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지배계층의 성격

 1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1
 2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2
 3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3
 4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4
 5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5
 6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6
 7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7
 8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8
 9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9
 10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 지배계층의 성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고려 시대의 문벌귀족(門閥貴族)
(1) 문벌귀족의 정의와 성격
(2) 문벌귀족의 세력 기반
(3) 귀족 사회의 동요

3. 고려 시대의 관료제(官僚制)
(1) 관료가 되는 방법
① 과거제(科擧制)
② 음서제(蔭叙制)
③ 천거제(薦擧制)
(2) 고려 시대 관료제의 성격
(3) 고려 시대 관료제의 특징
① 동정직(同正織)
② 청요직(淸要織)
③ 군대 통수권

4. 귀족제설(貴族制說)과 관료제론(官僚制論)

5. 나가는 말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고려는 귀족제 사회였는가, 아니면 관료제 사회였는가. 고려사회의 성격규정은 관인층을 선발하였던 두 제도인 음서제(蔭叙制)와 과거제(科擧制)의 문제를 귀족제(貴族制) 내지 관료제(官僚制)를 가름하는 개념설정의 기준으로 삼아 추구되었다. 이에 대한 근래 한국사학계는 신라사회를 골품제사회, 조선왕조사회를 양반사회로 규정하는 것과 같이 공통된 이해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귀족사회나 가산관료제 내지는 관료제 사회, 귀족관인사회 등으로 규정되기도 했지만, 일반적으로 고려왕조는 귀족제 사회라고 설명되어 왔다. 즉, 고려왕조가 출생신분을 크게 강조하던 신분제 사회로서, 가문·문벌이 좋은 귀족들이 정권을 차지하고 국가를 운영하여 갔다고 생각한 때문이었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에 이르는 시기의 고려 귀족제 연구는 귀족의 특성, 귀족의 세습원리로서의 음서의 중요성 및 그들의 경제기반이 되는 공음전시의 세전 등을 밝힘으로써, 고려사회가 귀족제 사회였다는 인식도 심화되어갔다.
그러나 70년대 초기에 들어와 이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었다. 귀족제설에 대해 부정적인 논자의 주장을 살펴보면, 첫째, 신분제 사회가 곧 귀족제 사회일수는 없으며 후자는 전자에서의 특정시대에 존림하는 한시대적인 적이다. 또한 지배신분을 귀족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이다. 둘째, 음서제는 귀족제 하에서의 습관제가 될 수 없으며, 신분제 사회에서의 가업의 전수제 같은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고관 유공자에 대한 국가적 보은제 같은 것으로서, 실업대책적 성격을 다분히 띠고 있었다. 따라서 신분제설 및 음서제설에 입각한 재래의 고려시대=귀족사회설은 타당한 것이 못된다는 것이다. 박창희, 「고려시대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재검토」, 『백산학보』23, 1977.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를 단순히 귀족사회로 보려고 하던 안이한 관점에서 벗어나, 귀족제설과 관료제론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각각의 주장들이 내세우는 근거들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2. 고려 시대의 문벌귀족(門閥貴族)

(1) 문벌귀족의 정의와 성격

고려를 귀족제 사회로 보려고 할 때 먼저 귀족과 귀족제에 대한 개념부터 살필 필요가 있다. 종래 귀족에 대해서는 “가문·문벌이 좋은 사람들”로 규정하고 이들이 정권을 차지하고 국가를 운영하는 사회를 곧 귀족사회로 여겨왔다. 그러나 이보다는 “일반 양민과 구별되는 신분적·정치적 특권이 주어진 가족에 태어난 인간” 또는 “신분제사회에서의 지배신분층”으로 규정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듯 싶다. 일단은 귀족의 개념을 이와 같이 규정할 때, 이 규정에 맞는 사람들이 국가의 요직을 점유하고 귀족제적인 테두리 안에서 나라를 운영하여 간다면 그 사회를 곧 귀족사회라고 불러 무방하다고 이해되어 왔다. 논문, 박용운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