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

 1  [한국사]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1
 2  [한국사]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2
 3  [한국사]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3
 4  [한국사]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고려 지배세력 성격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사회의 지배세력의 성격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귀족사회론

3. 관료사회론

4. 문벌사회론(1990년대 이후)

5. 음서제와 과거제의 운용


본문내용
-박용운『고려시대사』(1985)→‘문벌귀족사회’
①고려의 지배세력은 음서제와 공음전을 정치경제적 기반으로 하여 왕실이나 유력가문과 폐쇄적 통혼권을 형성하여 가문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②과거제는 단순히 개인의 인품이나 실력에 입각한 인재선발의 목적보다 더 넓은 사회계 층을 중앙정부에 흡수하여 귀족제 사회를 유지하는 통로로서 역할을 수행했다고 봄.
③5품 이상 관료가 3대 이상 배출된 가문.
④송사(宋史) 고려전에서 고려의 류(柳), 이(李),김(金), 최(崔)씨를 귀종(貴種)이라함 →귀족 가문이 존재한 실증적 근거
또한 고려시대의 재상은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에 소속된 2품 이상의 관원인 재신과 추신 으로 이들은 재추회의에서 국가의 중요 정책을 결정, 재상은 6부의 장관직과 국왕에 대 한 간쟁과 관리의 비행, 관리의 임면, 풍속의 교정을 관장하는 대간의 장관직을 겸임했 을 정도로 권력이 집중.

3. 관료사회론
-1970년대 초반 제기.
-박창희「고려시대의 ‘관료제’에 대한 고찰」(1973)에서 집중적 제기.
①귀족제 사회를 뒷받침하는 음서제와 양반공음전시에 대한 재해석.
②고려는 광종~성종대에 군주독재적 왕조체제가 확립되고 관료제 성립→과거관료가 주도 적 정치세력으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