다. 사실주의는 일제 35 년을 거치면서 일본 연극의 잔재에서 출발한 신파극을 제압하기 위한 인텔리 계층의 지성적 노출로서 각광받았다고 보아야 한다. 오태석 연극의 역사적 사유, 김남석, 연극과 인간, 2005, 282p
오태석은 이러한 현실에서 벗어나 새로운 양식에 대한 가능성을 끊임없이 실험하는 연출가이다. 따라서 서구적 연극 관행에 익숙해진 관객들에게 오태석의 연극은 낯설고 투박하게 보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배우들의 시선처리를 예로 들 수 있는데, 그의 연극 속에서 배우들은 거의 모든 경우에 관객을 향해 대사를 보낸다. 이는 등장인물들의 일상적 생활을 관객이 몰래 바라보는 것을 그 미학으로 했던 사실주의 연극에서는 금기시 되었던 방식이다. 이밖에도 그는 번역극이 흔히 갖는 관행이었던 등장인물들의 외국 이름, 서구적 의상, 번역투의 과장된 말투 등을 배척한다. 그는 외국 작품을 공연함에 있어서도 늘 배경을 한국적인 장소로 변화시키며 사용 언어와 인물의 이름 역시 한국어로 바꾼다. 심지어『로미오와 줄리엣』의 결말마저 자신의 해석에 따라 변화시키기도 한다. 그는 정해진 관습과 고정관념을 거부하며 언제나 그만의 독창적인 무대를 보여주는 연출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