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

 1  [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1
 2  [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2
 3  [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3
 4  [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4
 5  [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5
 6  [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정의,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형성,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주장,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논쟁,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비판,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 관련 제언
  •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특징,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주장,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근거, 수정적 입장,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문제점,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논쟁 분석
  • [일본]임나일본부설 고찰
  • [한국사] 임나일본부설의 모순점에 대하여
  • 동복공정 & 임나일본부설
  •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근거,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제설,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반박,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문제점,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비판, 시사점 분석
  •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형성,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견해,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과 일본서기,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과 가야사,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과 광개토대왕릉비 분석
  • [임나일본부설] 임나일본부설의 연구와 형성, 다양한 임나일본부설과 임나일본부설의 근거, 비판 및 임나일본부설의 치명적 결함 분석
  • [임나일본부설, 일본의 역사왜곡] 임나일본부설 분석
  • [한국사의이해]임나일본부와 임나일본부설이란?
  • 소개글
    [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학계의 견해

    3. 강상파부의 ‘기마민족정복국가설’
    1) 사료적 측면
    2) 고고학적 측면

    4.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임나일본부설이란, 왜가 4세기 중엽에 가야지역을 군사 정벌하여 임나일본부라는 통치가관을 설치하고 6세기 중엽까지 한반도 남부를 경영하였다는 학설을 말한다. 쓰에마쓰(末松保和)에 의해 집대성된 이 주장은, 이후 이노우에(井上秀雄)와 기토(鬼頭靑明), 야마오(山尾辛久) 등에 의해, 전반적으로 그 범위와 시기가 축소․변형되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지만, 기본적인 큰 틀은 지금까지도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한 임나일본부의 변형적인 학설 중에 하나가 앞으로 얘기할 에가미 나미오(江上波夫)의 ‘기마민족정복국가설’ 인데, 이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내용을 담고있는지를 통해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학계의 연구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마민족정복국가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들어가기에 앞서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학계의 전반적인 견해를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학계의 견해
    日本에서 任那日本府에 대한 최초의 연구가 시작된 것은 에도시대말기에 국학운동이 일어나면서 고전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띠면서부터로 볼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임나연구는 明治이후로 日本의 조선침략이 점차 구체화, 본격화되면서 함께 추진되었다.
    쓰다(津田左右吉)에서 정리되기 시작한 일본의 한반도 진출설로써의 임나일본부는 쓰에마쓰(末松保和)의 『任那興亡史』(1956)로 구체화되었다고 볼수있으며 그의 학설은 아직까지도 일본학계의 기본기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아도 별 무리가 없는 것이다.
    쓰에마쓰는 일본의 임나경영이라는 전제하에 『日本書紀』의 기사들을 토대로 任那가 경상남도전역, 전라북도전역에 걸치 는 일본의 식민지라고 주장하며 그 위치의 비정에 심혈을 기울였다.
    임나일본부에 대한 다른 설로 江上波夫의 騎馬民族說이 있다. 그는 일본의 彌生시대에서 古墳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이 이해가 가지 않을 정도로 급속하고 그 내용이 이질적이여서 자체적인 발전으로 볼수 없다는 생각에서 기마민족설을
    참고문헌
    ․이기동, 「騎馬民族說에서의 韓․倭 聯合王國論 批判」,『韓國史市民講座』11, 일조각, 1992.
    ․최병현, 「고고학적으로 본 가야와 일본의 관계」,『韓國史市民講座』11, 일조각, 1992.
    ․김태식, 「가야사연구의 현황」,『韓國史市民講座』11, 일조각, 1992.
    ․천관우, 「한국사에서 본 기마민족설」,『가야사연구』, 일조각, 1991.
    ․노태돈, 「騎馬民族日本列島征服說 대하여」, 『한국학보』5, 일지사, 1976.
    ․김정배, 「한국에 있어서의 기마민족 문제」, 『한국고대의 국가기원과 형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6.
    ․연민수, 「임나일본부론」,『고대한일관계사』, 혜안, 1998.
    ․김태식, 「고대 한일관계 연구사-임나문제를 중심으로」