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김소월 연구

 1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1
 2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2
 3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3
 4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4
 5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5
 6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6
 7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ꁋ 1920년대 개괄

2004. 4. 16. 금 6조: 강미석, 김은경, 김준연, 박재홍, 아키라, 이소연, 이연실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정에서 1910년대 후기부터 1920년대 초기까지의 시 논의에서는 서구의 낭만주의 및 상징주의의 영향에 따라 개인적인 감정이 시대정신보다 더 강조되는데, 이것은 비록 산발적이긴 하지만 김억 등이 작품에 나타난 낭만적 요소들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전 시기의 외면 세계에 집중되었던 시 논의의 시각은 개인의 내면세계로 옮겨지게 되고 시 논의에는 표현론적 관점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자유시형에 대한 논의 등의 기교론적 관점과 시의 심미적 기능을 강조하는 효용론적 관점도 나타난다. 김소월의 시들은 당시 서구의 시를 번안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던 한국 근대시의 형식에 새로운 독자적인 가능성을 부여하고 있다. 권영민은 그 가능성을 몇 가지로 정리하고 있는데, 첫째 전통적인 민요의 율조와 토속적인 언어 감각의 결합으로 율조의 흐름으로서 하나하나의 작품이 형식적으로 완결된 형식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김소월의 시는 개인적인 정감의 세계를 중요시하고, 그 정서의 폭과 깊이는 서정시가 도달할 수 있는 궁극적인 경지에 맞닿아 있다고 한다. 세번째로 김소월이 민족의 슬픔을 이해하고 그것에 대해 노래하고 있는 것 역시 빼놓지 않았고, 꿈과 현실의 엄청난 이율배반을-그것이 외적인 요인이든, 김소월 자신의 개인사적 요인에 의한 것이든 간에-술회하고 있다는 것 역시 언급하고 있다. 덧붙여 김소월의 시는 토착적인 한국어의 시적 가능성을 최대한 살려내고 있다는 점 역시 지적하고 있다. 김소월이 한용운, 이상화 와 함께 한국시의 새로운 형식을 가져다 주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3.
김병택, 『한국근대시론연구-1920년대를 중심으로』, 민지사, 1998.
김성달, 『한국근대작가연구』, 국학자료원, 2001.
김용직, 『김소월전집』,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김은철, 『한국 근대시 연구』, 국학자료원, 2000.
김현 ․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박덕규, 『시인열전』, 청동거울, 2002.
송희복, 『김소월 연구』, 태학사, 1994.
오세영, 『김소월, 그 삶과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